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Km 2025-04-07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정금리 694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은 국내 최초의 차 시배지로 1,200년의 야생차 생산의 역사를 가진 곳이다. 차나무 생육에 적합한 기후 조건으로 화개면에서 생산된 차는 왕에게 바치는 진상품이었다. 지리산 화개동의 깊은 골짜기와 바위들 사이에서 자라는 하동 야생차는 맛과 향이 뛰어날 뿐 아니라 뭉텅뭉텅 구름 모양으로 자라난 차나무들이 이국적인 풍경을 만들어 사진 작가들이 많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이곳은 하동군이 선정한 ‘하동 10경(景)’ 중 하나로 ‘정금다원’ 근처에 있는 언덕 위의 정자에서 차밭을 내려다보면 환상적인 풍경을 볼 수 있다. 또한 화개면에서 생산된 야생차는 맛과 향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5.3Km 2024-07-01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로 334
하동군 화개면에 있는 '브릿지 130'은 자연 속에 있어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시골 뷰 카페이다. 어느 곳에 앉아도 훤히 보이는 녹색 풍경 덕에 눈이 맑아지는 기분이 든다. 카페 아래쪽의 화개천과 앞에 보이는 차밭과 산이 어우러져 하동의 계절을 눈에 담을 수 있다. 핸드드립으로 내려주는 커피를 비롯해 라테, 차, 주스, 스무디 등을 판매하며 디저트는 허니브레드와 케이크가 있다. 내부 공간은 협소한 편이지만, 야외 공간이 넓어 야외에서 차를 즐길 수 있다. 소나무 한 그루와 함께 넓게 펼쳐진 녹차밭을 품고 있으며 바로 앞에는 화개천이 흐르는 자리가 포토존이자 가장 인기 있다. ※ 반려동물 동반가능 (야외 테라스만)
5.3Km 2024-07-25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하동 천년차밭길은 차 향기 그윽한 산책길로 유명하며, 하동의 봄을 만끽하는 최고의 길이다. 차 시배지에서 신촌 차밭, 천년 차 나무 후계목을 거쳐 정금 차밭에 이르는 4.0㎞ 구간으로 언덕과 차밭을 잇는 데크길과 좁은 마을길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 험하지 않고 도보 2시간 정도의 코스로 걷기에 딱 좋다.
5.4Km 2025-05-07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섬진강대로 4276
소셜미디어에서 ‘전망 좋은 재첩국수 식당’으로 유명해진 곳이다. 이 식당에서는 재첩 본연의 맛과 풍미를 제대로 경험할 수 있다. 진한 재첩 국물은 소면과 어우러지며 입안 가득 감칠맛을 채워 넣는다. 바싹하게 구운 재첩전은 막걸리가 절로 생각나는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5.4Km 2023-12-22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외곡리 산126
지리산 둘레길 16코스는 10.5km다. 가탄마을부터 송정마을까지 이어진다. 난이도는 하급이다. 재를 두 개 넘으며 경남 하동과 전남 구례를 잇고, 깊숙한 숲길 사이 섬진강 청류 굽이굽이 내려보며 걷는 구간이다. 작은재와 목아재 사이에 연곡골 기촌마을을 제외하면 중간에 인적을 만나기 힘들 정도로 조용하고 경사도가 심하다. 피아골과 송정마을 안한수내 골짜기는 한국전쟁 당시 대립 과정에서 많은 희생과 고초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다.
5.4Km 2025-01-08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정금리 산 144
정금차밭은 하동에 위치해 섬진강과 화개천이 가까이에 있어 안개가 많고 다습하며 밤낮의 기온 차가 커서 차를 재배하기에 좋은 자연조건을 갖춘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차밭 맨 꼭대기에는 ‘단금정’이라는 정자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곳은 차밭을 배경으로 인생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최고의 사진 촬영 장소로 유명하며 녹차밭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녹차밭을 더 가까이 느끼고 싶다면 차시배지에서부터 정금차밭까지 2.7km 코스의 산책길인 천년차밭길을 걸어도 보는 것을 추천한다.
