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을빛호수(드림레이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을빛호수(드림레이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노을빛호수(드림레이크)

노을빛호수(드림레이크)

1.7Km    2024-11-21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42길 53-10
010-4919-6487 010-8829-6487

청정지역으로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는 청풍명월의 본향 제천 청풍에 위치하며 충주-제천-단양으로 이어지는 뱃길의 가운데에서 산과 호수의 자연스런 조화로 최고의 전망을 자랑하고 있다. 또한 10분 이내의 거리에 식수로 사용할 정도의 깨끗한 계곡들이 즐비하다. 모든 방에서 호수전망이 가능하며 특히 저녁에는 지는 햇빛인 낙조는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일으키며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이른아침호숫가펜션

1.7Km    2024-08-23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42길 53-15
010-9049-8677

이른아침호숫가펜션은 제천시 청풍호에 접해있는 펜션으로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개별 펜션 7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비큐, 수영장, 족구장, 배드민턴장 등의 스포츠 시설과 노래방, 세미나실 등의 부대 시설을 갖춰 단체 활동이 가능하다. 이른 아침에는 물안개와 함께 아름다운 새소리에 눈을 뜨게 되며, 문을 열고 테라스와 데크에 나가면 금수산을 넘어온 눈이 부신 햇살을 마주할 수 있다. 가슴 깊이 파고드는 청풍호의 공기와 자연과 어우러진 포근한 호수 전경이 아름답다. 인근의 청풍호케이블카&모노레일과 수상레저, 짚라인, 산악레저 등 다양한 액티비티 시설이 있어 같이 즐길 수 있다.

커피라끄

커피라끄

1.7Km    2024-01-23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호로 1226

커피라끄는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굴리에 있다. 이국적인 멋을 풍기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창밖으로 펼쳐지는 호반의 풍경도 일품이다. 대표 메뉴는 리얼크림라테이며, 요거청귤 스무디, 쑥크림라테, 아포가토 등도 맛볼 수 있다. 당근과 각종 견과류를 넣은 건강한 케이크, 진한 크림치즈가 듬뿍 들어간 뉴욕치즈케이크 등 여러 가지 케이크도 맛볼 수 있다. 남제천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청풍마리나, 제천산악체험장, 청풍호 관광 모노레일이 있다.

청풍리조트

청풍리조트

1.9Km    2025-04-03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 1798
043-640-7000

금수산과 월악산의 아름다운 능선이 펼쳐지고 청풍호반의 운치를 만끽할 수 있는 곳인 청풍리조트는 아름다운 자연과 어울리는 객실과 레스토랑, 연회장, 레크레이션 및 레저 스포츠 시설, 교육시설 등을 갖추고 도시생활에서 벗어나 고객에게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시간을 제공한다. 자연의 아름다움이 물씬 풍기는 청풍리조트 여행의 품격을 높이는 다양한 레저 및 부대시설로 색다른 즐거움을 경험해 볼 수 있다. 청풍호반과 제천 10경의 절경이 어우러진 자연 속의 휴양지인 청풍리조트는 일상에서의 탈피를 꿈꾸며 자연과 더불어 휴양과 각종 레저를 즐길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웰빙라이프를 제공한다.

청풍랜드

청풍랜드

2.3Km    2024-11-20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50길 6

청풍랜드는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일대의 풍광이 뛰어난 청풍호반(일명 충주호)에 독창적이며, 빼어난 풍광과 한정된 공간활용을 극대화하여 국내 최초의 복합 멀티타워를 세웠다. 국내 최고 높이인 62미터의 번지점프대와 국내에 첫 선을 보이는 이젝션시트 그리고 중력 방향으로 반원을 그리며 창공을 나는 빅스윙 등 3개의 시설을 하나의 타워에 설치한 것이 복합 멀티 타워이다. 번지점프는 윈치 방식으로 보다 안전하고 레저 스포츠다운 면을 부각했으며 기존 번지코드와 달리 안전선(Safety line)이 추가되어 있어 코드 고무 부분 끊김으로 인한 추락사고를 방지하였다.

청풍호 유람선

청풍호 유람선

2.3Km    2025-03-14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50길 6

청풍호 유람선은 제천 청풍호반의 대표 유람선으로, 천혜의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청풍호의 물 위를 직접 갈라 보며 남한강 줄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아름다운 봄의 벚꽃, 청푸른 여름의 수면, 오색찬란한 가을의 단풍, 눈 덮인 새하얀 겨울의 설경은 청풍호를 찾은 여행객들에게 즐거운 추억을 남긴다. 선착장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어서, 거동이 불편하신 어르신이나 유아가 이용하기에 편리하다.

