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바재생예술체험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품바재생예술체험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품바재생예술체험촌

17.6 Km    1     2022-11-17

충청북도 음성군 원중로399번길 30 품바재생예술체험촌

“품바재생예술체험촌”은 음성군의 특색있는 콘텐츠인 “품바”와 환경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재생예술”을 함께 접할 수 있는 관광명소로서 품바 리듬을 배울 수 있는 교육아카데미(고고장구, 가족난타 등)와 새활용 체험을 할 수 있는 재생예술 프로그램(새활용 콘테스트, 함께줍깅&비치코밍 등 현장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새활용 콘테스트의 경우 쉽게 버려지는 제품들을 다듬고 가꾸어 새롭게 만든 여러 가지 다양한 의상들을 심사하여 시상하는 프로그램으로 작년 처음으로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국구에서 다양한 참가자들이 참가하여 가지각색의 의상들을 선보였음 품바재생예술체험촌은 “착한 여행지”로 선정된 원남저수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날이 좋은 봄/가을에는 원남저수지 둘레길을 산책하며 힐링하기 좋음. 또 품바재생예술체험촌 바로 옆에는 ‘오감만족 새싹체험장’이 위치하고 있어 어른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관광 콘텐츠가 풍부함 1. 친환경 여행 인프라 제고 노력: - 품바재생예술체험촌은 콘텐츠사업으로 환경 인식 제고, 쓰레기를 활용한 예술작품 제작 등을 위해 올해부터 특별한 교육을 선보이고 있음. 음성군 내 초‧중학교 학생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함께 줍깅 & 비치코밍” 활동을 실시하고 주운 쓰레기를 재활용하여 만든 예술작품을 전시하는 등 새로운 환경 교육 프로그램 진행함. 처음으로 선보인 프로그램임에도 불구 반응이 좋아 내년에도 사업을 진행할 예정임. - 현장 교육 외에도 체험촌에서 별도로 실시하고 있는 새활용 체험프로그램(하루업사이클 체험)을 운영하고 있음. 외부 강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여 재활용품 또는 새활용 공예 재료로 예술작품을 완성하여 환경 소재 활용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2. 친황경 실천 노력: - 품바재생예술체험촌의 건물은 에너지 절감을 위해 건물 위에 태양광을 일부 설치하여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음.

용학사

용학사

17.6 Km    0     2023-11-01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진상미로1067번길 271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에 위치한 사찰이다. 선덕사라는 이름 없는 절에서, 혜봉 스님이 기도 정진 중에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현몽을 꾼 이후 ‘용학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대웅전과 지장전, 산신각, 극락전, 납골 추모관인 목련관, 범종각, 신도회 사무실과 공양실이 있는 방적당, 종무소인 다경실이 있다. 아침과 저녁에 하루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타종이 조용한 산사에 울린다. 주변에 가 볼 만한 곳으로 이천도예촌, 해강도자기 미술관, 온천관광단지, 지산리조트가 있다.

꾸메숲 버섯나라

꾸메숲 버섯나라

17.6 Km    3219     2023-06-10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서경리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꾸메숲 버섯나라는 건강하게 표고버섯을 키우는 버섯농장이다.이곳에서는 농부가 되어 버섯을 직접 수확해 볼 수 있는 버섯농부체험, 종균접종을 체험 해 볼 수 있는 버섯과학자체험 등 체험객들을 위한 다양하고 재미있는 체험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있다. 또한 넓은 공간에 잔디밭, 놀이터, 동물농장, 벚나무숲, 소나무숲, 이팝나무숲, 숲 속 카페와 작은 어린이 도서관이 마련되어 있어 단체가 체험학습을 위해 방문하기에도 좋다.

산마루

산마루

17.7 Km    0     2023-11-07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장계길 17

직접 담근 묵은지를 넣어 푹 끓인 묵은지 닭백숙이 맛있는 집이다. 안성QCC 골프장 입구에 있어 골퍼들이 자주 찾는 집이다.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순두부, 청국장, 김치찌개, 황태해장국, 비지찌개, 제육볶음이 있다. 닭요리는 묵은지를 넣은 닭볶음탕, 옻을 넣은 옻닭백숙, 한방약재가 들어간 한방오리백숙도 있다. 수육 보쌈, 낙지볶음, 해물전골 메뉴도 있다.

수룡폭포

17.7 Km    20231     2023-07-06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봉황길 249

넓은 진달래 꽃밭이 장관을 이루는 보련산에 있는 폭포다. 정상에서 남동쪽으로 내려오는 길에 자리하고 있다. 주위 자연경관이 아름답고 물이 맑아서 여름철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고 있다. 약 6m 높이의 폭포로 수직 폭포는 아니지만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넓적한 바위 위에서 3층의 단을 이루며 물줄기가 떨어진다. 물이 맑고 수량이 많아서 보련산 등반과 연계한 여름철 휴양지로 알려져 있다. 가까운 곳에 앙성온천지구와 보련산성 등 가볼 만한 명소가 있다.