5.5Km 2024-12-23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악양서로 357
하동군 1읍 12면의 1면이며 면적은 51.8㎢ (농경지 12.4, 임야 35.2, 기타 4.2)이다. 위치는 동(東)으로 적량면, 서(西)는 화개면, 남(南)은 하동읍과 섬진강을 건너 광양시 다압면, 북(北)은 청암면과 접하며 1도 1시 5읍면과 접하고 있다. 지세는 1면 1촌식으로 형성되었으며, 지리산 준령의 3면이 분지형 산악이며 중심부는 악양천이 흐르고 토지는 비옥하다. 행정구역은 14개 법정리동에 30개 자연부락 53개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735세대 3,800여 명이 살고 있다. *감 중의 으뜸 대봉감 대봉감은 ‘과실중의 으뜸은 감이요, 감중의 으뜸은 대봉감’이라 할 정도로 색깔과 모양이 아름답고, 감칠맛이 난다. 하동 전체의 80%이상의 대봉감을 생산하는 악양면은 삼면이 둘러싸인 분지형으로 바람의 피해가 적고, 겨울이 따뜻해서 품질이 우수한 대봉감을 생산하기 적격이다. 악양면 평사리공원에서는 매년 10월 말, 대봉감축제가 열리며 감따기, 곶감 만들기 등의 다양한 체험도 할 수 있다. *심신이 맑고 편안해지는 하동 야생차 통일신라시대 흥덕왕 때 대렴이 당나라로부터 차 종자를 가져와 왕명에 의해 지리산에 심어진 것이 차의 시초로 알려져 있다. 하동은 섬진강과 함께 여러 지류가 있어 안개가 많고, 다습할 뿐 아니라 일교차가 커서 차나무를 재배하기 쉽고 차나무가 자라기 좋은 토질을 가지고 있다. 녹차는 곡우를 전후해 잎을 따기 시작해 덖음과 비비기(유념) 작업을 거친 뒤 건조하여 만든다. 발효를 통해 다른 맛과 향을 지니게 만드는 홍차는 차 잎에 있는 폴리페놀 성분이 산화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독특한 향과 맛을 만들게 된다. 온도와 습도가 높을수록 발효가 빨리 진행되지만 18시간 정도의 자연발효를 거쳐야 더 좋은 차를 얻는다. ※ 슬로시티(Slow City)는‘ 느리게 살기 미학’을 추구하는 도시를 가리킨다. 2009년 2월 6일 이태리의 감파니아주 카이아죠시에서 열린 슬로시티 국제조정이사회에서 하동군 악양면이 단독으로 상정되어 우리나라 5번째의 슬로시티로 인증받았다.
5.5Km 2025-01-31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동상신길 68
최참판댁과 동정호 그리고 평사리 인근에 위치한 그림책 카페 정서리는 개개인의 평안을 위한 정서적 공유 공간을 지향한다. 지리산의 치맛자락에 둘러싸인 시골의 작은 카페이지만, 메인 공간에서는 평안함을 주는 지리산을, 룸에서는 들판의 푸르름과 황금물결을 계절에 따라 즐길 수 있다. 하동의 평안함에 반해 귀촌을 한 사장님의 애정이 담뿍 담긴 카페이다. 커다랗고 편한 테이블과 의자에 앉아 책장에 차곡히 채워져있는 그림책들을 읽을 수 있는데, 정서리 지키미들이 매달 주제를 선정하여 그 달의 그림책들을 선정하며 소박한 큐레이션 가이드도 있어 더 풍성하게 독서를 즐길 수 있다.
커피 머신을 사용한 에스프레소 기반의 커피 음료 이외에도 다수의 음료와 디저트 메뉴들을 하동을 기점으로 인근 지역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공한다. 특히, 티 메뉴는 하동 악양의 다원인 쟈드리의 티를 사용하고, 호지티라떼, 말차라떼(프리미엄급) 모두 하동에서 생산된 제품을 적당한 당도와 깊이 있는 진하기로 선보인다. 디저트는 주중에는 1~2가지, 주말은 3~4가지를 준비한다.
5.5Km 2024-02-15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로 357
멋진 뷰를 자랑하는 더로드 101은 하동군 화개면 십리벚꽃길 끝자락에 있다. 심플한 돌담과 꺾어진 소나무가 인상적인 입구로 들어서면 압도적인 정원이 펼쳐진다. 시그니처 메뉴는 지리산 라테, 매실에 모히또 등이 있고 다양한 베이커리도 판매하고 있다. 보존제나 산화제가 들어있지 않은 빵은 되도록 빨리 먹는 게 제일 맛있지만 자율 포장대가 있어 남은 빵을 포장해 갈 수 있다. 매장 한편에는 지역 특산품과 기념품 등의 여러 상품을 같이 판매하고 있다. 식물과 연못이 있어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자랑하며 지리산 뷰가 특히 장관이고 포토존도 곳곳에 마련되어 있다. 대형 카페인만큼 실내와 실외에 모두 테이블이 많고 단체석도 충분히 있다. 모래놀이를 할 수 있는 놀이터가 따로 있어서 어린이와 함께 방문하기도 좋다.
5.5Km 2025-03-26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6
전남 구례읍 토지면의 기촌마을은 19번 국도에서 피아골 가는 입구에 있는 마을로 지리산 둘레길 가탄~송정 코스를 걷다 보면 만날 수 있다. 목아재에서 기촌마을로 향하는 3㎞가 조금 넘는 산길은 지리산 둘레길 구례 구간 중 가장 걷기 좋은 길로 알려져 있다. 기촌마을로 내려가는 길 중간엔 엄청난 규모의 밤나무밭이 있고 둥굴레 나무와 녹차밭도 있다. 기촌마을은 약 40년 전까지 문 종이, 즉 한지를 만들었으나 지금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한봉(토종꿀)과 밤나무를 주 수입원으로 삼고 있다. 펜션단지가 있는 은어마을이 기촌마을 맞은편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