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 따라, 녹차향 따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섬진강 따라, 녹차향 따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섬진강 따라, 녹차향 따라

16.6Km    2023-08-09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차 시배지인 하동에서 신선한 녹차를 맛보고 최근 새로운 랜드마크로 떠오른 스타웨이에서 평사리 들판과 섬진강의 아름다운 풍경을 한눈에 담아보자.

초전집

초전집

16.6Km    2024-07-04

경상남도 남해군 동부대로 9

남해 초전집은 2021년 오픈한 퓨전 한식당으로, 한우와 꼬막을 이용한 꼬막 비빔밥 & 육회를 판매하는 맛집이다. 깔끔한 인테리어와 정갈한 상차림, 푸짐하게 나오는 메뉴들로 젊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대표 메뉴는 육전 꼬막 비빔밥과 육회 꼬막 비빔밥이다. 남해안에서 잡아 올린 새꼬막을 초전집의 특제 액젓 소스에 각종 야채와 버무려 갓 지은 밥을 비벼 커다란 대접에 육전과 함께 낸다. 육회 꼬막 비빔밥은 육전 대신 1등급 이상의 한우가 나온다. 비빔밥을 싸 먹을 수 있게 나오는 털보 김은 곱창 김으로, 일반 김보다 두께가 두꺼워 오독오독 씹히는 식감이 좋다. 주변에는 설리 스카이워크와 상주 은모래비치, 설리 해수욕장이 있어 연계 여행하기 수월하다.

경충사(정기룡장군유허지)

경충사(정기룡장군유허지)

16.6Km    2024-06-14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경충로 503-14

진양정공 보국숭록대부 충의공 정기룡 장군의 사당이다. 정기룡의 호는 매헌이고 조선시대인 1562년(명종 17)에 출생하였으며, 1622년(광해군 14) 2월 한산도 통제영에서 삼군 통제사 재임 중 세상을 떠났다. 정기룡은 무과에 급제한 뒤 임진왜란 당시 경상 우도방어사 조경 장군이 적에게 포로가 되자 구출에 성공하여 장군의 명칭을 얻었다. 그 뒤에도 크고 작은 싸움터에서 80여 회의 승전을 거듭하였다. 광해군 때 지중추부사, 오위도총부총관, 도총관, 삼도 수군통제사를 거쳐 보국숭록대부에 이르렀다. 사당은 장군의 충의를 이어가고자 지방 선비와 후손들이 1932년에 건립하였으며, 장군의 제사를 모시고 있다. 1989년 이후 경충사 성역화 사업이 본격화하면서 하동군 청소년 수련마을이 마련되어 있다.

남해 항도어촌체험마을

남해 항도어촌체험마을

16.6Km    2025-04-07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동부대로310번길 32-8

항도어촌체험마을은 경남 남해군 최고의 항구인 국가어항 ‘미조항’의 인근에 위치하며 마을 앞에 있는 섬과 마을사이에 간조 시에 드러나는 목이 있어 일명 목섬 이라고 불렸다. 마을앞 바다에 말안장과 같이 생긴 섬 ‘마안도’ 와 팥 모양을 닮은 ‘팥섬’이 있어 전형적인 바다와 섬의 조화를 이루어 예전부터 남해도에서 경치가 가장 좋은 어촌으로 불리고 있다. 좁은 골자기에 형성된 마을이라 농토는 적지만 산세가 좋아 물이 흔하고, 또한 선박을 운항할 수 있는 포구가 좋아 어업이 발달하여 지금도 어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많다. 마을 해안에는 자연으로 이루어진 몽돌밭이 자리하고 있으며 수심이 깊고 바닷물이 맑아 해양생태계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마을 방파제에서는 바다낚시를 즐기는 관광객들이 사계절 손맛을 즐길 수 있는 낚시 포인트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지리적으로 동쪽에 위치하여 마을의 전망대에서는 연중 일출을 감상하는 관광객이 줄을 잇고 있다. 주요 체험거리로는 낚시체험, 고둥잡기, 해삼잡기, 갓후리체험 및 스킨스쿠버 체험 등이 있으며 양식장과 정치망의 조업광경은 어린 아이들의 체험학습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각종 해산물, 해조류, 자연산 어종을 잡는 정치망 2척이 있어 매일 신선한 생선을 맛볼 수 있으며, 지자체의 지원과 주민들의 출자를 통해 민박을 운영해 오고 있으며 넉넉한 우리 어촌의 인심은 많은 사람들이 먼 거리도 마다하지 않고 찾아오게 하고 있다.

여수 녹테마레

여수 녹테마레

16.6Km    2025-01-17

전라남도 여수시 만성로 294 (만흥동)

녹테마레는 밤과 바다의 합성어로 ‘여기 당신과 내가 빛나는 밤바다 위로 아무도 몰랐던 환상의 바다, 마레가 열린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국내최초의 미디어아트 파빌리온 전시관이다. 해양도시 여수를 상징하는 대표적 자연경관인 여수 밤바다를 주제로 하고 있는 약 1400평정도의 대규모 전시관으로 다양한 아티스트들의 음악, 여수 특색이 담긴 생동감 넘치는 테마영상 및 8가지 전시관이 구성되어있다. 그 외에도 미디어 아트 뿐만아니라 아트갤러리,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워터루프탑 카페와 마레산 측면의 만성리 바다전망으로 감성과 힐링, 다채로운 빛의 향연을 통한 특별한 즐거움을 간직할 수 있다.