제천 교리 방단석조물

제천 교리 방단석조물

2.6Km    2025-03-18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교리

제천 교리 방단석조물은 비단을 수놓은 듯 아름답다는 뜻을 가진 금수산 중턱 교리사지 근처 넓은 바위 위에 조성된 1기의 석탑 형태의 방형 석단이다. 화강암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정확한 조성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 전기의 탑으로 보인다. 1960년대 학계에 모전석탑으로 알려져 희소성과 중요성이 인정되어 왔으나 본격적인 학술조사가 진행되지 못한 채 원형이 훼손되어 방치된 상태이다. 현재 기단부와 초층부의 일부가 남아있고 북동쪽은 붕괴되었으나 서쪽면은 일부 남아 있다. 내부는 심하게 파헤쳐져 중심부의 암반이 보일 정도로 도굴되었다. 수습 유물로는 어골문 평기와와 격자문기와, 파상문기와 등이 수습되고 있는데 출토기와 편년은 모두 고려기의 것으로 이 석조물과 동일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사역의 규모는 약 200평 규모이다.

작은 동산(외솔봉)

2.7Km    2025-01-08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산과 강, 자연이 만들어낸 청풍호의 멋진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인 작은 동산은 청풍리조트 주차장에서 출발해 외솔봉을 거쳐가는 코스에 위치해 있으며, 작은 동산에 도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2시간 정도가 걸린다. 좀 더 짧은 코스를 원한다면 외솔봉까지만 오르는 코스를 추천한다. 시원한 청풍호와 병풍 같은 비봉산의 모습이 장관이며, 외솔봉에 도착하기 직전 봉우리에서 가장 멋진 조망이 펼쳐진다.

제천 무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제천 무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2.7Km    2025-03-17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청풍호로39길 285

무암사는 금수산 자락에 있는 사찰로 신라시대에 지어진 절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창건 기록은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의 극락전은 조선 영조 16년(1740)에 중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극락전의 주불인 목조여래좌상은 극락전을 건립할 때 함께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고 불상의 규모는 비교적 크다. 통나무로 조각되었는데 두 손은 따로 만들어 끼운 형태를 하고 있다. 복장 유물이 유실되었으나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목조여래좌상이다. 원만한 얼굴과 몸체의 양감 표현에서 훌륭한 조각 솜씨를 보여준다. 근엄하면서도 단정한 얼굴이나 도식화된 대의의 표현을 잘 볼 수 있다. 무암사에서 조성된 것이라면 극락전 망와의 명문에 보이는 건륭 5년(1740)은 참고할 만하다. 작은 규모이지만 조각 수법이 뛰어난 상이다. 양식 면에서도 조선 후기 목조불상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어 조선 시대 충청북도 지역 불상 연구에 중요한 상이라 할 수 있다. 무암사에 들려 함께 볼만한 곳이다.

무암사

무암사

2.7Km    2025-03-17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청풍호로39길 285

제천 성내리 마을에서 동쪽으로 난 계곡을 따라 오르면 왼쪽에 까치성산이, 오른쪽에 동산이 길게 능선을 드리우고 있는데 그 깊은 품 안에 무암사가 있다. 신라시대에 지어졌다고 하나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고 조선 초기 이전부터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현재 법당인 극락전은 영조 16년(1740)에 중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곳의 목조여래좌상은 극락전을 건립할 때 함께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된다. 무암사에는 목조여래좌상 이외에도 청동보살머리, 전패 등의 유물이 전한다. 절에서 서남쪽 위치에 바위 봉우리가 하나 있는데 늙은 스님을 닮았다 하여 노장암이라 불리며 이 바위는 안개가 끼었을 때만 나타났다고 하여 이 절의 이름을 바위와 안개에서 따 무암사라 하였다고 전한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전, 칠성각, 산신각, 요사채, 객실, 수호실 등이 있으며, 극락전에는 목조아미타불좌상과 후불탱화, 지장탱화가 보존되어 있다. 부도 4기와 불기류, 촉대와 위패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고, 4기의 부도 중 수월당 부도는 조선시대의 것으로 1959년에 발견되었다. 특히 우부도는 창건 당시 목재와 기와 등을 운반하던 소가 죽자 사리를 모아 세운 사리탑으로 이 주변을 소부도골이라 한다. 대웅전 전면의 기둥은 수령 1,200년을 넘는 싸리나무의 기둥이라 하여 보존 가치가 높다. 절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불기는 100년 이상 된 유기제품이며, 촉대와 위패는 정교한 솜씨로 조각하여 만든 특색 있는 유품이다. 사찰의 유물들로 보아 상당한 역사를 지녔을 것으로 생각되나 사적기가 없어 자세한 것을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