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정사(하동)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칠보정사(하동)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칠보정사(하동)

16.5 Km    19140     2023-11-07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칠성로 748-8

칠보정사는 지리산 주봉인 천왕봉에서 남쪽으로 삼신봉을 거쳐 내려온 칠성봉 기슭에 있다. 혜안스님이 꿈에 현몽을 받고, 오랫동안 절터를 찾아 헤매다가 1990년 윤오월에 터를 닦고 토굴을 지어 부처님을 모시면서 시작되었다. 1997년에 극락보전을 조성하고, 2000년 1월 18일 대한불교 무량종 총본산으로 지정하였다. 2001년 6월 5일 비영리법인 종교 단체인 대한불교 무량종 칠보정사로 등록하였으며, 2004년 무량선무도 창단식을 하였다. 칠보정사 사찰 도량은 백두산 천지의 기가 태백산으로 흘러, 지리산으로 들어와 주봉인 천왕봉 원맥에서 정남으로 길게 뻗은 줄기 삼신봉을 거쳐 칠성봉으로 기가 모인 곳으로, 사람을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하고 인간의 숙명을 좌우한다는 삼신과 칠성의 기를 모아 인연 있는 중생의 발원에 따라 부처님의 자비로 일체중생들의 구원이 자비 광명으로 화할 수 있는 곳이다. 칠보정사 인근에는 구재봉자연휴양림과, 하동호, 삼화저수지 등 하동의 관광 명소가 많은 지역이다.

구재봉자연휴양림

구재봉자연휴양림

16.7 Km    3     2023-01-30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중서길 60-81

지리산과 섬진강의 청정 산수 경관을 모두 감상할 수 있는 하동 구재봉에 위치한 자연휴양림은 자연 생태계를 그대로 보전하여 일상 속 긴장감과 스트레스를 내려놓기 좋은 곳이다. 구재봉 자연 휴양림은 지리산 자락을 따라 나무들이 울창하여 맑은 공기를 마시며 등산을 할 수 있다. 휴양관, 트리하우스, 집라인, 에코어드벤처, 모노레일 등 다양한 레저시설을 갖추어 온 가족이 마음껏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힐링 공간이다. 구재봉 자연휴양림만의 특징으로는 트리하우스 모양이 동화 속에 나오는 집처럼 독특하여 누구나 한 번쯤 들어가 보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는 것이다.

홍바짬뽕

홍바짬뽕

16.8 Km    0     2024-06-28

경상남도 사천시 노례길 3

홍바짬뽕은 경상남도 사천시 노룡동, 사천 시청 인근에 있는 중식당이다. 삼천포 앞 바다에서 잡히는 홍합과 바지락으로 국물 맛을 내는 짬뽕 전문점으로 주차장이 넓게 마련되어 있고 매장 내부는 많은 손님들로 인해 웨이팅 기계가 마련돼 있다. 시그니처 메뉴인 홍바짬뽕은 문어 한 마리가 통으로 들어가 있으며 100% 국산 고춧가루와 홍합, 바지락 등을 사용한다. 주문 즉시 요리가 시작돼 시간은 조금 소요되지만, 최고의 한 그릇을 손님께 대접한다는 자부심이 대단한 곳이다. 홍바짬뽕 외에도 홍짜장, 낙지홍바짬뽕도 , 짜장도 인기다.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

16.8 Km    25342     2024-06-17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유수길75번길

진주 유수리의 백악기 화석산지는 진주 남강의 한 물줄기인 가화천 강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남강댐의 방수로로 사용되는 강바닥이다. 약 1억 년 전 물과 바람 등에 의해 돌이 쌓이면서 넓이 150m, 길이 2㎞로 만들어진 화석 산지에서 지골 화석과 발가락뼈, 좌골 화석 등 100여 점에 달하는 공룡 뼈가 발견되었다. 오래된 토양층이나 나무 그루터기 화석, 화석 숯, 각종 과거 생물의 생활흔적화석 등 다양한 화석들도 발견되었다. 유수리 가화천 일원의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누층군 신동층군 하산동층의 상부에 해당하는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퇴적층이 하상을 따라 대규모로 노출되어 있어 퇴적환경을 연구하고,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들이 발달하여 있는 자연사 유적지이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실안낙조

실안낙조

16.8 Km    0     2024-04-23

경상남도 사천시 실안동 1248

사천팔경 중 제2경인 실안낙조는 전국 9대 일몰지의 하나로, 해 질 녘 부채꼴 모양의 참나무 말뚝으로 만든 죽방렴과 섬, 바다, 그리고 일몰이 환상적인 조화를 이룬다. 삼천포 대교 옆 아름다운 실안노을 길에서 보는 낙조는 주변 바다의 죽방렴과 옹기종기 떠 있는 그림 같은 섬들 그리고 등대가 어우러져 한 폭의 작품과 같은 경관을 연출한다. 사진 전문가들이 즐겨 찾는 곳이며 실안 낙조 근처에는 사천지역의 대표적인 어업 중 하나인 전통 어장 ‘죽방렴’이 해 질 무렵 절경을 뽐낸다.

