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남YMCA 회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교남YMCA 회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교남YMCA 회관

1.1 Km    3     2022-12-19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22

대구 약령시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등록문화재이다. 일제강점기 3.1 독립 운동 때 화합의 공간이자 물산장려운동, 기독교 농촌운동, 신간회 운동 등 기독교 민족운동의 거점이었던 건물이다. 대구 중구 근대역사의 중요한 시설물로 이만집 목사 3.8 만세 운동 기념지로 한국기독교 사적으로 지정됐다. 청년들을 중심으로 각종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였으며 특히 당시 산업의 대부분인 농촌사업을 체계화하고자 전국 각지에 농민학교를 세우고, 협동조합, 농민회, 야학 등을 조직하여 농천 청년들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대성사(대구)

대성사(대구)

1.1 Km    28547     2023-02-23

대구광역시 중구 북성로 19-1

* 일제강점기에 창설된 사찰, 대성사 *

한국의 사찰들은 역사적으로 부침이 많은 국내외적 영향으로 인해 안타깝게도 역사와 가람이 멸실되는 사례가 빈번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도 사찰의 불가항력적인 사정으로 인해 허무하게도 무너져버린 경우도 간혹 존재하고 있다. 몇 년전 만 해도 소박하지만 가람이 존재했던 대구 대성사가 바로 후자의 경우로 여겨진다. 일제 강점기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성사의 현재는 그 터에 4층 건물을 지어 올려 은해사의 대구포교당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대성사’라는 예전의 사명은 그대로 물려받아 부처님의 법음을 대구지역에 전파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대구 중구지역에서 그 터가 가장 오래된 건물로 손꼽혔던 대성사는 일제 강점기에 지어졌던 건물인지라 실은 왜색이 짙었던 것이 멸실의 이유로 추측된다. 그러나 새롭게 포교의 장을 연 대성사는 현재 시민선방을 비롯해 참신한 프로그램으로 지역주민들을 찾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

서민수산회

서민수산회

10.6 Km    0     2024-04-15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641길 7

서민수산회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매호동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구광역시에서 최초로 자외선 살균 수족관을 설치한 곳이다. 생선회는 방짜유기에 담아 신선도를 유지한다. 대표 메뉴는 농어, 대물 참돔, 자연산참가자미가 나오는 금은동메달세트다. 이 밖에 모둠회, 멍게, 낙지, 백만장자 물회, 백만장자 회덮밥 등을 맛볼 수 있다. 대구 지하철 2호선 신매역과 수성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아이니테마파크,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가 있어 연계 관광에 나서기 좋다.

대구 녹색에너지체험관

10.6 Km    5063     2023-12-19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52

이곳에선 따스한 햇빛도 졸졸 시냇물도 시원한 바람도 모두 에너지가 된다. 에너지를 만들고, 똑똑하게 쓰는 법을 배우는 곳, 에너지를 아껴 쓸 때마다 우리 지구는 깨끗해지고 더 살만한 곳이 된다니 더욱 차근차근 살펴볼 만하다.

운흥사(대구)

운흥사(대구)

10.7 Km    26909     2023-10-27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헐티로 1068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오리에 위치한 운흥사는 대한 불교조계종 제9교구 동화사의 말사이다. 비슬산에서 뻗어 솟구친 최정산 중턱에 자리하며, 아래로는 대구의 상수원인 가창댐을 굽어보고 주위는 울창한 숲이 드리워져 있다. 운흥사의 창건은 신라 흥덕왕 때인 832년에 운수화상에 의해 동림사로 개산하여 1620년 조선 광해군 12년 무념스님이 중수하여 수암사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751년 조선 영조 27년 치화대사가 지금의 위치인 최정산 정산 인근에 옮겨 중수하면서 운흥사로 부르게 되었다. 1760년 무렵에 간행한 여지도서에 운흥사가 실려 있어 당시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임진왜란 때는 사명당 송운대사가 이곳에서 승병 300여 명을 지휘하여 왜적과 싸웠다고 전해진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웅전을 비롯하여 삼성각, 요사채 5동이 있다. 수목이 울창하고 계곡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특히 대웅전 안에는 1653년(효종 4)에 조각승 도우(道祐)가 조성한 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2014년에 보물로 지정되었고 대구광역시 전통사찰이다.

에코한방웰빙체험관

1.1 Km    3119     2023-05-25

대구광역시 중구 남성로 24

약전골목 인근의 역사적인 보전가치가 있는 건물들이 소멸되어 가고 약업사 등 관련 업종이 급속히 감소하는 등 대구약령시의 위기감이 팽배해짐에 따라 중구청에서 옛 이해영 정형외과와 인근 부지를 매입하여 조성한 친환경 체험시설이다. 1966년에 건축된 대구의 현대적인 병원 건축의 전형인 이해영 정형외과의 옛 모습을 최대한 살려 리모델링하면서 동선을 고려한 증축으로 근대건축물을 활용한 도심재생 모델이다. 대구 근대골목투어의 중간 거점지로서 약령시를 방문하는 관광객과 시민들을 위한 도심 속 힐링 체험장이다.

대구 환경사랑홍보교육관

대구 환경사랑홍보교육관

10.7 Km    0     2024-06-20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40

대구환경사랑홍보교육관은 2000년 3월에 개관하였으며, 2021년 체험형 전시관으로 리뉴얼 후 재개관하였다. 기후대기, 물환경, 자원순환, 생활환경, 생태복원, 미래직업체험(VR체험) 등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험형 전시물로 즐겁고 신나게 배울 수 있는 환경교육 체험학습공간이다. 또한, 관람객 연령별 눈높이에 맞춘 다양한 환경체험 프로그램 개발로 국민들의 환경교육과 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환경보전의식을 공유하고 생활 속 실천 중심 체험교육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환경교육전문학습관이 되고자 한다.

올리브영 대구동성로광장점

1.1 Km    0     2024-06-11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1길 28

-

올리브영 대구시지

올리브영 대구시지

10.7 Km    0     2024-03-24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3214

-

대구수목원

대구수목원

10.7 Km    115402     2024-05-08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42

74,000여 평의 부지에 1986년부터 1990년까지 대구 시민의 생활 쓰레기 410만 톤을 매립한 장소를 수목원으로 탈바꿈했다. 1997년부터 개장일인 2002년 5월까지 수목원을 조성함으로 자연생태환경를 복원한 사례이다. 대구수목원은 침엽수원, 활엽수원, 화목원, 야생초화원, 약용식물원, 염료원 등 21개소의 다양한 원을 구성하여 400여 종 6만 그루의 나무와 1,100개 화단에 800여 종 13만 포기의 초화류를 식재하였고, 40종 300여 점의 분재와 200종 2,000점의 선인장과 더불어 300여 점의 수석도 전시하였다. 총 1,750여 종의 식물이 전시되어 있고 25개의 테마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심에서 가까운 도시형 수목원으로 관찰, 견학, 학습 탐구, 휴식에 대구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