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rts DMZ Festa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K-Arts DMZ Festa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K-Arts DMZ Festa

K-Arts DMZ Festa

14.5 Km    1     2024-05-02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잼버리로 244
KBS아트비전 02-540-3274

K-Arts DMZ Festa는 K-Culture, K-POP, K-Food 등을 포괄하는 K-Arts 페스타이다.
대규모 문화예술공연 개최를 통한 DMZ 접경지역 관광 활성화 및 대내외 인지도 제고하고, DMZ 평화관광에 대한 이미지를 각인시키고자 한다.
주요행사로는 메인공연, 프린지공연, 마켓운영, 체험행사 등이 진행된다.
메인공연은 1일차 KBS열린음악회, 2일차 2023 그린 미래로 콘서트가 개최되며, 부대행사(마켓운영, 체험행사 등)는 행사 운영시간 내 상시 운영된다.

* 메인공연의 티켓오픈일정은 K-Arts DMZ Festa 홈페이지에서 확인바람

강원도 세계잼버리 수련장

14.5 Km    27380     2024-05-08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잼버리로 244

고성군 토성면 인흥리에 위치한 세계 잼버리 수련장은 금강산 남쪽 제1봉이라 불리는 신선봉과 미시령, 울산바위, 설악산, 대청봉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고, 앞에는 동해바다가 시원하게 펼쳐진 곳이다. 지난 1991년 세계 133개국 2만여 명의 청소년과 지도자가 한 자리에 모여 ‘세계는 하나’라는 주제 아래 청소년의 한마당 축제인 제17회 세계잼버리를 연 개최장소이다. 아울러 1996년에는 제17회 아태잼버리가 이 장소에서 개최된 바 있으며, 2004년 8월에는 제24회 아, 태잼버리 겸 11회 한국잼버리가 개최되었다. 주변에 훌륭한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고 수련장 시설로도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야영장과 집회장, 무대, 운동장, 기념관, 생활관, 모험시설, 민속놀이 등 청소년과 기업체의 연수에 필요한 시설을 완비하고 있으며, 이곳의 모험시설은 청소년들의 담력을 키울 수 있는 특색 있는 시설로 손꼽히고 있다.

진부리 마을관리휴양지

진부리 마을관리휴양지

14.5 Km    3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진부리 133

간성읍에서 46번 국도를 따라 진부령 정상 가까운 곳에 위치한 진부리 마을관리휴양지는 산간, 계곡, 하천이 있는 자연 발생적 유원지로서 산속에서 내려오는 오염되지 않은 맑은 물이 관광객을 사로잡고 있다. 진부령 정상에서 부터 흘러 내려오는 맑고 얼음같이 차가운 물로 유명하고, 우거진 수목과 넓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주변의 진부령 미술관, 소똥령 마을, 마산봉 등산로등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김일성 별장

김일성 별장

14.6 Km    56750     2024-03-12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화진포길 280

김일성은 1948년부터 50년까지 처 김정숙, 아들 김정일, 딸 김경희 등 가족과 함께 하계휴양지로 화진포를 찾았다. 1948년 8월 당시 6살이던 김정일이 소련군 정치사령관 레베제프 소장의 아들과 별장입구에서 어깨동무를 하고 찍은 사진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김일성 별장은 당초 선교사 셔우드 홀 부부에 의해 1938년 독일망명 건축가 베버가 건축하였다. 지하 1층, 지상 2층의 석조 건물로 지어져 당시 건축물로는 제법 화려함이 엿보인다. 김일성 별장에는 옛 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자료를 비롯해 김일성 가족이 사용했던 응접세트 등 각종 유품이 모형물로 만들어져 전시되었다. 해안가 산기슭에 위치한 김일성 별장은 광복 직후 건립, 한국전쟁 이전까지 김일성이 아들 김정일, 딸 김경희와 함께 수시로 이용했던 곳으로 본래 지하 1층, 지상 2층의 석조물이었으나 전쟁 중 크게 훼손되어 64년 육군이 본래 건물을 철거하고 지금의 1층 건물로 재건축했었다. 김일성 별장의 절경 중 빼놓을 수 없는 곳은 마주 보이는 금구도라 불리는 바위섬으로 화진포 해변에서 300여 m 떨어진 금구도는 거북 모양을 닮은 데다 가을철이면 이 섬에서 자라는 대나무 숲이 노랗게 변해 섬 전체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김일성 별장이 동해가 내려다 보이는 해안 언덕에 위치한 것과 달리 이승만 별장은 바다는 보이지 않고 화진포 호수만 내려다 보이는 곳으로 서로 1km 정도 떨어져 자리하고 있다.

