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원산자연휴양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금원산자연휴양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금원산자연휴양림

금원산자연휴양림

13.3 Km    80144     2024-06-26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금원산길 412

금원산산림자원관리소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역사·문화의 숨결을 간직한 곳으로서 생태수목원과 자연휴양림을 관리·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지대에 위치한 금원산 생태수목원은 희귀·특산식물 1,500여종의 수집·보존·연구·전시를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만병초원, 암석원, 구상나무종보존원, 수국원 등 다양한 주제원과 숲체험교육장, 방문자센터가 있으며 그 밖에 자연경관을 편하게 관찰할 수 있는 데크로드가 있다. 자연을 보다 가까이 접하고 도시문명을 잠시나마 벗어나고 싶은 분을 위한 공간이다. 준비한 텐트를 빠르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공동 취사장과 공동 화장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좋은 것은 청정계곡을 보다 가까이 접하고 편안히 즐길 수 있는 점이다.

구연서원

13.3 Km    16555     2023-12-05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은하리길 100

구연서원은 1540년에 낙수 신권(1501~1573) 선생이 세운 구연재라는 서당으로 출발하여, 1694년에 신권 선생과 석곡 성팽년 선생(1540~1594)을 배향하는 구연서원으로 발전하였다. 1808년에는 황고 신수이 선생을 추가 배향하였다. 1868년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문루인 관수루와 강당은 지금까지 남아 있다. 신권 선생의 사적비와 신권 선생을 위한 산고수장비, 열녀비, 효자비가 많고, 관수루가 사원의 문처럼 서 있다. 관수루는 위천변에 남서향하여 자리 잡고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누의 하부는 중앙 기둥 열에 3칸의 문을 달았으며, 배면의 누하주는 심하게 굽은 목재를 사용하였다. 누 상부는 통칸누마루형이고 계자각 난간을 둘렀으며 좌측에 있는 바위를 타고 작은 나무다리로 출입한다. 맞은편에는 요수정이 있으며, 주변에는 수승대 관광지가 있다.

용추솔밭관광농원

용추솔밭관광농원

13.4 Km    3     2023-12-20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로 494-6

용추솔밭관광농원 캠핑장은 함양 안의면에 있는 용추계곡 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기백산 군립공원에 속한 국가 명승지 용추폭포가 차로 3분 거리에 있는 경치 좋은 곳이다. 특히 캠핑장은 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어 눈앞으로 황석산 자락이 한눈에 들어오고 아래로는 용추계곡의 물 구비가 아스라이 내려다보이는 전망이 압권이다. 또 이러한 풍경을 바라보면서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야외수영장과 쉼터가 인기 만점. 펜션과 야외수영장 뒤쪽으로 두 개의 높은 단을 만들어 캠핑 데크를 들여놓았는데, 높은 곳으로 갈수록 전망은 좋지만, 편의시설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거창목재문화체험장

13.5 Km    0     2024-06-18

경상남도 거창군 송계로 487

거창 목재문화체험장은 대한민국 명승인 수승대 안에 위치한 목공 체험장이다. ​1, 2층은 로비전시실, 목재체험실, 영상관, 상설전시실, 기획전시, 유아체험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부의 벽과 기둥이 모두 나무로 마감되어 있어 나뭇결이 주는 자연스럽고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곳곳에 나무로 만든 다양한 제품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는데 일상에서 쓰기 좋은 실용적인 원목 도마, 책꽂이와 같은 생활용품을 비롯하여 서랍장, 나무키보드와 마우스, 소반과 나막신 등 다양한 원목 작품들도 전시되어 있다. 영상관은 나무가 주는 이로움과 편익에 대한 영상을 상영하고 목재 관련 세미나와 워크숍을 개최할 수 있는 공간이다. 나무 상상 놀이터는 친환경적인 놀이공간에서 자연과 나무를 주제로 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돕고 있다.

함양용추오토캠핑장

함양용추오토캠핑장

13.6 Km    3     2023-06-28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로 493

함양용추오토캠핑장은 경남 함양군 안의면에 위치한 오토캠핑장으로 용추계곡이 흐르는 곳에 자리하였다. 이곳은 30여 개 정도 사이트를 구비하여 많은 인원이 넉넉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사이트 자리마다 나무를 한 그루씩 심어놓아 나무 그늘 아래에서 시원하게 캠핑을 할 수 있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캠핑장 인근 용추계곡에서 더위를 피해 물놀이를 함께 즐길 수 있다.

용추글램핑&펜션

용추글램핑&펜션

13.6 Km    0     2023-12-26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로 479

푸르른 숲과 맑은 계곡이 반겨주는 자연 속 휴식처, 용추글램핑&펜션은 경남 함양군 안의면에 위치하고 있다. 바로 앞을 흐르는 계곡에서 물놀이를 하기에 좋다. 부대시설로 넓은 주차공간, 카페 같은 휴식공간, 족구장 및 다목적 경기장 등을 갖추고 있다. 주변 관광지로 용유담, 거망산, 일두고택, 월봉산, 화림동 계곡 등이 있다.

