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마늘시장 맛집을 찾아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의성마늘시장 맛집을 찾아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의성마늘시장 맛집을 찾아서

의성마늘시장 맛집을 찾아서

2.1 Km    3350     2023-08-10

마늘로 유명한 경북 의성 전총 시장은 1946년부터 정기적으로 장이 열린 큰 장터다. 마늘로도 유명하고 특히 닭발골목으로 유명하다. ‘한번 먹어보지 않으면 후회한다’고 하는 사람이 있을 정도로 맛있기로 소문이 자자하고 천막식당의 국수나 묵채 한 그릇도 별미다. 장서는 날은 매월 2, 7, 12, 17, 22, 27일이다.

의성향교

2.1 Km    17492     2023-12-07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향교길 57

의성향교는 조선 시대 지역 유생들이 머물며 수학한 교육 기관으로, 1394년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진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 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건립 이후 많은 유학자를 배향하였으며 향교 내에 대성전을 두어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에 대한 제사를 지내는 제향적 기능도 담당하였다. 1545년 중수하였고, 그밖에 자세한 기록은 전하지 않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유학자들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제향 공간인 대성전이 동측 전방의 높은 터에, 강학 공간인 명륜당은 서측 후방의 낮은 터에 각각 별개의 토담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좌묘우학의 배치 형태를 보인다. 의성향토사 연구회는 [발길 닿는 의성으路 마음 가는 향교路]란 사업명으로 이곳 의성향교에서 문화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향교를 활성화하고 전통문화유산을 미래자산으로 보존과 향후 군민에게 높은 수준의 문화 및 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행사이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배려와 양보를 실천을 통해 스스로 배우면서 느낄 수 있는 [회화나무 바라보며 선비의 꿈 새길래요]와 의성향교 유생들의 의병정신을 마당극을 통해 알아볼 수 있는 [의성인의 진짜 멋을 찾아 보자구요] 등이 있다.

남선옥

남선옥

2.2 Km    19806     2023-08-02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전통시장1길 8-1
054-834-2455

남선옥 식육식당은 국내산 순수 한우만을 취급하는 50년 넘는 전통의 한우 숯불구이 전문점이다. 메뉴는 오직 한우소고기양념밖에 없으며 달짝지근하고 짭조름한 양념이 고기에 잘 베여있다.주차장은 따로 없고 가게 앞 공터에 주차 가능하다.

뿔난염소식당

뿔난염소식당

2.7 Km    0     2024-02-07

경상북도 의성군 북부길 342

뿔난염소식당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다. 직접 의성 마늘을 먹여 키운 염소로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 손님상에 낸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 MBC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오늘 저녁'에 출연한 바 있다. 대표 메뉴는 염소탕이며, 이 밖에 염소 전골, 수육 한 접시, 진국, 염소 껍데기 볶음, 염소홍불고기 등을 맛볼 수 있다. 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북의성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제월아트체험센터, 구봉공원이 있다.

우곡서원

2.9 Km    1251     2023-12-07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북부길 355-20

우곡서원은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는 서원으로 1818년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고려 말의 학자 오국화를 추모하기 위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80년에 복원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숭절사, 숭의당, 신문, 동재, 와 서재, 전사청, 정문, 주소 등이 있다. 사우인 숭절사에는 오국화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숭의당은 서원의 강당으로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고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 강론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신문은 향사 때 제관의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고, 전사청은 제수를 마련하는 곳으로 사용하고 있다. 동재는 재원 숙소로 그리고 서재는 유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장소로 사용하고 있다.

운람사(의성)

6.6 Km    17189     2023-12-07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신안2길 223

운림사는 의성군 안평면 천등산 아래에 자리한 사찰이다.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운람]이라는 사찰의 이름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천등산 첩첩산중 깊은 계곡에 위치하여 아지랑이가 마치 구름같이 피어오른다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것과 구름과 바람의 뜻으로 지어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운람사 창건 이후의 자세한 변천 과정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지만, 보광전의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불복에서 나온 복장 유물에 따르면 1602년과 1704년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1741년에 지장 탱화, 1774년에 반자, 1827년에 산신 탱화를 조성하였으며 1999년에는 보광전을 중창하였다. 경내에는 운람사 3층 석탑과 보광전을 중심으로 산왕각, 식암당, 조당, 객당 등이 있다. 보광전은 조선 후기의 건물로 추정되며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전각이다. 보광전 내부에는 주불인 아미타불과 왼편의 관세음보살, 오른편의 대세지보살 등 금동 삼존 여래 좌상이 조성되어 있다.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