이기붕별장

이기붕별장

14.6 Km    25691     2024-05-28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거진읍 화진포길 280

이기붕별장은 이승만별장과 김일성별장 사이 호숫가에 위치해 있다. 아기자기한 돌담벽이며, 벽을 타고 올라가는 담쟁이 덩굴이 소박하면서도 정다운 분위기를 풍긴다. 1920년대에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건축되어 현재까지 보존된 건물로서 해방 이후에 북한 공산당 간부 휴양소로 사용되어 오다가 휴전 후에 부통령이었던 이기붕의 처 박마리아가 개인 별장으로 사용하였다. 박마리아는 생전에 인근 고성군 대진읍에 대진교회를 세우고 자주 이 곳을 찾았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999년 7월 전시관으로 개수되어 현재까지 일반인들에게 공개되고 있다. 밖에서 볼 수 있는 소박한 외관처럼 별장 내부도 화려하지는 않다. 별장 내 집무실과 응접실 등이 갖춰져 있으며 주전자, 촛대, 문갑 등이 보관되어 있다.

화진포역사안보전시관

14.6 Km    4949     2023-07-06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이승만별장길 33

화진포역사안보전시관(이승만·이기붕·김일성 별장)은 울창한 소나무 숲과 넓은 호수, 명사십리와 청정바다가 한데 어우러진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고성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동해안 최북단인 이곳은 주변 경관이 수려해 과거 분단 이전과 이후 남과 북의 정치인과 유명 인사들이 별장으로 이용한 자취가 근대문화유산으로 남아있다. 이승만 초대 대통령과 김일성, 이기붕 전 부통령과 박마리아 등 한국 근대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주요 정치가들이 별장을 지어 여름을 지낸 곳으로 유명하다.

이승만별장(고성)

이승만별장(고성)

14.6 Km    36845     2023-07-03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이승만별장길 33 이승만별장

강원도 고성군 화진포에는 세 명의 옛 정치인의 별장인 김일성별장, 이승만별장, 이기붕별장이 나란히 놓여 있다. 이승만 별장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머물렀던 곳으로 1954년에 신축된 뒤 1961년에 폐허가 되었다가 1997년 7월 육군이 재건축하여 1999년 전시관으로 복원되었다. 별장의 외부는 별장답지 않게 아담하고 소박하며 허름하게 보인다. 내부는 침실과 집무실로 쓰이던 방 두 개와 거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유족들에게 기증받은 물품들로 전시하여 이승만 대통령이 기거하던 시절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였다. 단출한 가구와 소박한 물건들 그리고 생전의 사진들로 그 당시의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다. 이승만별장은 소박하고 단출하지만 별장 안에서 밖을 바라보면 주변의 울창한 송림과 한데 어우러진 화진포 두 개의 호수가 한눈에 보이는 까닭에 화진포의 세 별장 중 가장 경치가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다. 조용히 바깥 풍광을 즐기며 편안하게 쉴 수 있는 평온하고 조용한 별장이다.

바다정원

15.0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버리깨길 23 바다정원 신관

바다정원은 바닷가 전망이 가장 좋은 카페 베이커리 레스토랑이다. 속초와 고성 경계선에 위치해 있다. 애견동반이 가능한 카페이며, 400여대 동시 주차가 가능한 곳이다. 바다를 비롯한 곳곳이 포토존이다.

포레스트카페

15.2 Km    2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사진용촌1길 3

고성에 위치해 있는 카페로 카멜레온, 거북이를 비롯한 다양한 파충류와 알파카도 만나볼 수 있는 곳이다. 파충류에 관심 있는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에게 인기가 많으며 일부 파충류는 분양도 가능하다. 별도의 입장료는 없으나 1인 1메뉴 이상 주문해야 한다.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등의 커피 메뉴와 스무디, 에이드, 대추차, 유자차 등의 차 종류도 판매하고 있어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입맛에 맞춰 음료 선택을 할 수 있다.

죽정분교(구,죽정초등학교)

죽정분교(구,죽정초등학교)

15.3 Km    795     2024-06-11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현내면 모정2길 2

(구)죽정초등학교는 영화 〈몽당분교 올림픽〉 속 분교 처럼 아이들이 떠나 폐교된 곳이다. 1956년 11월 대진국민학교 죽정 분교장으로 개교했고, 이듬해 죽정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2008년까지 졸업생 1,241명을 배출하고 폐교했다는 내용이 교문 뒤 키 작은 비석에 또렷이 남았다. 비석 옆 반공 소년 이승복 동상 앞에 서면 단층으로 지은 교사와 이제는 아이들 웃음소리 대신 토끼풀이 가득한 운동장이 한눈에 담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