다맥 어촌체험마을

다맥 어촌체험마을

16.7Km    2025-04-07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다평로 2

사천시 서포면 다평리에 위치한 어촌체험마을이다. 바다와 섬, 갯벌이 어우러진 곳으로 경관이 수려하고 굴, 전어, 낙지 등이 유명하다. 어촌체험마을답게 바지락, 굴, 모시조개, 고둥 등 다양한 해산물을 직접 채취할 수 있어 아이들의 체험학습에도 좋으며, 낚시, 산악자전거 등 다채로운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마을 안에는 사천시 어촌체험 교육관이 있어 숙박시설로 이용할 수 있으며, 족구·배구·농구 등을 즐길 수 있는 체육시설과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다.

별주부전테마파크

별주부전테마파크

16.7Km    2025-03-18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용궁로 132

아름다운 해안선을 따라 걷다 보면 나오는 별주부전테마파크는 별주부전을 테마로 한 공원답게 토끼, 거북이를 곳곳에서 볼 수 있다. 경남 사천에 위치한 비토섬은 토끼와 거북을 닮은 섬이 마주 보고 있어 별주부전의 고향으로 알려져 테마파크가 조성되었다. 벚꽃이 피는 시기에는 산책로에 벚꽃 터널이 형성되며 산책로 입구에 거대한 토끼 석상과 살아 움직이는 토끼들을 볼 수 있어 아이들과 함께 와도 좋다. 오르막을 살짝 오르면 멋진 바다 뷰도 볼 수 있고 전망대는 물론 아기자기한 조형물과 놀이터, 물놀이장, 캠핑장, 미로 숲 등이 있어 가족들과 함께 나들이하기 좋은 곳이다.

힙한식

힙한식

16.7Km    2025-01-20

경상남도 남해군 동부대로 2

남해 힙한식은 부부 셰프가 운영하는 남해의 한정식 레스토랑으로, 두 셰프가 처음 만난 남해로 돌아와 한식 레스토랑을 열었다. 남해 인기 장소답게 카페 같은 인테리어에 식기류도 깔끔하고 정갈한 세팅으로 남해를 찾는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높다. 테이블은 5~6개 정도로 협소한 편이며, 운영 시간과 예약 방법이 자주 바뀌기 때문에 반드시 방문 전 인스타그램을 참고해야 한다. 메뉴는 세 가지로 간단하다. 대표 메뉴는 2인분부터 주문 가능한 힙한식 솥밥이다. 전복 내장과 힙한식 특제 오일을 넣어 밥을 짓고 커다란 전복과 해조류를 올려낸다. 남해 마늘 먹은 돼지고기에 숯불 향을 입혀 구운 숯불에 구운 양념 목살구이도 인기가 좋다. 바삭 해물파전은 쪽파에 오징어와 새우살, 청양고추 반죽으로 바싹하게 구워낸 파전이다. 주변에 초전 몽돌해변이 근처에 있어 연계하여 여행하면 좋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포유호스텔

16.7Km    2024-11-27

전라남도 여수시 오동도로 46

포유호스텔은 여수시 수정동에 위치하여 여러 관광지와도 근접해 있다. 조용하고 깔끔한 숙소를 제공한다.

여수 충민사

여수 충민사

16.8Km    2025-04-16

전라남도 여수시 충민사길 52-23

충민사는 마래산(385.2m)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데, 선조 34년(1601) 체찰사 이항복(1556~1618)이 왕명을 받아 임진왜란이 끝난 뒤의 민심을 살펴본 후 통제사 이시언에게 명하여 건립한 것이다. 충민사를 세우자 우부승지 김상용이 임금께 이 사우의 이름을 지어달라고 간청하여 선조가 직접 이름을 짓고 그것을 새긴 현판을 받음으로써 이충무공과 관련된 최초의 사당이 되었는데, 함께 충무공을 기리는 통영의 충열사보다는 62년, 숙종 30년(1704)에 세워진 아산의 현충사보다는 103년 전의 일이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여러 사람들 가운데 가장 먼저 제사를 모시는 분으로 하고 의민공 이덕기, 충현공 안홍국이 좌우로 배향되었다. 그 후 숙종 35년 충민공 이봉상을 신묘로 모시고 석천제를 창설하였으며, 영조 8년(1732)에 사우를 중수하였다.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충민단만 남기고 모두 철거되었으나, 고종 10년(1873) 지역 유림들의 진정으로 건물을 다시 세우고 판서 윤용술이 쓴 충민사 현판을 걸었다. 1919년에 일제에 의해 강제 철거된 후, 1947년 2칸 집으로 명맥을 유지해 오다가 지역 주민의 노력으로 다시 세워 1993년 6월 1일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바로 옆에 수호사찰 석천사가 있으니 함께 둘러보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