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19.2 Km    12829     2023-09-18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2길 10-19

이 불상은 광배와 불상이 하나의 돌로 조각된 높이 1.98m의 석불입상으로 용화사의 지장전(地藏殿)에 상주 증촌리 석불좌상(보물)과 함께 안치되어 있으며, 화강암을 다듬어 부조한 불상이다. 마멸이 심해서 세부 수법을 자세히 살펴볼 수는 없다. 불상의 머리는 확실히 구별할 수 없지만 민머리처럼 보이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있다. 얼굴은 길고 풍만한 모습으로 이목구비가 뚜렷하지 않지만 단정한 인상이다. 체구는 단정하며, 양어깨에 걸쳐 있는 옷자락은 간결하게 표현되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 역시 많이 마모되어 가장자리에 새겨진 불꽃무늬만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증촌리 석불입상은 불상의 신체 굴곡도 약하지만 처진 어깨나 딱딱한 양손에서 정지된 위축감이 있다. 체구는 단정하면서 다소 경직되었고 현실적인 면이 강해진 사실 양식을 나타낸다. 얼굴과 신체가 아담하고 볼륨감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여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된 석불입상으로 추정된다.

메밀묵촌

메밀묵촌

19.2 Km    2     2022-11-07

경상북도 상주시 가야로 6

메밀묵촌은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에 있다. 예스러운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메밀비빔막국수다. 이 밖에 메밀물막국수, 메밀콩국수, 들기름막국수, 콩국수, 메밀만두 등이 준비되어 있다. 함창기차역 앞으로 확장 이전 예정이며, 그로 인해 2022년 10월 31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는 임시 휴무다.

용화사(상주)

용화사(상주)

19.2 Km    18966     2023-09-25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2길 10-13

용화사는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찰로 용화사의 창건과 관련하여 누가, 언제 초창하였는지는 현재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전설에 의하면 이곳이 본래 신라 문무왕 때 의상조사가 처음 창건한 상안사의 유지라고 전해지고 있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함창읍지』에 이 절을 가리켜, [사창(司倉) 뒤 현탑동에 신라 고찰인 큰 절이 자리하는데, 석조 미륵상 2위가 있다] 라고 적혀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석조 미륵상 2위가 바로 약사전에 봉안된 불상들로, 석조여래좌상과 또 다른 석불입상인데 모두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 밖에 전하는 연혁은 없지만, 경내에 석탑과 석등, 주초석 등 여러 가지 오래된 석재편들이 있어 이곳이 오래된 절터임을 알 수 있다. 법당 안에 석불입상 보물, 석불좌상 보물, 각 일구가 봉안되어 있고 경내에도 석탑 및 석탑재, 광배편, 장대석 등 많은 석조의 부재가 동리 인근에 산재하고 있었던 것을 절 안에 모아두고 있다.

경북 상주 함창·이안·공검면 [슬로시티]

경북 상주 함창·이안·공검면 [슬로시티]

19.2 Km    9170     2024-05-31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함창중앙로 135

상주시는 2011년 6월 국제슬로시티연맹 폴란드 총회에서 슬로시티로 공식 인증되었다. 넓은 평야와 적정한 강우량, 여름철 높은 기온, 많은 일조량 등 농작물 재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상주시 합천읍, 공검면, 이안면을 상주 슬로시티 핵심지역으로 지정하였다. 상주는 신라 서라벌과 가야 고령 가야국의 옛 고도이며, 농업과 음식문화가 발달한 고장으로 전 가구 수의 42%가 농가이다. 또한, 대표적인 자전거 도시로 상주 자전거 박물관이 있는 곳이다. 낙동강 자락에 있는 제1경 경천대와 상주 자전거 박물관, 삼한시대 3대 저수지의 하나인 공검지, 함창의 명주 고을 등의 명소가 있으며, 상주 곶감, 상주 한과와 명실상감한우 등의 특산품이 있다. 쌀, 누에고치, 곶감이 유명하여 삼백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강 관련 제품이 많아 한방 바이오산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상주슬로시티 방문센터가 있는 함창명주박물관에서 누에고치짓기, 고치실로 명주 짜기 등 비단제작 과정과 관련도구를 볼 수 있고, 박물관에는 1년 뒤에 배달되는 느린 우체통이 있다. 인근 명주테마파크와 경상북도 잠사곤충사업장의 나비생태원, 누에곤충체험학습관이 있으며, 이안면 흑암리에는 전통기법으로 5대째 항아리를 제작하는 상주옹기마을이, 지산리 일대는 실제 귀농이나 귀촌체험을 할 수 있다.

솔밭캠프

솔밭캠프

19.2 Km    0     2023-12-19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쌍곡로 322

청정지역 쌍곡계곡 입구에 위치한 캠핑장이다. 맑은 공기와 물 그리고, 때 묻지 않은 자연 그대로 힐링할 수 있다. 주변 관광명소로는 수안보 온천, 산막이 옛길, 한국 최초의 수력발전소, 천년고찰 각연사, 속리산 법주사, 아기자기한 화양계곡, 등산코스로는 군자산, 칠보산, 보개산 등 접근성이 용이하다.