진천 이영남 묘소

진천 이영남 묘소

17.7 Km    17578     2023-11-14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기전리

이곳은 임진왜란시 7년 전쟁을 마무리 짓는 최후의 노량해전에서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함께 순국한 임란충신 가리포 첨사 겸 조방장 양성 이영남 장군이 잠드신 유서 깊은 곳이다. 장군은 1566년 2월 13일 이곳 진천군 덕산면 기전리 159번지에서 태어나 12세 소년 시절에 부모상을 당하여 3년 시묘한 효자였다. 이후 무예를 배우기 시작 19세(1584년)에 무과에 급제 선전관 훈련원첨정 도총부 경력을 거쳐 1592년 27세 때 임진왜란이 일어날 시는 경상우수사 원균 휘하의 율포만호로 있었다. 원균이 첫 싸움에서 패하자 전라 좌수사로 있던 이순신 장군을 5,6차례 찾아가 청군 하였다.
이후 소비포권관으로 옥포 당포 당항포 한산대첩등 10여 차례의 해전에서 충무공을 보좌하여 혁혁한 전과를 세웠다. 해전에서 승승장구한 장군은 1595년 임기를 마치고 태안군수 강계부판관 장흥부사를 역임하고 1597년 9 울 16일 명량해전에서 대승리를 거두고 1598년 제56대 가리포첨사 겸 조방장으로 임명된 장군은 조수에 익숙한 완도 장정들을 고금진에 소집 훈련시켜 수군을 정비 1598년 11월 19일 최후의 노량해전에 출전하여 대승을 거두고 33세로 충무공과 함께 순국하셨다. 당시 줄곧 수행한 노복 일학이 영구를 뫼시고 돌아와 다음 해(1599년) 봄에 이곳 갈현산 선영하에 안장하였으며 소년 시절 무예를 닦을 때의 용마총도 묘옆에 있다. 순국후 선무운종공신 일등 병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전남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 충무사에는 위패와 영정이 충무공과 함께 배향되어 있으며 진천읍 삼수초등학교 앞에 현충비가 세워져 있다.

이천마이다스골프앤리조트

이천마이다스골프앤리조트

17.7 Km    1     2023-12-28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설가로 602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에 위치한 골프장으로 대증제 27홀이다. 약 1,400,000㎡에 27홀 파 108이다. 올림푸스 코스 전장 3,288m에 파 36, 타이탄 코스는 3.301m에 파 36, 미다스 코스는 3,296m에 파 36이다. 기존에 있던 자연환경을 최대한 살려 자연친화적인 골프장으로 고저차가 30m 이내의 구룽지와 평원에 조성되어 초보자가 라운딩 하기에도 무난하다. 서쪽으로 사우스 스프링스 CC, 동쪽으로 자유 CC, 솔모로 CC, 아리지 CC, 블랙스톤 CC 등의 골프장이 있다.

소피아그린 컨트리클럽

소피아그린 컨트리클럽

17.8 Km    0     2023-12-05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소피아그린길 84

소피아그린 컨트리클럽은 2007년 오갑산의 아름다운 경관 앞에 자리 잡은 퍼블릭(대중제) 골프장이다. 세종, 여강, 황학의 세 가지 코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코스마다 코스 이름이 가진 특징을 담고 있다. 초심자부터 수준급의 골퍼들까지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난이도로 설계되어 있어 끝까지 흥미를 잃지 않고 라운딩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높은 수준으로 관리된 잔디와 골프장은 소피아그린 CC가 갖고 있는 커다란 장점이다.

원남저수지(원남제)

원남저수지(원남제)

17.8 Km    0     2023-12-21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1388-1

원남저수지는 충북 음성군 원남면에 있다. 저수지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만, 관광객에게 산책과 명상을 함께 할 수 있는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여름철 연꽃이 피면 저수지 일대 풍경은 더욱 아름다워진다. 잘 정비된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쉬어가기 좋은 벤치도 있다.

두현리 석조삼존불입상

두현리 석조삼존불입상

17.8 Km    17498     2023-12-21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두현리

두현리 석조삼존불상은 태봉산 아래 민가 옆 보호각 안에 봉안되어 있으며 불상은 지상에 노출된 전면에 저부조(低浮彫)로 입상의 삼존(三尊)을 조각하였다. 삼존불상은 허리 이하가 땅속에 묻혀 있어 전체 높이를 알 수 없지만 지상에 노출된 높이가 본존 118cm, 우협시보살(右挾施菩薩)이 86cm, 좌협시보살이 99cm이다. 삼불상은 마모가 너무 심하여 세부적인 표현을 알 수 없는데 전체적으로 불신에 비하여 불두(佛頭)가 크게 강조된 것이 특징이다. 또 본존은 높은 육계(肉桂)를 지니고 목에는 희미한 삼도(三道)가 표현되었으며 양 어깨를 덮은 통견은 밑으로 늘어져 가슴과 허리 밑으로 U자형의 옷 주름이 길게 늘어져 있다. 석불의 뒷면은 아무 조식(彫飾)을 가하지 않았다.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지만 훼손이 너무 심하여 불상의 세부 표현을 거의 알 수 없을 정도이다. 두현리 마을 주민들이 더 이상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각을 만들어 보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