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삼국유사 테마파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군위 삼국유사 테마파크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군위 삼국유사 테마파크

군위 삼국유사 테마파크

12.1 Km    0     2024-05-21

대구광역시 군위군 의흥면 일연테마로 100

삼국유사 테마파크는 삼국유사(三國遺事) 속 콘텐츠를 시각화한 다양한 전시‧조형물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교육‧체험 프로그램들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시키면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동시에 제공한다. 다양한 체험과 문화, 관광이 한데 어우러진 복합 문화 공간이다. 삼국유사를 주제로 한 전시 및 다양한 체험을 함께할 수 있는 가온누리관, 야외에서 신나게 즐길 수 있는 해룡 슬라이드, 해룡 물놀이장, 보다 편리한 이동이 가능한 해룡열차, 숙박시설 등 이용객들을 위한 다채로운 즐길거리가 준비되어 있다.

고향의봄

고향의봄

12.1 Km    2     2024-03-04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팔거천2길 21
02-6261-5242

고향의 봄은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는 오리고기 전문 음식점이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VJ 특공대에 소개된 바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포장마차 분위기를 연상시키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장작불을 지핀 화덕 위에 돌판을 깐 후 오리고기를 구워서 먹는 오리 장작 불고기다. 이 밖에 오리 장작 소금구이, 얼큰 라면, 칼국수, 잔치국수 등이 준비되어 있다. 예약은 불가하다.

신령장 (신녕장) (3, 8일)

신령장 (신녕장) (3, 8일)

12.1 Km    10246     2023-03-10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본관시장길 3
054-330-6231

한때 규모가 큰 5일장이였으나 이농현상과 교통의 발달로 영천장에 상권이 넘어가 장세가 약화되고 있으나, 그런대로 5일장 명목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역에서 생산되는 채소류,농산물 거래와 노점어류 상인과 기존 잡화류 상가 20여 개가 어우러져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화산산성

화산산성

12.2 Km    21323     2023-11-17

대구광역시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군위군 삼국유사면과 영천시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화산은 해발 828m로,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고로면의 산 중에 크기가 가장 큰 산이다. 기암괴석으로 이뤄진 산이지만 산정상은 평탄한 분지로 울창한 숲이 있어서 산수가 좋기로 유명하다. 정상에 올라보면 산성이 눈에 들어오는데 지방기념물인 화산산성이다. 화산 일대에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성된 산성이며, 면적은 10,813㎡이다. 1709년(숙종 35) 윤숙이 천연의 요새인 화산에 병영을 건설하고자 4문의 기초 공사를 시작하여 홍예문을 짓고 혜휘, 두청 두 스님으로 하여금 군수사(군수 물자를 비축해 두기 위한 사찰)를 짓게 하였다. 국가의 지원을 받지 않고 윤숙의 재산과 승려들의 시주에 의해 시작된 공사로 일체의 민폐를 끼치지 않았다고 한다. 홍예문에서 수구문에 이르는 거리 200m, 높이 4m, 너비 5m의 성을 축조하던 중 심한 흉년과 질병으로 인하여 공사가 중단되었는데, 윤숙마저 전라도 병마절도사로 전출되고 20년간 후임자가 없어 공사가 헛되이 끝나버리고 말았다. 지금은 아름다운 반월형 홍례문과 수구문이 남아 있으며 산성 안에는 옥정영원이라는 샘물이 있는데 지름 5m의 바위구멍에서 솟는 석간수이다. 추운 겨울에도 얼지 않으며, 여름에도 10℃ 이하의 시원한 냉수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산 정상에는 화산산성 하늘전망대와 풍차전망대가 있어 주변 화산마을과 군위호, 군위댐을 포함하여 삼국유사면을 둘러싼 산도 볼 수 있다. 풍차전망대에는 화산산성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문화해설사가 있다.

동명장 (4, 9일)

동명장 (4, 9일)

12.2 Km    9479     2023-04-12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4길 2
칠곡군청 : 054-979-6522 동명면사무소 : 054-979-5395

동명장이 서는 동명면은 동쪽은 군위군, 남쪽은 대구광역시, 서쪽은 지천면(枝川面), 북쪽은 가산면(架山面)과 접하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명장은 대구에서 팔달교를 지나 안동 방향으로 대구광역시와 경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면 소재지 전역에 부추를 재배하고 있어 장날이면 아침에 출하하는 싱싱한 부추를 살 수 있고, 동명 농협에서 직판사업으로 실시하는 한우 쇠고기를 농협 직판장에서 싼 가격에 살 수 있다.