사천시농업한마당축제

사천시농업한마당축제

16.8 Km    26239     2024-02-06

경상남도 사천시 시청로 77 사천시청
055-831-3760

제15회 사천시농업한마당축제는 오는 10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사천시청 노을광장 일원에서 개최된다. 지역 특산품으로써 우수 농축산물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다채로운 전시, 판매, 시음·시식, 체험행사를 진행하며, 행사장을 찾는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먹거리, 볼거리, 살거리, 체험거리, 즐길거리 등을 제공하며, 제1회 전국농업인가요제, 추수감사제례, 축산사랑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 윷놀이 대회 등 전 세대가 즐기고 공감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 펼쳐진다.

사천사랑시티투어 ‘항공산업관광투어코스’

사천사랑시티투어 ‘항공산업관광투어코스’

16.8 Km    31     2024-04-09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시청로 77

대한민국 대표 항공우주 체계 종합 방위산업체인 한국항공우주산업㈜와 국내 최초의 항공 MRO 전문업체인 한국항공서비스㈜의 산업현장과 사천시의 주요 관광지를 순회하는 코스이다. 사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한국항공서비스 정비동 ⇒ KAI 에비에이션센터 ⇒ KAI 고정익동·회전익동 ⇒ 사천항공우주과학관·항공우주박물관 ⇒ 사천바다케이블카·삼천포대교공원 ⇒ 최초거북선길(무지갯빛 해안도로)·대포항을 돌아보는 코스이다. 전투기, 헬기 제작 공장과 함께 기체정비 공장을 볼 수 있는 국내에서 유일한 체험코스이다. 산업현장과 사천시 관광지에는 적절한 해설을 제공하여 관광객들에게 관련 지식을 설명한다.

사천와룡문화제

사천와룡문화제

16.8 Km    27742     2024-04-22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시청로 77
055-835-6436

사천와룡문화제는 "사주천년"이라는 역사적 자긍심과 지역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용과 왕, 고려현종"이라는 소재로 사천의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을 축제에 표현함으로써 지역민들의 문화적 참여를 바탕으로 매년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가 있는 사천시의 대표 축제이다.

지리산둘레길 12코스 삼화실~대축

지리산둘레길 12코스 삼화실~대축

16.8 Km    1     2023-12-27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우계리 산397

지리산 둘레길 12코스는 16.3km다. 삼화실을 시작으로 이정마을 등 6개 마을을 거쳐 대축마을로 이어진다. 난이도는 중급이다.
논, 밭, 마을길, 숲길 등 다양한 길들이 계절별로 다른 모습을 하고 반긴다. 봄에는 꽃동산을, 가을이면 황금으로 물든 풍요로운 지리산 자락을 펼쳐 놓는다. 특히 먹점마을의 봄은 매화꽃으로 물들어 다른 곳보다 먼저 봄을 맞이할 수 있다. 먹점재에서 미동 가는 길에 만나는 굽이쳐 흘러가는 섬진강과 화개 쪽의 형제봉 능선, 그리고 섬진강 건너 백운산 자락이 계절별로 색을 바꿔 순례자와 여행객들의 마을을 잡고 놓아주지 않는다.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

16.9 Km    20424     2024-06-11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창선면 단항마을 앞 농경지 안에서 자라고 있는 천연기념물 왕후박나무는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8.6m로 가지는 밑동에서부터 11개로 갈라져 있다. 옛날 단항마을 어부 한 사람이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큰 고기 한 마리를 잡았는데, 뱃속에서 씨앗이 나와 뜰에 심었더니 하루가 다르게 나무가 자랐고 이것이 왕후박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주민들은 이 나무를 동제나무라 칭하며 매해 음력 섣달그믐날 정성스레 동제를 올리며 풍년과 풍어를 빌었다고 한다. 후박나무는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 등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로 일본, 대만 및 중국 남쪽에도 분포하고 있다. 주로 해안을 따라 자라며 껍질과 열매는 약재로 쓰인다. 나무가 웅장하게 자라기 때문에 정원수, 공원수 등에 이용되고 바람을 막기 위한 방풍용으로도 심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