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공룡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성공룡박물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고성공룡박물관

10.0Km    2024-08-22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자란만로 618

세계 최대공룡발자국 화석지인 상족암군립공원 내에 국내 최초로 고성 공룡박물관이 2004년 11월 9일 개장하였다. 상족암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세계 3대 공룡발자국 화석지인 경남 고성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차별화된 관광지 조성으로 자연 생태 관광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장한 고성공룡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서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줄 수 있는 체험 학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가족단위 관광객들에게 좋은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 최초의 공룡전문박물관을 찾은 어린이들과 일반인들에게 공룡화석을 보다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오비랩터와 프로토케라톱스 진품 화석을 비롯하여 클라멜리사우루스와 모놀로포사우루스와 같은 아시아 공룡 및 세계의 다양한 공룡들을 감상할 수 있다.

남일대해수욕장

남일대해수욕장

10.0Km    2025-03-16

경상남도 사천시 모례2길 11-19 (향촌동)

사천 남일대해수욕장은 신라말 학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이곳의 맑고 푸른 바다와 해안의 백사장 및 주변의 절경에 감탄하여 남일대라 명명하였다고 전해진다. 향촌동을 중심으로 동서 양쪽 해안이 모두 해수욕장을 이루고 있다. 동쪽 해안 한가운데에 기관(奇觀)을 드러내고 있는 구멍바위, 흔들바위가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남서쪽 해상에 있는 학섬[鶴島]은 백로(白鷺)와 왜가리의 서식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거대한 코끼리가 물을 먹고 있는 듯한 절묘한 코끼리바위는 사천시의 관광 명물이며, 남일대 해수욕장은 맑고 깨끗한 바닷물, 부드러운 모래, 울창한 숲으로 어우러진 진널전망대와 낚시터가 주변에 있어 관광객이 항상 붐비고 있는 곳이다. 해수욕장 개장 기간에는 여름 해변 축제인 해변 가요제와 바다영화제가 열리고 있다.

버드하우스캠핑장

버드하우스캠핑장

10.1Km    2024-07-10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서부로 1455-10

아름다운 한려수도 남해 바다와 함께하는 캠핑장 남해 버드하우스는 폐교한 초등학교를 개조해서 만든 곳이다. 사이트로 변신한 운동장은 정리가 잘 되어 있고, 캠핑장 이용 캠퍼들에게 목각 공방에서 서각 1작품 무료 체험을 제공한다. 매점에서 컵라면, 스낵, 생수와 음료, 아이스크림, BBQ 숯, 모기향 등을 구매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동반은 불가하다.

대방마을

대방마을

10.1Km    2025-03-16

경상남도 사천시 동서동

삼천포대교 옆에 자리 잡고 있는 어촌마을인 대방마을은 각산 아래에 있는 어촌마을로 지금은 사천시에서 조성한 대규모 관광단지가 조성되어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 마을이다. 마을에는 대방진굴항, 삼천포대교공원, 삼천포대방군영숲공원, 사천바다케이블카 등 많은 관광자원이 있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인 대방진굴항은 고려시대 우리나라 연안을 빈번히 침범하던 왜구의 노략질을 방비하기 위해 설치한 구라량의 영이 있던 곳으로 수군 만호가 있었다. 구라량이 폐영되면서 소규모의 선진으로 남아 있다가 조선 말엽 재축조하였다. 1910년 국권 침탈과 함께 진영의 문서가 소각되었고, 지금은 복원하여 선착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방마을에서 시작하는 삼천포대교는 삼천포항과 남해 창선면을 잇는 창선, 삼천포연륙교가 개통되어 사천시의 관광명소가 되고 있다. 주변에는 사천바다케이블카, 아라마루 아쿠아리움, 각산산성 등 관광지가 많은 지역이다.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

10.1Km    2024-06-11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창선면 단항마을 앞 농경지 안에서 자라고 있는 천연기념물 왕후박나무는 나이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8.6m로 가지는 밑동에서부터 11개로 갈라져 있다. 옛날 단항마을 어부 한 사람이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큰 고기 한 마리를 잡았는데, 뱃속에서 씨앗이 나와 뜰에 심었더니 하루가 다르게 나무가 자랐고 이것이 왕후박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주민들은 이 나무를 동제나무라 칭하며 매해 음력 섣달그믐날 정성스레 동제를 올리며 풍년과 풍어를 빌었다고 한다. 후박나무는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 등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로 일본, 대만 및 중국 남쪽에도 분포하고 있다. 주로 해안을 따라 자라며 껍질과 열매는 약재로 쓰인다. 나무가 웅장하게 자라기 때문에 정원수, 공원수 등에 이용되고 바람을 막기 위한 방풍용으로도 심어졌다.

