금강참붕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금강참붕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금강참붕어

금강참붕어

11.5 Km    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금지1길 18-20

마이산으로 유명한 전북특별자치도 진안에 있는 참붕어 전문 식당이다. 마이산 등반객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진안 맛집으로도 유명하다. 상호명에서 알 수 있듯 참붕어찜이 대표 메뉴이며 어제비, 민물 뚝배기탕도 인기 메뉴다. 특히 테이블마다 놓여 있는 메뉴가 바로 치즈돈가스일 정도로, 치즈돈가스 맛집으로도 알려져 있다. 참붕어찜은 조리시간이 40분 정도 걸리기 때문에 미리 예약을 하길 추천한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인정한 안심식당이다. 마이산과 가까워 연계 관광을 즐기기에도 수월하다.

기차산 해골바위

11.6 Km    0     2024-05-22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동상면 신월리

실제 공수부대의 산악 훈련장으로도 쓰인 기차산은 가파른 석벽산이고 밧줄을 붙잡고 마치 특수부대 훈련하는 군인들처럼 산을 오르내려야 하며 체력에 자신 있는 아미만 도전할 수 있는 장소이다. 기차산의 명물인 해골바위는 주민들은 마치 용이 뜯어먹은 바위라고 부르며 구멍이 뚫려있어 괴이하며 신기한 해골처럼 보이는 부분이 있다. 해골의 입에 해당하는 부분이 인생샷 포인트이며 해골바위 구멍에 누워 사진을 찍을 수 있는 명소이다.

진안 배넘실마을

11.7 Km    1846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상전면 금지2길 4-3

홍수 설화가 전해오는 배넘실 마을은 금지 마을이라고도 한다. 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 월포리에 속한 자연 마을이자 행정 마을로 상전면 소재지로부터 북쪽으로 8㎞ 거리에 자리 잡고 있다. 남쪽으로 수동리 원수동 마을, 북쪽으로 월포리 양지 마을, 서쪽으로 정천면 월평리 하초 마을과 인접해 있다. 마을은 용담댐 주변에 있으며 마을 뒤편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청정 계곡이 흐르며 저수지도 있어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배넘실마을은 진안의 유채꽃 명소이며 용담호를 배경으로 조성되어 있다. 약간의 체험료를 내면 간단한 차 한잔을 마실 수 있으며 넓은 유채꽃밭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주차장도 넓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니 들러 볼만하다. 마을 입구에는 느티나무 세 그루와 작은 벚나무들로 된 마을 숲이 있는데 여름철 주민들의 쉼터로 활용된다. 마을 숲 안에는 마을 모정인 금지정이 있고 당산나무가 있다. 당산나무는 수령이 550년이 넘었고 높이 38m로 2007년에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무주스피드레져

무주스피드레져

11.7 Km    2382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부남면 잠두강변길 215

무주스피드레져에서는 래프팅, 서바이벌, 수상스키, 더키, 기업 및 단체 연수, 대학생 MT 행사, 각 전문 이벤트 행사 등을 진행하고있다. 그리고 전 직원 수상인명구조 자격증 보유 및 서바이벌 전문교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디품은마을

반디품은마을

11.9 Km    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적상면 삼방로 476

반디 품은 마을 캠핑장은 원래 무주 된장공장이 있던 곳이었는데, 공장이 문을 닫은 이후 야영장을 조성하고 카라반을 설치하면서 만들어진 곳이다. 그래서 입구 옆 담벼락 안에는 장독대들이 줄을 지어 있어 한국의 토속적인 풍경이 더욱 정감 가는 곳이다. 주변에 산과 개천이 있어 공기가 청명하다. 매점, 야외 훈제장, 수영장, 트램펄린 등이 있고 총 14대의 카라반이 있다. 주변에 타프나 텐트 설치도 가능하다. 카라반은 이중으로 된 문과 창문이 달려있다. 방충망도 달려 있어 산속 벌레 걱정이 없다, 카라반 내부는 원목을 사용하여 편백나무 향기가 가득하다. 테이블, 에어컨, 침대가 있고 주방에는 싱크대, 냉장고, 전자레인지, 전기포트, 미니밥솥 등 요리에 필요한 주방 가전이 갖춰져 있다. 열차 안에서 마주 앉아 음식을 즐기는 카페테리아 느낌으로 내부에서나 바깥 테라스에서나 어디에서도 분위기를 낼 수 있다. 화장실도 세면대, 샤워호스, 변기가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어서 나만의 카라반 안에서 가족, 친구, 연인과 오붓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노채마을