새토종왕순대

새토종왕순대

19.3 Km    2     2022-11-11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함창시장2길 8
054-541-2262

현지인들이 자주 가는 맛집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순대국밥이다.

함창장 (1, 6일)

함창장 (1, 6일)

19.5 Km    11466     2023-07-25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함창시장1길 45-14
054-541-3260

함창시장은 상주시 함창읍 구향리 122번지 일대에 위치하는 장으로 매월, 1일과 6일에 장이 선다. 주로 판매되는 상품은 명주, 목공예품, 지역 농산물, 일반 생활용품 등이다. 1951년에 정기시장으로 개설되었고 1960~80년대에는 우시장이 성황을 이루었다고 한다. 장날에는 점포 30여 개와 노점상 20여 명이 사장에서 손님을 맞이한다. 비록 규모가 크지 않고 나와 있는 상품들도 고급·고가품은 아니지만 물품을 파는 상인이나, 사는 손님, 그리고 남녀노소 불문하고 모두가 소박하고 밝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시골 장터의 푸근한 인심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상촌식당

상촌식당

19.6 Km    3     2022-11-09

충청북도 충주시 중산신촌길 99

상촌식당은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중산리에 있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정보,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모닝와이드 등 여러 방송에 출연한 바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하얀 짬뽕인 소마면이다. 시금치와 표고버섯을 넣은 짜장면도 찾는 사람이 많다. 탕수육도 판매하고 있다. 오후 3시에 문을 닫지만, 재료가 모두 소진되면 조기에 영업을 마감하기 때문에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이 좋다. 괴산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충주커피박물관과 충주미륵대원지가 있다.

석천암(괴산)

19.6 Km    20526     2024-02-02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삼송길 205-182

석천암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삼송리에 있는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대야산 해발 931m의 높은 산중에 있는 고찰로 구전에 의하면 바위 밑에서 약수가 나온다 하여 석천암으로 부른다는 유래가 있다. 현재의 석천암은 보덕암에서 석천암으로 이름을 바꾼 사찰이며, 옛 석천암은 현재의 석천암 아래 삼송리 29번지에 있었다고 전한다. 원래의 석천암이 한국전쟁 때 소실되고 1965년경 수해로 요사채가 소멸되어 폐사되었다. 이후 석천암 위에 있던 보덕암이 1985년경 화재로 소실되자 사찰을 신축하면서 ‘석천암’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석천암에 오르는 길은 삼송리 아랫마을에서부터 들판을 한참 지나 산길에 들어서 가파른 경사로를 지나야 한다. 길을 오르다 보면 멀리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속리산 자락이 눈앞에 다가오고 기이한 기암괴석들이 눈앞에 나타난다. 석천암은 매우 작은 규모의 사찰로 경내에는 2칸의 대웅전과 1칸의 산령각이 있다. 국내에서 가장 작은 대웅전을 갖고 있는 사찰로 언론에 소개된 적이 있다. 사찰에 도착하면 대웅전보다 사찰을 거의 덮고 있는 듯한 거대한 바위가 먼저 눈에 띈다. 거대한 바위 아래로 넓은 공간이 만들어져 있고 바위틈으로 샘물이 흘러 모여 수행하기에 적합한 공간이 만들어져 있다. 사찰에서 전하는 말로는 나옹선사가 이곳에서 수행하셨다고 한다. 이 바위에는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무늬가 곳곳에 있는데 화강암 특유의 흰색 바탕 위에 검게 어떤 물체가 그려져 있다. 그 모양이 꼭 동자의 모습 혹은 부처님의 모습을 하고 있다. 우연히 한 곳에만 만들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여기저기 여러 부분에 걸쳐 만들어져 있다. 석천암은 서쪽을 향해 열려 있고 대야산 중대봉의 정상 부근에 있기 때문에 석천암에 앉아 눈앞을 바라보면 멀리 거대한 문장대를 포함한 속리산 자락이 보이며 일몰도 장관이다.

전고령가야왕릉

19.6 Km    20350     2024-05-30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회천리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7번지에 위치한 왕릉으로 고령가야 태조의 무덤이라고 전해진다. 고령가야는 기원전 낙동강 일대인 함창, 문경, 가은 지방을 영역으로 하여 세워진 나라로, <삼국유사>의 5가야조와 <삼국사기>의 고령군조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42년 낙동강을 중심으로 일어난 여섯 가야 중 하나이며 상주 함창읍은 고령가야의 도읍이었다. 조선 선조 25년(1592) 당시 경상도 관찰사 김수와 함창 현감 이국필 등이 묘 앞에 묻혀 있던 묘비를 발견하여 가야왕릉임을 확인했다고도 전해오고 있다. 숙종 38년(1712) 왕명으로 묘비와 석양 등의 석물을 마련한 후 후손들에 의해 여러 차례 묘역이 정비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1971년 함창 도시계획 당시 보존구역으로 결정되고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상주시와 후손이 관리하고 있다. 매년 10월 1일과 강생일인 3월 15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