봉강서원

12.3 Km    1263     2023-11-03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화계봉산길 795

목화를 전래한 고려시대의 문신 문익점, 물레를 고안한 문래, 직조법을 발명한 문영 등을 배향하고 있다. 1861년 창건하였으며, 1960년 현재의 서원터에 문중의 후손들이 신실인 경현사, 삼문, 강당, 외삼문인 상의문, 충선공 유허비각 등을 중수하였다. 남평문씨 종중에서 소유와 관리를 맡고 있으며, 해마다 음력 3월 중정에 제사를 지낸다. 문익점 선생은 고려 말의 유학자로 성리학을 창명하고 원나라에 사신을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최초로 목화씨를 가지고 돌아와 장인 정천익과 함께 재배에 성공하여백성들의 의류 혁신과 생활에 크게 이바지했으며, 선생의 손자 문래는 천문, 지리, 음양, 산수, 척도 등에 밝았으며 물레를 만들었다. 물레란 말은 문래에서 유래된 것이며 목화면 이용에 크게 공헌하였다. 문래 선생과 형제지간인 문영 선생은 베틀을 만들어 목면포 즉, 무명베를 최초로 짜게 했다. 그래서 그의 이름을 따서 문영베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무명베가 되었다.

신녕포교당

12.3 Km    17149     2023-12-13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동산길 11

영천시 신녕면 완전리에 있는 신녕포교당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로 200여 년 전 법륜사를 계승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부도가 1880년(고종 17)에 조성된 것이어서 법륜사의 초창은 19세기 후반임을 알 수 있으며 현 포교당의 건립은 1924년 박희웅 화상에 의해 세워졌고, 1961년 학산 스님이 발원하여 포교당 내 산령각을 건립하고 산신도를 봉안하였다. 그래서 입구에 신녕 포교당과 법륜사의 푯말이 나란히 적혀 있다. 신녕포교당은 지역민의 교육과 불법 홍보를 위한 도심 속의 사찰로 인근 군부대의 군 법회를 통한 포교 활동에 주력하고 있고 경내에는 1924년 건립된 극락전과 요사, 석탑이 있다.

신녕향교

12.3 Km    1420     2024-02-02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큰골길 30-7

영천시 신녕면에 있는 신녕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조선시대 국립 교육기관이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592년에 회신되었다가 1615년(광해군 7) 중건하였고, 1686년(숙종 12)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970년 대성전을 중수하고 1974년과 1976년에 대대적인 보수가 있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겹처마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7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된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 송조4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 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향교에 있는 대성전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남곡서원

12.4 Km    1644     2023-11-03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미성3길 66-7

군위 우보면은 영천이씨 후손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이곳의 남곡서원은 남곡공과 남곡공의 5명의 아들을 배향하기 위해 영천이씨 남곡공파 24대손 태영공이 2001년에 건립한 문중서원이다. 남곡공 이석지(1328~1400)는 고려 보문각 대제학과 판도판서의 관직에 올랐으며, 그의 장자 이안우는 집현전 제학과 한성부윤을 지냈고, 차자 이안직은 직제학 겸 병조판서를 지냈다. 위패를 모신 효충사와 대강당, 송암정사, 남곡공 사적비, 제학공 유적비와 그 비각들, 두문동 72현의 행적을 새긴 와비와 창건기문, 남곡서원 표지석 등이 세워져 있는 본원으로 구성되었다. 대강당에는 남곡공과 다섯 아들을 경모하고 학업을 연수하는 곳으로 남곡서원 현판이 달려 있으며 서원으로 들어가는 문은 협문과 대문이 있고 이름을 귀당문이라 하였다. 매년 음력 3월 첫 일요일 영천이씨 남곡공파 후손들이 참석하여 제사를 올린다.

군위 팔공산능금마을

군위 팔공산능금마을

1.2 Km    17838     2023-09-13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동산2길 37

가을 단풍과 계곡을 따라 흐르는 맑은 물을 연상시키는 군위 팔공산 능금마을은 팔공산을 사이에 두고 대구시와 연접하고 있으며, 군위군 부계면의 동편과 경북의 명산 서편 끝자락에 위치한 마을이다. 왼편으로는 반딧불이가 서식할 정도로 맑은 물로 유명한 동산계곡이 흐르고 있고 마을 전체를 과수원이 감싸고 있어 가을이 되면 짙은 단풍과 맑은 물, 사과 향기가 어우러져 농촌의 정취에 흠뻑 젖을 수 있다. 마을 1km 이내에 군위 삼존 석불, 대율리 전통마을 등 군위군을 대표하는 주요 문화재가 산재하여 있는 깨끗한 농촌경관과 유구한 전통문화가 살아 숨 쉬는 유서 깊은 마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