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관광기념품점 (구, 경남관광공예명품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경남관광기념품점 (구, 경남관광공예명품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경남관광기념품점 (구, 경남관광공예명품관)

경남관광기념품점 (구, 경남관광공예명품관)

11.7 Km    2810     2024-06-03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362

경남관광기념품점은 창원컨벤션세터 1층 중앙에 위치한 곳으로 경상남도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설립하여 경남관광협회가 운영하는 곳이다. 설립 목적은 경남의 관광산업을 발전시키고, 관광기념품 제조업체를 육성하고 판로를 지원하는 것이다. 각종 공모전에서 입상한 작품과 경상남도 각 지자체에서 추천한 제품만 전시 판매하고 있으며,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도 저렴해야 한다는 방침으로 운영되고 있다. 공예품을 비롯하여 식료품, 특산물 등 다양한 제품을 취급하고 있어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하고, 한국적인 멋과 정취를 찾는 외국 관광객에게도 인기 있는 곳이다.

CECO 창원컨벤션센터

CECO 창원컨벤션센터

11.7 Km    21435     2024-06-05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원이대로 362

국내 최초의 계획도시이자 첨단산업도시, 글로벌 환경 도시로 도약하고 있는 창원특례시에는 대규모 국제 전시컨벤션시설인 창원컨벤션센터(CECO)가 2005년 9월 개관하였다. 코엑스의 전문적인 서비스와 더불어 수많은 산업전시회, 국제회의, 문화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글로벌 전시 컨벤션 마케팅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08년에는 2,000석 규모의 컨벤션홀과 주차장을 증축하여 시설을 업그레이드하였으며, 특1급 호텔, 멀티플렉스 영화관, 대형마트, 푸드코트, 쇼핑몰, 오피스텔 등을 갖춘 전시 컨벤션, 숙박, 쇼핑 & 엔터테인먼트, 주거가 한 곳에서 가능한 국내 최초의 콤팩트시티로써, 컨벤션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08년 세계인의 환경올림픽인 람사르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CECO의 시설, 서비스, 인프라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입증하였고 2017년 제2차로 회의실(600/700호)과 제3전시장을 증축하여 국제 규모의 전시컨벤션센터로 발전하고 있다.

샤샤의놀이터

샤샤의놀이터

11.7 Km    0     2023-11-13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대봉로 14

‘오늘은 아기랑 뭐 하면서 놀까?’ 엄마, 아빠의 고민을 해결해 줄 키즈카페 샤샤의놀이터는 볼풀장, 낚시 놀이, 소꿉놀이, 촉감 놀이, 캠핑 놀이, 편백 큐브 놀이, 트램펄린, 원목 놀이교구, 그리고 바운서, 에듀 테이블 등 즐길 거리가 다양하다. 36개월 이하 유아도 이용 가능하며 초등학생 1학년 남아, 초등학생 2학년 여아까지 연령 제한을 두고 있다. 수저 사용 가능한 식사류 반입이 가능해서 간단한 도시락이나 이유식을 아이에게 먹일 수 있다. 직원들이 수시로 정리 정돈과 청결 및 소독을 해서 아이들이 안전하고 깨끗한 곳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 입장료 : 어린이 7,000원 / 어른 3,000원 (음료 별도)

김해 수로왕비릉

11.7 Km    27067     2024-06-12

경상남도 김해시 가락로190번길 1

김해 수로왕비릉은 금관가야의 시조 수로왕의 왕비인 허황옥의 무덤이다. 허황옥은 원래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로 하늘의 명을 받아 16세에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와 수로왕의 아내가 되었다고 한다. 수로왕릉과는 다르게 평지가 아닌 언덕에 지어진 점이 특이하며 근처에 굴식 돌방무덤 구조인 김해 구산동고분군이 위치해 있다. 왕비릉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정문인 구남문과 능 앞에 세우는 홍살문이 있다. 무덤으로 가는 오른편에는 제사를 준비하는 숭보재가 있으며 왕비릉 앞에는 능비가 있다. 왕비릉 아래에 있는 파사석탑은 삼국유사에 따르면 배를 타고 가락국으로 건너올 때 파도를 잠재우기 위해 싣고 온 것이라 한다. 매년 봄가을 숭선전 제례 때 수로왕릉과 함께 제사가 거행되며, 매년 음력 9월 15일에는 김해문화원에서 주관하는 허황옥에게 차를 올리는 황후릉 헌공다례가 개최되고 있다. 수로왕비의 이름은 허황옥이며 수로왕 7년인 서기 48년에 16세의 나이로 배를 타고 가락국으로 건너와 왕비가 되었고, 서기 189년에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능은 조선 인조 19년에 축조되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왕비가 세상을 떠나기 직전 두 아들에게 어머니의 성인 허씨를 따르게 하여 김해 허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김해읍성

