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령시장/화령장 (3, 8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화령시장/화령장 (3, 8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화령시장/화령장 (3, 8일)

화령시장/화령장 (3, 8일)

17.8 Km    10172     2023-09-13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화령남6길 7
054-537-7402

화령시장은 1965년 2월 18일 개장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거래상품은 농산물, 의류, 잡화 등이다. 개장 당시에는 규모가 큰 전통시장이었지만, 유통산업의 개방과 농촌인구의 격감이 이루어진 1980년대 이르러 서서히 퇴조하게 되었다. 지금도 옛 전통을 이어 5일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 장날 이용객은 100여 명에 달하고 있다.

흥암서원

흥암서원

1.8 Km    17871     2023-12-11

경상북도 상주시 연원1길 34

상주시 연원동에 있는 흥암서원은 1702년(숙종 28)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준길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다. 1705년 흥암이라 사액되었으며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경내 건물로는 흥암사, 진수당, 집의재, 의인재, 어필비각 등이 있다. 사우인 흥암사는 정면 2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송준길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집의재와 의인재는 동재와 서재로, 유생이 거처하면서 공부하는 장소로 사용되어 왔다. 진수당은 강당으로,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강론장소로 사용되어 왔다. 어필비각은 1716년에 숙종이 하사한 어서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각으로,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다. 1985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문집과 서적이 여러 권 소장되어 있고, 매년 봄, 가을에 향사를 지낸다.

다놀자캠핑장

다놀자캠핑장

17.8 Km    1     2023-01-09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문장로 425-5

다놀자 캠핑장은 경북 상주시 화서면에 자리했다. 상주시청을 기점으로 25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중앙로, 영남제일로, 문장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이 캠핑장은 과거 하송야영장이란 이름으로 운영했지만 최근 정비를 통해 새롭게 재탄생했다. 기존보다 훨씬 개선된 시설 덕택에 벌써 캠퍼들 사이에 소문이 자자하다. 캠핑장에는 64면의 사이트가 있으며, 자갈 34면과 파쇄석 30면으로 이뤄졌다. 사이트 크기는 중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다. 캠핑장 이용객은 황토 찜질방, 실내 놀이터, 수영장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트램펄린, 미니 동물농장, 모래 놀이터, 독서실, 표고버섯 체험장 등 어린이를 위한 부대시설도 알차다. 화장실과 샤워장은 남녀를 구분해 각각 4개소와 2개소며, 개수대는 어느 사이트에 머물든 접근하기 쉽게 3개소를 마련했다.

성수식당

성수식당

17.9 Km    0     2024-02-06

경상북도 상주시 화령남6길 17

성수식당은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에 자리 잡고 있다. 음식점 상호는 일반 식당 느낌이지만 중화요릿집이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활의 달인, 생방송 투데이에 소개되었다. 대표 메뉴는 자극적인 맛으로 유명한 짬뽕이다. 이 밖에 탕수육, 짜장면, 간짜장, 짬뽕밥, 볶음밥, 잡채밥 등을 판다. 화서IC에서 가깝고, 세계문화유산 법주사가 있다.

전고령가야왕릉

18.1 Km    20350     2024-05-30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회천리

상주시 함창읍 증촌리 7번지에 위치한 왕릉으로 고령가야 태조의 무덤이라고 전해진다. 고령가야는 기원전 낙동강 일대인 함창, 문경, 가은 지방을 영역으로 하여 세워진 나라로, <삼국유사>의 5가야조와 <삼국사기>의 고령군조에 그 이름이 등장한다. 42년 낙동강을 중심으로 일어난 여섯 가야 중 하나이며 상주 함창읍은 고령가야의 도읍이었다. 조선 선조 25년(1592) 당시 경상도 관찰사 김수와 함창 현감 이국필 등이 묘 앞에 묻혀 있던 묘비를 발견하여 가야왕릉임을 확인했다고도 전해오고 있다. 숙종 38년(1712) 왕명으로 묘비와 석양 등의 석물을 마련한 후 후손들에 의해 여러 차례 묘역이 정비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1971년 함창 도시계획 당시 보존구역으로 결정되고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상주시와 후손이 관리하고 있다. 매년 10월 1일과 강생일인 3월 15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허씨비단직물