월여산

13.7 Km    16454     2024-04-23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055-940-3470

월여산(863m)은 세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옛날에는 달맞이를 하던 곳으로 월영산이라고 불렸고, 비가 오지 않는 해에는 동네 사람들이 모여 밝은 달 아래서 풍년을 기원하며 기우제를 지냈기도 했던 곳이다. 월여산은 마고할미 박랑의 외동딸 월여가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오고 있으며, 용이 사는 연못에서 월여는 목욕을 자주 하였는데, 옥황의 아들이 이를 보면서 월여를 짝사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룰 수 없는 사랑에 눈물만 짓다가 바로 이 눈물이 비가 되어 내렸다고 한다. 기우제를 지내는 것도 이 전설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월여산이 이처럼 소원을 비는 산으로 유명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무학대사가 닭이 알을 품은 [금계포란형] 지형이라고 하여 해동 제일의 명당으로 지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많은 사람들이 가슴에 간절한 소원을 품고 이곳을 찾고 있다. 월여산 북쪽으로는 감악산, 동쪽으로는 소룡산과 악견산, 금성산, 남으로는 황매산, 서쪽으로 갈전산과 바랑산으로 둘려 싸여 있어 산세가 아름다우며 그야말로 명당다운 명당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이다. 월여산 정상 부근에는 기암괴석과 잘 어울리는 10ha의 철쭉군락지가 조성되어 있어서 5월 초 개화기에는 장관을 이룬다. 신원면 주민자치센터에서는 매년 철쭉제 및 면민안녕 기원제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천궁산장식당

천궁산장식당

13.7 Km    2     2022-12-06

경상남도 함양군 용추계곡로 519

1982년 개업 이후 한결같은 마음으로 손님을 맞이하는 천궁산장식당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에 있다. 용추계곡이 내려다보이는 절경은 천궁산장식당만의 매력으로 천궁산장식당은 계곡을 끼고 있어서 물놀이를 할 수 있다. 한방백숙은 푹 삶아서 고기가 부드럽고 연하여 맛이 훌륭하다. 이곳의 영수증 들고 가면 카페에서 음료 주문 시 음료 메뉴는 할인이 적용된다. 넓은 전용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다. 금원산, 농월정 등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입상

13.8 Km    16756     2024-05-30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금원산 북쪽 골짜기 큰 바위굴에 새겨져 있는 마애삼존불이다. 뒤의 돌계단을 오르면 바위굴이 있고, 안쪽 남향 바위에 삼존불이 새겨져 있다. 삼존불의 부분을 삼각선으로 그어 구획하고, 가운데는 보주형으로 다듬어 세 분의 부처를 새겼다. 중앙의 부처가 두 보살을 좌우로 거느린 모양이다. 중앙은 아미타여래, 오른쪽은 관음보살, 왼쪽은 지장보살로 보인다. 연꽃 수미단 대좌 위의 본존불은 얼굴인 넓적하며, 얼굴에 비해 작은 눈, 코, 입, 크지만 밋밋한 귀가 토속적 인상을 준다. 좌우 보살의 얼굴도 비슷한데 화려한 옷자락은 조금은 번잡한 느낌이다. 삼존불 모두 도드라지게 새겼으나, 전체적으로는 납작하게 표현되었다. 본존불의 각진 어깨, 밋밋한 가슴, 부자연스럽게 가슴에 모은 팔, 막대 같은 다리, 좌우로 벌린 발등 표현은 고려시대 부처상의 특징이다. 오른쪽에 새긴 글에는 1111년에 제작한 것으로 되어 있고, 바위굴 아래의 가섭암 자리는 1770년 대까지 절이 있었다고 하며, 당시의 것으로 보이는 몇 개의 석재가 남아 있다. 위천초등학교에 옮겨진 삼층석탑은 마애삼존불과 같은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정되고 있고, 마애삼존불은 가섭암에 있는 절과 함께 고려시대에 있었던 사찰의 일부였을 것이라고 한다.

우두산

우두산

13.8 Km    25619     2024-04-23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수월리

우두산은 별유산 또는 의상봉이라고도 부르며, 산의 형세가 소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의상봉(1,046m)은 우두산의 아홉 봉우리 중 가장 높은 곳이며,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참선한 곳이라고 해서 의상대사 이름을 빌려 산 이름을 지었다고 전한다. 사람들은 속세를 떠나 별유천지비인간(別有天地非人間)이라 할 만큼 경치가 빼어난 산이라고 해서 별유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두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동남쪽으로는 비계산, 북쪽으로 수덕산, 서북서쪽으로 덕유산, 기백산, 금원산, 황석산 등의 산과 능선이 보이며, 산세가 수려하기로는 덕유산, 기백산에 못지않은 아름다운 봉우리들이 많은데, 그중에서 의상대사가 참선하던 곳으로 알려진 의상봉, 처녀봉, 장군봉(953m), 바리봉, 비계산 등이 빼어난 산세를 자랑한다. 우두산 아래에는 고견사와 고견사폭포, 쌀굴 등이 있어 볼거리가 많으며, 고견사의 세 가지 구경거리로 높이 80m 되는 가정산 폭포, 최치원 선생이 심었다는 은행나무, 의상대사가 쌀을 얻었다는 쌀굴 등이 있다. 우두산에는 거창항노화힐링랜드와 우두산 Y자형 출렁다리가 있으며, 정상 남쪽 억새밭 지역에 있는 별유샘도 꼭 들러가야 할 곳 중 하나이고 가조천의 발원지가 되는 곳이다. 우두산 산행 후 가조 온천에서 피로를 풀 수 있어서 주말이면 등산객의 발길이 잦은 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