김해읍성

11.8 Km    0     2023-12-05

경상남도 김해시 분성로335번길 44

김해읍성은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세종 16년(1434) 석성으로 축조되었다가, 문종(1451) 때 냇물과 우물을 포함한 둘레 4,418척, 높이 13척의 대규모 읍성으로 완성되었다고 한다. 김해읍지에 읍성의 4대 문인 해동문과 해서문, 진남문과 공진문이 기록되어 있으나 일제강점기에 읍성 철거정책으로 철거되고 고종 32년 이후 거의 흔적이 없어졌다. 현재의 김해읍성 북문은 현 위치에 성벽과 옹성 일부가 남아있는 것을 2006년부터 하부구조와 축성기법을 조사, 분석하고 고지도류와 각종 문헌자료를 참고해 2008년에 복원했다. 현재는 문화재 보호법으로 인해 들어가 볼 수는 없다.

동상시장

동상시장

11.8 Km    1     2023-04-05

경상남도 김해시 구지로180번길 25

1945년 형성된 동상시장은 칼국수 타운을 비롯한 채소, 과일, 떡, 수산물과 반찬가게 등 다양한 품목을 고루 갖추고 있는 생활 편의형 전통시장이다. 2017년 문화 관광형 시장으로 선정되어 전통과 이국의 다양한 글로벌 문화가 사이좋게 공존하는 시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최근에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이 찾으면서 아시아 마켓들이 많이 생겨났다. 특히 동남아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 채소, 제례음식, 칼국수 등이 특화되어 있다.

김해 가락국의 왕과 비가 잠들어 있는 이곳을 찾아서

김해 가락국의 왕과 비가 잠들어 있는 이곳을 찾아서

11.8 Km    3278     2023-08-09

김해는 가야국의 역사가 담긴 유구한 전통이 깃든 도시다. 김해의 상징적인 문화 유적지를 따라 고이 잠들어 있는 우리의 문화 유산지를 찾아가 본다. 수로왕의 왕비인 허황옥 황후가 잠들어 있는 수로 왕비릉을 시작으로 김해의 대표 유적지라 할 수 있는 수로왕릉까지 답사하며 가야의 역사를 되짚어 볼 수 있다.

찬란한 가야문화의 심장부 ‘김해’로 출발!

찬란한 가야문화의 심장부 ‘김해’로 출발!

11.8 Km    746     2023-08-09

금광가야가 찬란한 왕국을 이루었던 오랜 역사의 땅 김해. 그곳에 가면 옛 가야의 유물들과 전설 속 지명과 흔적들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2,000여 년의 시공간을 뛰어넘어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고대 가야로 들어가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오플로우

오플로우

11.8 Km    0     2024-06-21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대로 1206 거양빌딩

낙동강을 바라보며 향긋한 커피와 다양한 베이커리를 즐길 수 있는 카페 오플로우는 지하와 1층, 2층, 루프탑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하공간은 자갈과 식물로 구성되어 있어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어린이 제한 구역으로 운영된다. 루프탑에서 낙동강의 멋진 풍경을 바라보며 커피를 즐길 수 있다. 이곳의 모든 빵은 당일 아침 생산해서 당일 판매를 원칙으로 한다. 빵 종류도 다양하고 커피와 에이드, 티 종류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브런치 메뉴는 없지만, 피자를 판매한다. 주차는 건물 앞과 뒤에 모두 주차할 수 있다. 인근에 낙동강 둔치 공원이 있어 둘러보기 좋다.

김해향교

11.8 Km    18726     2023-11-23

경상남도 김해시 가락로150번길 21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공립 교육기관이다. 김해시 대성동에 있는 김해향교는 최초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 부사 정기남이 김해읍 동쪽 다전동에 중건했다. 1683년 향교 뒷산이 무너져 1688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으며 이후 대성전, 동무·서무, 동재·서재, 명륜당, 남루 등을 건립했다. 1769년(영조 45) 화재로 소실됐으나 이듬해 재건하였고 1887년에는 교궁을 보수 및 단청하였으며, 내삼문도 수리하였다. 1904년에는 군수 이근홍이 중수하였고, 1972년 대성전·명륜당·삼문을, 1975년 서무를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김해향교는 현재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소장 전적 가운데 <김해향안>, <김해효열전> 등은 향토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