8.1 Km    29729     2023-01-09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공룡로 179-18

*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발자국 화석,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화석지 * 지금으로부터 약 1억15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의 공룡발자국 화석이다. 1993년 6월 1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공룡은 중생대의 주라기부터 백악기에 걸쳐 번성했던 길이 5∼25m의 거대한 파충류를 통틀어 말한다.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화석은 군도의 확장공사를 하느라 산허리부분의 흙을 깎아내면서 발견되었다. 이곳에서 발견된 공룡발자국화석은 4종류에 모두 316개, 발굽울트라룡, 발톱고성룡, 발목코끼리룡 등 3종류의 초식공룡발자국과 육식공룡인 한국큰룡 발자국이 발견되었다. 이곳에서는 대·중·소형의 초식공룡과 육식공룡의 발자국이 동시에 발견되어 공룡의 서식지였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발의 크기, 보폭, 걷는 방향 등이 아주 뚜렷하게 나타나있어 당시 공룡의 모습과 생활 등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공룡발자국에서 전통마을까지 의성에서 즐기는 역사여행

공룡발자국에서 전통마을까지 의성에서 즐기는 역사여행

8.3 Km    3360     2023-08-08

의성은 삼한시대의 부족국가인 소문국과 조문국의 역사가 남아 있는 고장이다. 뿐만 아니라 제오리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 신라시대 석탑으로 전탑의 기법을 모방한 국보 탑리 오층석탑,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사촌 가로숲과 조선시대의 대표적 양반마을인 산운마을이 있어 역사여행으로 제격이다. 풍혈과 빙혈이 있는 빙계계곡의 빙산사지 오층석탑도 빼놓을 수 없는 문화유산이다.

의성점곡계곡

의성점곡계곡

9.2 Km    3     2023-08-07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중리들길 14-33

※장마·소나기 등 폭우 시 출입금지 및 야영객 철수조치 / 코로나로 인해 튜브·구명조끼 대여 중단
의성점곡계곡은 점곡면 사촌리 667번지에 위치한 계곡이다.상·하류, 2개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고 모두 안전요원이 배치되어 있다.암석 절벽 앞으로 계곡물이 흐르고 계곡 앞에는 캠핑을 할 수 있는 넓은 공터가 있다.주차장, 화장실이 갖추어져 있으며 입장료, 주차장 이용료 등은 모두 무료이다.운영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고 날씨가 맑으면 자유롭게 입장이 가능하다.

의성 금성산 고분군

의성 금성산 고분군

9.4 Km    19160     2023-12-05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1길

* 조문국의 무덤군으로 여겨지는 곳, 의성 금성산 고분군 * 금성산 고분군은 대리리, 탑리리, 학미리 일원에 소재하며 200여 기에 이르는데 출토된 유물은 5~6세기 것으로 추정된다. 지름 15~19m, 높이 3~4m의 대형분과 지름 10~15m, 높이 2~4m의 중형분, 지름 10m 미만의 소형분이 고루 밀집되었으며, 원형봉토분이 대부분이다. 1960년에 국립중앙박물관, 1965년 경희대학교 박물관이 발굴·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성토의 모양은 봉구를 중심으로 수평단축 상태로 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봉구를 조성하는 데 사용된 흙은 순수한 점토로서 그 양 또한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용된 흙의 대부분이 이 지역에서 나는 흙과 색깔이 달라 다른 지역에서 운반해 왔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것으로 이 고분을 만들기 위해서는 막대한 노동력이 동원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이 고분군은 정치적으로 영향력이 큰 통치자에 의해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금성산 고분군과 삼한 조문국 * 조문국은 삼한시대의 부족국가였던 나라로 현재의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일대를 도읍지로 하여 존속하다가 185년(신라 벌휴왕 2년)에 신라에 병합되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조문국이 실재했었다는 기록은 삼국사기에 짧게 언급되어 있을 뿐 문헌자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금성산 고분군은 조문국의 도읍지로 여겨지는 곳으로 의성 지역 지방 세력과 사회구조 및 의성 지역과 신라와의 관계 파악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문화재 정보] 지정종목 : 국가지정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지정연도 : 2020년 4월 1일 시대 : 삼국시대 종류 : 고분군 크기 : 면적 296,825㎡, 지름 10∼19m, 높이 2∼4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