대방진굴항

대방진굴항

10.1Km    2025-03-18

경상남도 사천시 굴항길 99

대방진굴항은 사천시 대방동 바깥쪽 바닷가에 있는 2,099m²(635평)의 인공 항구이다. 고려시대 말 남해안에 자주 침입했던 왜구를 막기 위해 설치한 군항 시설의 하나로 임진왜란 때에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수군 기지로 이용하였다 한다. 현재의 굴항은 조선 순조 때 진주병마절도사가 진주목 관하 73개 면의 백성을 동원하여 돌로 둑을 쌓아 만든 것으로, 1820년경에 완공하였다. 남해창선도의 적량첨사와 군사적 연락을 취하던 기지로, 당시에는 300여 명의 수군과 전함 2척이 주둔하고 있었다 한다.

박서방식당

10.2Km    2024-08-08

경상남도 사천시 유람선길 14

경상남도 사천 박서방 식당은 12가지 이상의 반찬이 푸짐하게 나오는 백반 전문점이다. 전복장, 새우장, 생선구이, 돼지불고기, 피꼬막, 나물 등과 함께 미역국이 한상 차려져 나오는데 메뉴도 백반 한 가지만 취급한다. 영업은 오전 11시에 시작하여 3시까지라고 정해 놨지만 재료가 소진되면 마감시간보다 일찍 닫는 관계로 미리 확인하고 방문해야 한다. 사천시에서도 가성비가 좋고 푸짐하기로 소문나 대기시간이 다소 길지만 잘 차려진 밥상을 받고나면 후회가 없을 만큼 모두가 만족한다. 전복장과 새우장을 별도로 구입할 수 있다.

보물섬 남해로 떠나는 황홀한 여행

보물섬 남해로 떠나는 황홀한 여행

10.2Km    2019-10-31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금암로 519-4

아름다운 자연과 특별한 경관들이 보고 싶다면 보물섬 남해로 떠나보자. 창선면 지족마을과 삼동면 지족마을을 잇는 창선교 아래로 흐르는 지족해협에는 원시어업 죽방렴의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어디에서도 볼수없는 문화 자산이자, 독특한 풍경으로 눈 길을 끄는 여행지이다. 아름다운 자연 속 자리한 바람흔적미술관에서 예술을 느끼며 힐링하는 시간을 보내는 것도 좋다. 좀 더 이색적인 여행을 즐기고 싶다면 파독전시관을 둘러보고, 독일마을에서 독일식 가정식 요리를 즐겨보는 건 어떨까? 또는 가천 다랭이마을에서 푸르른 바다와 계단식 다랭이 논이 어우러진 눈부신 풍경을 즐겨보자.

바람흔적미술관

바람흔적미술관

10.2Km    2024-12-09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금암로 519-4

바람흔적미술관은 바람을 테마로 하는 미술관이며, 바람을 주제로 큰 키의 바람개비를 세운 설치미술가 최영호 작가의 작품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곳이다. 경남 합천군에 1호를 만든 작가가 이후 남해군 삼동면에 2호를 만들었다. 바람흔적미술관은 평면 공간, 입체 공간, 조각 공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입장료와 대관료가 무료이다. 전시실은 1,2로 공간이 분리돼 있으며 매달 새로운 전시가 기획돼 새로운 작가를 초청하기 때문에 갈 때마다 새로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전시 관람도 매력 있지만 자연 한가운데 놓인 미술관과 그 주변 풍경이 좋아서 그 이름처럼 바람이 머문 흔적을 느끼러 오는 관람객이 상당하다. 풍차를 떠오르게 하는 큰 바람개비 아래로 유유히 흐르는 내산 저수지 물결과 초록빛 잔디밭도 곱지만 미술관에 당도하기 직전 만나는 풍파에 깎인 거친 바윗돌과 대나무, 작은 골짜기가 정겹다.

란이식당

란이식당

10.3Km    2025-01-17

경상남도 사천시 삼천포대교로 310

사천시 대방동에 있는 란이식당은 쌈밥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제육멸치쌈밥 정식으로 매콤 달콤한 멸치조림과 새콤달콤 멸치 회무침, 제육볶음, 싱싱한 생선구이가 제공된다. 남해안의 죽방 멸치와 삼천포항의 어장 멸치를 제철인 봄에 직접 경매받아 재료로 쓴다. 남해안 멸치는 물살이 세다 보니 움직임이 많아 살이 탱글탱글하고 다른 곳보다 맛이 좋다. 멸치 머리와 내장을 일일이 떼어내어 다듬기 때문에 쓴맛이 나지 않는다. 자박자박한 국물 안에 채소와 함께 들어있는 멸치를 떠서 밥에다 비벼 먹어도 좋고, 쌈에 싸서 먹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