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성탄산온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앙성탄산온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앙성탄산온천

앙성탄산온천

18.4 Km    51407     2024-05-08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가곡로 1457

충북 충주시에 위치한 앙성탄산온천의 온천수는 지하 700m에서 용출된다. 탄산온천은 몸뿐만 아니라 정신적 안정에도 효과가 있다. 먼저, 탄산온천에 입욕을 하면 탄산가스가 피부로 흡수되어 모세혈관을 자극, 확장해 줌으로써 혈액순환과 심장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신진대사 촉진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관절염, 신경통, 당뇨병 등 다양한 질병에 도움이 된다. 또한 피로해소에 효과가 있어 심신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농민쉐프의묵은지화련(구 웰빙촌묵은지)

18.4 Km    5211     2023-11-03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이영남로 73
043-536-5191

매년 담그는 김장김치를 토굴 저장고에서 숙성시켜서 항상 똑같은 맛을 내는 묵은지 갈비전골, 묵은지 토종닭볶음탕 등 묵은지 음식 전문점(묵은지 제조에 대한 특허 보유)으로 자체 주차장을 갖추고 있어 개인 및 단체 예약이 가능하고 직접 담근 전통 장, 두부, 장아찌 등과 직접 재배한 농산물을 이용하여 만든 음식으로 토속적인 고향의 맛을 내는 식단을 선보이고 있다.

참한우마을

참한우마을

18.4 Km    1     2023-02-20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가곡로 1512
043-855-5808

1988년까지 중부지방 제일의 우시장이 있던 곳이 바로 충주다. 참한우마을은 한우 농가가 가장 힘든 시기를 보내던 2008년 5월에 문을 열었으며 정육점과 식당을 구분해 운영하는 '판매 따로, 식당 따로' 방식의 원조다. 참한우마을에서는 구이용 모둠세트가 인기다.

황토방

황토방

18.6 Km    0     2023-10-24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흑석로 21

황토방 한정식은 경기도 여주시 가남에 있는 한정식당이다. 고슬고슬하고 윤기가 흐르는 찰진 솥밥과 정갈하고 깔끔한 맛의 밑반찬으로 이루어진 상차림을 즐길 수 있다. 가족과 함께 나들이 후 한식으로 든든하고 맛있는 한 끼를 채우기도 좋은 곳이며 인근에는 솔모로 CC, 자유 CC 등이 있어 라운딩을 즐긴 골퍼들이 방문하기에도 좋은 식당이다. 황토방 한정식에서는 황토 정식, 고추장 황태구이 등의 메뉴가 준비되어 있으며 싱싱한 재료들로 정성스럽게 만든 음식은 집밥처럼 속을 든든히 채울 수 있다.

칠장사(안성)

칠장사(안성)

18.6 Km    39467     2023-12-05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현산 기슭에 있는 칠장사는 신라 선덕여왕 5년 자장율사에 의해 창건되었다는 설이 있는 사찰로, 고려 시대 1014년 혜소국사가 왕명으로 중창하였다. 칠장사와 칠현산이란 이름은 혜소국사가 이곳에 머물면서 일곱 명의 악인을 교화하여 현인으로 만들었다는 설화에서 유래되었다. 깊은 차령산맥이 그 줄기를 품고 있어 1383년에 왜구의 침입으로 충주 개천사에 있던 고려조의 역대 실록을 칠장사로 옮겨 8년간 소장해 소실을 면한 일도 있었다. 1389년에 왜구의 침입으로 전소되어 폐허로 내려오다가 1506년에 흥정이 중건했다고 한다. 이후 1623년에 인목대비가 아버지 김제남과 아들 영창대군의 원찰로 삼아 사세를 크게 중창했다고 전한다. 경내에는 대웅전과 국보 제296호 오불회괘불탱을 비롯하여 혜소 국사비, 철당간 등 지정문화재가 많다. 또한 칠장사에는 여러 구전이 내려오는데 궁예가 10세까지 활쏘기를 하며 유년기를 보냈다는 활터가 남아있으며, 의적 임꺽정이 갖바치 스님 병해대사에게 바친 꺽정불 이야기가 있다. 또한 암행어사 박문수가 과거시험을 보기 전에 나한전에서 기도를 드리고 잠이 들었는데, 꿈에 나타난 나한님이 과거시험 구절을 가르쳐 주어 장원급제했다는 설화가 내려오고 있어 시험 합격을 비는 사람들의 발길이 많은 곳이다.