허씨비단직물

18.1 Km    0     2023-12-06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어풍로 19

허 씨 비단직물은 삼백의 고장 상주에서 대를 이어 명주를 짜고 있다. 함창에서는 명주를 전통방법에 간단한 동력장치들만 추가하여 역사 깊은 전통옷감 명주를 짠다. 소규모나 대단위 단체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견학 및 체험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2012년에 개관한 함창명주 박물관과 함께 방문한다면 의미 있는 관광이 될 것이다.

초밥이야기

초밥이야기

1.8 Km    5     2021-03-10

경상북도 상주시 삼백로 102-1
054-534-4543

버스터미널 근처에 있어, 관광객들이 방문하기 편리한 음식점이다. 대표메뉴는 모듬초밥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 있는 일식 전문점이다.

상주 허씨비단직물

상주 허씨비단직물

18.4 Km    11     2023-12-28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어풍로 19

삼백의 고장 상주에서 전통 방식으로 명주길쌈의 가업을 잇고 있는 허씨비단입니다.
삼백의 고장(쌀, 누에고치, 곶감) 상주의 주요 특산품 중 누에고치(명주) 분야의 전통 명주길쌈을 5대째 잇고 있는 허씨비단이다. 2003년 현 위치로 작업장을 이전하였으며 2,000여 평의 공간을 적극적으로 개방하여 예약제로 명주길쌈 체험장을 운영하고 있다. 버려질 뻔한 옛 물레, 베틀 등을 전시 및 체험용으로 활용하며 전통 명주산업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함께 공유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용화사(상주)

용화사(상주)

18.4 Km    18966     2023-09-25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2길 10-13

용화사는 함창읍 증촌리에 있는 사찰로 용화사의 창건과 관련하여 누가, 언제 초창하였는지는 현재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전설에 의하면 이곳이 본래 신라 문무왕 때 의상조사가 처음 창건한 상안사의 유지라고 전해지고 있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함창읍지』에 이 절을 가리켜, [사창(司倉) 뒤 현탑동에 신라 고찰인 큰 절이 자리하는데, 석조 미륵상 2위가 있다] 라고 적혀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석조 미륵상 2위가 바로 약사전에 봉안된 불상들로, 석조여래좌상과 또 다른 석불입상인데 모두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 밖에 전하는 연혁은 없지만, 경내에 석탑과 석등, 주초석 등 여러 가지 오래된 석재편들이 있어 이곳이 오래된 절터임을 알 수 있다. 법당 안에 석불입상 보물, 석불좌상 보물, 각 일구가 봉안되어 있고 경내에도 석탑 및 석탑재, 광배편, 장대석 등 많은 석조의 부재가 동리 인근에 산재하고 있었던 것을 절 안에 모아두고 있다.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

18.4 Km    12829     2023-09-18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증촌2길 10-19

이 불상은 광배와 불상이 하나의 돌로 조각된 높이 1.98m의 석불입상으로 용화사의 지장전(地藏殿)에 상주 증촌리 석불좌상(보물)과 함께 안치되어 있으며, 화강암을 다듬어 부조한 불상이다. 마멸이 심해서 세부 수법을 자세히 살펴볼 수는 없다. 불상의 머리는 확실히 구별할 수 없지만 민머리처럼 보이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있다. 얼굴은 길고 풍만한 모습으로 이목구비가 뚜렷하지 않지만 단정한 인상이다. 체구는 단정하며, 양어깨에 걸쳐 있는 옷자락은 간결하게 표현되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 역시 많이 마모되어 가장자리에 새겨진 불꽃무늬만 희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증촌리 석불입상은 불상의 신체 굴곡도 약하지만 처진 어깨나 딱딱한 양손에서 정지된 위축감이 있다. 체구는 단정하면서 다소 경직되었고 현실적인 면이 강해진 사실 양식을 나타낸다. 얼굴과 신체가 아담하고 볼륨감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여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된 석불입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