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지근린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함지근린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함지근린공원

함지근린공원

10.2 Km    0     2023-04-04

대구광역시 북구 동암로38길 12

함지공원은 대구 북구 8경 중 제6경이다. 이곳은 대구 북구에서 가장 큰 규모의 생활공원이다. 다양한 조경 시설을 비롯해 여름철 개장하는 물놀이 시설, 어린이를 위한 포토존 토피어리 등 즐길 거리가 다채롭다. 함지근린공원은 무엇보다 전국 최초의 치매 예방 기억공원으로 유명하다. 공원 곳곳에 치매 관련 정보와 더불어 '거꾸로 말하기', '순서대로 찾기' 등의 인지 활동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사진 출처: 대구광역시청

팔레트

10.2 Km    2     2023-05-12

대구광역시 북구 동암로38길 9-35

팔레트는 대구 북구 8경의 아름다운 경관을 알리며 기억시키는 역할을 위해 공방 청년들이 모인 곳이다. 여러 가지 색을 담은 팔레트처럼 대구 북구 8경의 경관을 여러 방면으로 활용한 디자인 굿즈 및 취미 키트를 개발 및 제공한다. 또한, 체험 공방 운영으로 지역 주민 및 관광객이 참여할 수 있는 즐거움을 제공한다.

대구 고모령비

10.2 Km    36306     2024-04-29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장년층의 애창곡 가운데 [비내리는 고모령]은 작곡가 박시춘이 만들고 1946년에 가수 현인이 불러 수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던 노래이다. 이 노래의 배경이 된 곳 고모령에 가면 비 내리는 고모령의 노래비가 있으며, 노래비 뒷면에는 노래비를 세운 사연이 적혀있다. [어머님의 손을 놓고 돌아설 때엔 부엉새도 울었다오 나도 울었오 가랑잎이 휘날리는 산마루턱을 넘어오던 그날밤이 그리웁고나 맨드라미 피고 지고 몇 해이던가 물방앗간 뒷전에서 맺은 사랑아 어이해서 못 잊느냐 망향초 신세 비내리는 고모령을 언제 넘느냐 눈물 어린 인생 고개 몇 고개이더냐 장명등이 깜박이던 주막집에서 손바닥에 서린 하소 적어 가면서 오늘 밤도 불러 본다 망향의 노래] 옛날 고모령에는 남편 없이 어린 남매를 키우는 홀어머니가 있었는데 하루는 스님 한 분이 와서 이 집은 전생에 덕을 쌓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가난하다고 하여 어머니와 어린 남매는 덕을 쌓기 위해 흙으로 산을 쌓게 되었는데 현재의 모봉, 형봉, 제봉이라는 3개의 산봉우리가 되었고 동생과 형이 서로 높이 쌓고자 시샘을 하여 싸우는 것을 보고 어머니는 크게 실망하여 자식들을 잘못 키웠다는 죄스러움으로 집을 나와 버렸다. 집을 나와 하염없이 걷던 길이 지금의 고모령이며 정상에 와서 집을 향해 뒤돌아 봤는데 그 이름이 뒤돌아 볼 고(顧) 어미 모(母)를 합쳐 고모라는 마을 이름도 이곳에서 나왔다. 지금은 경부선 때문에 산은 잘렸고 망우공원에서 파크호텔 팔현부락을 거쳐 고모역으로 이어지는 옛 고갯길이 이어져 있다.

망우당공원

10.2 Km    36405     2023-11-09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금호강변에 자리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큰 전공을 세운 곽재우 장군의 호로 공원명을 지었다. 임진왜란 때 전국 최초로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무찌른 의병장이자 경상도 방어사, 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홍의장군 곽재우의 공을 기리기 위해 조성하였다. 망우당공원 내 망우당기념관은 곽재우의 유품을 보관하고 있으며 금호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가장 높은 곳에 말을 타고 군대를 이끄는 모양으로 조성된 홍의장군 동상 받침돌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홍의장군곽재우선생상]이란 한자 휘호가 새겨져 있다. 도로변에 있는 임란호국영남충의단에는 의병 관련 내용이 상세히 전시되어 있다. 공원 잔디밭에는 한국 현대서예 10대 작가인 소헌 김만호(1908~1992)의 예술비가 있으며 서상일이 건설한 근대교육의 산실이자 대구독립운동의 대표 유적지인 조양회관이 이전 복원되어 있다. 회관 옆으로는 1945년 광복을 상징하기 위해 45m로 조성된 대구경북 항일독립운동 기념탑이 있다. 탑에는 1895년부터 1945년 광복될 때까지 50년간 대구·경북 항일독립유공 국가 서훈자 1,796 위자를 명각하여 봉안하고 있다. 임란호국영남충의단은 1998년 곽예순박사를 비롯해 영남의병 후손들이 뜻을 모아 망우당공원 내에 건립했다. 이곳에는 곽재우, 김면, 서사원, 정세아, 정대임 등 영남의병 315인의 위패가 봉안돼 있다. 2011년부터 매년 6월 1일 [의병의 날]을 기념해 제례를 올리고 있으며, 이 날은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장군이 최초로 의병을 일으킨 음력 4월 22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날이다. 공원은 현재 임진왜란, 항일운동, 6.25 전쟁, 베트남전쟁의 역사 속 모습을 한 번에 담고 있어 가볍게 산책하며 역사적 의미를 새길 수 있고 더불어 호국충절의 정신을 기리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밥먹고갑시다