비내길

18.6 Km    1455     2023-12-13

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 새바지길 17
043-850-3621

비내길은 충주 풍경길 9개 코스 중 하나로 총 2개의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내길 1구간은 약 7.5km 길이로 약 2시간 정도 소요된다. 방죽 길과 자전거도로를 넘나들며 철새 전망 공원까지 걷고, 철새 전망 공원에서 남한강 변을 따라 옛 조대 나루터까지 갔다가, 조대 마을에서 논길을 따라 앙성 온천 광장으로 돌아오면 비내길 1구간이 마무리된다. 주요 스팟으로는 벼슬바위 전망대, 강변 내려가는 계단 등이 있다. 2구간의 경우 총 11km길이로 약 4시간 30분이 소요된다. 비내길 2구간은 새바지산을 넘어 비내섬으로, 다시 남한강과 앙성천을 따라 출발점인 앙성온천광장으로 이어진다. 2구간의 주요 스팟으로는 비내마을 느티나무, 철새전망공원 등이 있다.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18.7 Km    19642     2023-08-17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삼용리

금강의 지류인 미호천(美湖川)을 끼고 전개되어 있는 야산지대인 이곳 이월면 삼용리는 이웃 덕산면 산수리와 더불어 삼국시대 토기 성립 과정을 알려 주는 가마터들이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이 진천 지역 토기 가마터들은 1986년에 중부고속도로 건설공사 일환으로 시행된 문화유적 조사 중 한남대학교 발굴단이 발견하여 연차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삼국시대 초기의 토기, 제작 기술을 규명할 수 있는 많은 자료를 제공하였다. 1990년도에 발굴된 이곳 삼용리 요지군에서도 서기 2~3세기 경의 타날물 토기 가마터 6기(基)가 조사되었다. 길이 2.4m에 불과한 소형부터 7.9m에 이르는 대형까지 크기는 다양하였으나 모두 바닥과 벽은 땅을 파 지하에 설치하고 천정은 지상에 나온 반지하식 등요였다. 이 가마터들의 가장 큰 특징은 연소실의 구조로, 아궁이의 바로 밑이 불을 때는 곳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직식 연소실(垂直式燃燒室)의 등요는 중국 전국시대 토기요에서 유래된 것이다.

라드라비 아트앤리조트

18.7 Km    4     2023-12-19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진상미로1163번길 220

경기도 이천시 남부에 위치한 라드라비는 인생의 예술에 대한 의미를 기록하는 다양한 문화 예술 공간으로 채운 복합문화공간이자 부티크 리조트다. 라드라비(L’art de la Vie)는 프랑스어로 ‘인생의 예술’이란 뜻으로, 2022년 오픈했다. 1만여 평의 대지 위에 들어선 라드라비 아트앤리조트는 빌리지와 리조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빌리지에는 메인 공간인 아트갤러리를 중심으로 멀티플렉스, 러닝스페이스, 이탈리안 레스토랑, 한식 다이닝, 카페&베이커리, 아트샵 등이 있다. 리조트는 한옥 3채와 빌라 8동, 워크샵빌라(단체숙소) 1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정적인 분위기와 이상일 작가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아트 갤러리를 함께 즐길 수 있어 방문객들의 호평을 얻고 있다. 이곳의 멀티플렉스는 프라이빗 웨딩과 파티 공간으로 이용 가능하며 화제의 넷플릭스 드라마 [더글로리]에 나온 연진의 결혼식 장소로 유명하다. 아트갤러리는 숙박 또는 식사&카페 이용 시 별도의 입장료 없이 관람 가능하나 미술관만 관람할 경우 입장료를 내야 하며, 1일 2회 도슨트 투어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총 4개의 전시관이 있고 이상일 작가의 다양한 펜슬 드로잉 대작들과 35년간 헤어디자이너로 일하며 고객들의 헤어상태를 기억하기 위해 샘플링해 두었던 모발이 예술작품으로 재탄생한 [뷰티DNA], 자신의 죽음을 상상하며 장례식장을 표현한 [라스트 뷰티] 등의 대표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용인비봉산캠핑장

용인비봉산캠핑장

18.7 Km    2     2023-02-16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상삼로 188-38

비봉산 자락에 위치한 자연친화적 캠핑장이다. 서울근교로 접근성이 좋고, 가족단위 캠퍼들 위주의 캠핑장으로 아이들과 함께 즐기기에도 좋은 캠핑장이다. 캠핑장 가까이 한택식물원이 있어 아이들과 함께 둘러보기에도 좋다.

영창대군묘

영창대군묘

18.7 Km    18261     2024-05-30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고은리

조선 선조의 14명 아들 중 유일하게 정비인 인목왕후가 낳은 아들로 선조의 특별한 총애를 받았던 영창대군의 묘이다. 유영경 등 소북파의 지지로 이미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 대신에 세자에 책봉될 가능성도 있었으나 선조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광해군 즉위 후 이이첨 등 대북파에 의해 왕위에 위협을 주는 인물로 미움을 받았다. 박응서 등 7명의 서출들이 역모를 꾸몄다는 ‘7서의 옥’이 일어났는데, 이들로 하여금 영창대군 추대 음모를 거짓 진술케 하였다. 이 결과 영창대군은 서인으로 강등되어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강화부사가 방안에 가두고 장작불을 지펴 그 열기로 죽게 하였다. 1623년 광해군을 몰아낸 인조반정으로 관작이 복구되었다. 조선 시대 왕실의 무덤은 능, 원, 묘로 구별되는데 묘란 일반적인 무덤을 가리키는 말로 왕의 자손이나 후궁, 왕의 아버지인 대원군 등의 무덤을 뜻한다. 영창대군 묘소는 원래 광주군 남한산성 아래에 있었는데 성남시 개발계획에 따라 1971년 8월에 현 위치로 이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