노채마을

12.0 Km    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 337-1

노채마을은 2003년에 전라북도 청정 테마 파크 시범 마을로 선정 되었다. 마을 동남쪽에는 국사봉이, 동북쪽에는 형제봉이 있어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또한 일교차가 큰 고원 산간 지역으로 이곳에서 생산한 고추, 머루, 포도, 인삼, 영지, 천마 등이 유명하다. 마을에서는 포도따기체험, 포도씨로 작품만들기, 두부만들기, 고구마캐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마을 내에 지역 주민이 운영하는 숙박 시설이 있어 휴양하기에도 좋다.

덕산사(금산)

12.0 Km    20854     2023-11-22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배정이길 37

덕산사는 금산 덕기봉 자락의 부리면 배정이 부락에 있는 밀양박씨의 문중 사당으로 눌재 박중영, 강수 박훈, 퇴우당 박사현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박중용은 조선 예종과 성종 때의 문신으로 조선 초기의 문물제도 정비에 공로가 컸고, 그의 아들 박훈은 연산군과 중종 때에 벼슬을 지냈으나 기묘사화에 화를 입어 귀양살이를 하였다. 한편 박사현은 박훈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청주성 공략에 공을 세우고 전사하였다. 1961년 지방 유림과 그 후손이 사당을 짓고 해마다 봄에 제향을 올려 세 사람의 충절을 기리고 있으며, 1985년에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개삼터·개삼각

개삼터·개삼각

12.2 Km    23588     2023-03-22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개삼로 101

* 금산인삼이 처음 재배된 곳, 개삼터 *

충남 금산군 금산읍 남이면 개삼로 산자락에 개삼터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개삼터는 금산에서 최초로 인삼을 심은 곳이다. 고려인삼의 종주지이며, 유통의 중심지이자 인삼의 고장인 금산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설에 따르면 금산인삼이 처음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1,500여 년 전. 강씨 성을 가진 선비가 진악산 아래서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어머니가 병환으로 눕자 관음굴에서 지성으로 기도하던 중 산신령이 나타나 “관앙불봉 바위벽에 가면 붉은 열매가 3개 달린 풀이 있다. 그 뿌리를 달여 어머니에게 드리면 병이 곧 나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튿날 산신령이 알려준 풀뿌리를 달여 드리니 어머니의 병이 깨끗이 나았다. 강 처사는 풀의 씨앗을 받아 성곡리 개안마을의 밭에 뿌렸는데, 그 뿌리 모양이 사람 비슷해서 인삼이라고 불렀다. 개삼터에는 산신령이 강 처사에게 인삼을 내리는 그림이 있는 개삼각과 강 처사의 집이 있다. 강 처사가 인삼을 얻어 재배하기까지의 과정을 모형으로 재현해놓았다.

강변가든

강변가든

12.2 Km    1966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무금로 523
063-322-9442

금강 상류에서 잡은 민물고기 매운탕 외에 자연산 미꾸라지로 끓인 추어탕으로 유명하다. 이 밖에 민물장어구이, 민물어죽, 토종닭도 맛이 있으며 금강 상류의 맑고 깨끗한 청정지역의 강에서 잡은 민물고기만 취급한다. 무주군 및 전라북도에서 지정한 향토 전통 음식점으로, 주인인 주방장은 명인록에 기록되어 있다. 맑은 시냇물과 자연경관을 굽어보며 식사를 즐길 수 있어 운치를 더할 수 있다.

무주래프팅

무주래프팅

12.2 Km    23466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잠두길 5-11

무주래프팅은 금강상류에 위치하며 래프팅, 서바이벌, 등산, 낚시를 즐길 수 있고 3000여평 대지 위에 200명이 숙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