밥먹고갑시다

10.2 Km    24820     2023-08-14

대구광역시 동구 효동로6길 131
053-951-0385

동촌 유원지에 위치한 한식 전문점으로 재래된장으로 비벼 먹는 보리밥 전문점이다. 보리밥, 쌀밥, 섞어밥 중 취향대로 골라 먹을 수 있으며 고등어, 꽁치, 조기 등의 생선구이도 맛볼 수 있다. 저렴한 가격에 가성비 넘치는 식사를 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금호강 뷰도 볼 수 있다.

관음시장(대구)

10.2 Km    1     2023-01-31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중앙로28길 1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에 위치한 관음시장은 1994년에 개장하여 운영 중인 상설 시장이다. 작은 식당과 떡가게, 과일가게, 채소, 건어물 등의 점포가 영업하고 있다. 2021년 10월 현재 25개 상점이 영업 중이다. 시장 내부는 협소하지만, 외부에도 도로를 따라 많은 상점이 분포되어 있다. 인근에 아파트단지와 주택가가 밀집되어 있어 관음동 주민들이 많이 찾으며, 시장 내에 위치한 관음떡집은 겉모습은 허름하지만 줄서서 기다릴 정도로 유명한 떡집이다. 평일 약 200명, 주말에도 약 200여 명의 고객이 다녀간다. 주변에 팔공산도립공원, 칠곡향교, 운암지 등의 관광지가 모여있어 연계관광이 가능하다.

홈플러스 칠곡

10.2 Km    0     2024-03-24

대구광역시 북구 동암로12길 8 (동천동)

-

별미춘천닭갈비

별미춘천닭갈비

10.3 Km    19240     2023-08-18

대구광역시 북구 동암로38길 29-31
053-323-2818

대구에 위치한 지역주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닭갈비 전문점이다. 기본 닭갈비 외에도 낙지 닭갈비와 주꾸미 닭갈비를 맛볼 수 있다. 매운맛 조절이 가능하며 포장도 가능하다.

영영축성비

10.3 Km    33372     2024-02-05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

임진왜란 때 허물어진 대구 토성을 돌로 다시 쌓은 후 이를 기념하고자 세운 비이다. 수성구 만촌동에 있는 이 비는 직사각형으로, 바닥 돌 위에 비몸을 세운 간단한 모습이다. 비문에 의하면 성의 둘레는 2,124보이며, 네 개의 문을 만들고 성을 지키기 위한 군량, 전포 등을 갖춘 창고를 두었다. 석성의 공사 기간은 6개월이며, 동원된 인원은 78,534명에 달한다. 성이 완성된 뒤에는 여러 장사들을 모아 활쏘기대회를 열어 상을 주었다 한다. 경상도 관찰사였던 민응수가 나라에 건의하여 영조 13년(1737) 대구 남문 밖 관덕정지에 세워두었으며, 민응수가 비문을 짓고, 백상휘가 글씨를 썼다. 1906년(고종 10) 당시 대구 군수 박중양이 대구읍성을 헐고 도로를 만들면서 옛 달성군청(현재 대구백화점)에 옮겼다가, 이를 다시 1932년에 대구향교에 이전 보관되어 오다가 1980년에 현재의 위치(영남제일관)로 옮겨져 대구부수성비와 함께 보존되어 있다.

대구부수성비

10.3 Km    34515     2024-02-05

대구광역시 수성구 팔현길 248

대구부수성비는 1869년(고종 6) 8월에 경상도 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로 부임한 김세호가 1870년에 대구부성을 보수하고 그 사실을 기리고자 세운 비이다. 대구부성은 영조 때 경상도 관찰사 민응수가 외적의 침입을 막고자 쌓았다. 그 후 성이 오래되어 성벽이 훼손되었지만 제대로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김세호가 1870년(고종 7) 봄에 보수공사를 시작하여 11월에 공사를 마치고 이러한 과정을 대구부수성비에 기록하였다.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비문에는 공사에 관한 내용과 유공자에게 상을 내린 일이 적혀 있다. 관찰사 김세호가 직접 비문을 짓고, 당시 공사 책임관이었던 최석로가 글씨를 썼다. 광무 10년(1906) 대구부성이 헐리면서 갈 곳을 잃었다가 1932년 대구향교 경내로 옮겨 놓았고, 1980년 영남제일관을 재현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왔다. 대구부수성비는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인 영영축성비와 함께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