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여관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여관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서울여관식당

서울여관식당

15.8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18-1

※ 25년 3월 산불로 인해 건물이 전소되어 휴업 기간 미정으로 방문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text202503{ COLOR: #FF0000; } 서울여관식당은 40년 전통을 지닌 닭백숙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인 토종닭백숙 외에도 닭가슴살 떡갈비, 염통구이, 닭다리살 백숙이 함께 나오는 세트 메뉴 토종불백과 토종옻닭백숙, 닭떡갈비, 사과동동주 등을 맛볼 수 있다. 음식점 내부에는 총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단체석이 마련돼 있으며, 예약이 가능하다. 음식점 인근에는 달기 약수터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손쉽다.

동대구식당

동대구식당

15.8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542

※ 25년 3월 산불로 인해 건물이 전소되어 휴업 기간 미정으로 방문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text202503{ COLOR: #FF0000; } 동대구식당은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소재 청송달기약수닭요리거리에 있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정보 등 여러 방송에 소개된 바 있다. 예스러운 멋을 풍기는 외관과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토종닭 부위별 달기약수 세트다. 자투리 살로 만든 약수 구이, 가슴살로 요리한 고추장 떡갈비, 날개살로 만든 간장조림, 다리 살로 이루어진 약수 한방백숙이 상에 오른다. 청송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외씨버선길 1코스와 달기폭포가 있다.

약수식당

약수식당

15.8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542
054-873-2167

※ 25년 3월 산불로 인해 건물이 전소되어 휴업 기간 미정으로 방문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text202503{ COLOR: #FF0000; } 청송의 달기 약수는 400년의 역사를 가진 알칼리성으로 위장, 신경, 빈혈 등에 좋기로 소문난 약수이다. 일제강점기 때 약수를 먹기 위해 천막을 친 사람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면서 생긴 것이 약수 식당이다. 처음 집을 지으면서 심은 마당 한가운데 등나무가 30년이 넘은 전통 있는 업소이다. 대물림을 하고 있는 주인장의 대표적인 상차림은 약수로 고아 내는 토종닭이다. 달기 약수에 토종닭과 황기, 인삼, 시오, 감초와 같은 한약재와 마늘, 대추, 녹두, 찹쌀 등을 넣어 푹 고아 낸 백숙은 쫀득쫀득하면서 구수한 맛으로 육질이 풀어지지 않고 국물이 아주 맑은 것이 남다르다. 백숙을 전부 건져 먹은 다음 닭죽이 나오는데 이 또한 별미이다. 밑반찬도 넉넉한데 모두가 유별난 맛이다. 배추 물김치, 무지, 가죽나물지가 별미이다.

부산식당

15.8Km    2024-12-17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24
054-873-2078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부산식당은 기력 회복에 좋다고 알려진 음나무, 두충나무를 재료로 사용하며 백숙, 닭 불고기로 유명한 식당이다. 청송군 향토 음식 지킴이의 집으로 선정되었으며, 향토 음식 아카데미를 수료한 주인장이 운영하는 곳이기도 하다. 손님들의 취향에 맞는 인삼, 황기, 녹두, 대추, 찹쌀 등을 이용하여 요리하고 있다.

봉산식당

15.9Km    2024-12-26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28
054-873-2183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에 위치한 봉산식당은 달기약수를 이용한 백숙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이다. 토종한방백숙, 토종옻닭백숙, 능이버섯백숙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안동 수애당

15.9Km    2025-01-17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용계로 1714-11
054-822-6661

수애당은 경상북도와 안동시가 지정한 제1호 전통한옥체험장이다. 고즈넉한 감성숙박으로 넉넉한 마루와 부드러운 처마가 특징인 곳이다. 침구류는 항상 깔끔하고 산뜻해야 한다는 주인장의 고집에 따라 직접 맞춤 제작한 광목천의 목화솜이불이 매일 교체된다. 한지 손거울 만들기, 다도 등 다양한 문화체험이 마련되어 있다. 툇마루에서 먹을 수 있는 파전과 안동소주를 판매한다. 밤하늘과 한옥의 분위기를 함께 느낄 수 있다. 하회마을, 봉정사, 도산서원, 병산서원 등 숙소 주변에 관광지가 있다.

전주유씨무실종택

전주유씨무실종택

15.9Km    2025-01-16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용계로 1714-12

전주 유씨 무실파의 대종택이다. 원래 임동면 수곡동에 있었는데,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1988년에 현 위치로 옮겨 지었다. 전주 유씨는 고려 후기 완산백 유습[柳濕]을 시조로 하고 있으며, 퇴계 학통으로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곳은 유윤선이 한양에서 분가하여 영주에 거주하다가 그의 아들 유성이 이사하여 정착한 곳이다. 그 후 자손이 번성하고 인재가 많이 배출되어 영남의 유수한 문중이 되어 무실 유씨로 불리게 되었다. 앞면 7칸·옆면 6칸의 목조 기와집으로 전면에 7칸의 행랑채를 두고 있고, 안채는 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의 서쪽으로는 사랑채·대청 3칸·겹집을 달았으며, 뒤에는 사당이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희게

16.0Km    2024-12-18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무실길 5
0507-1307-1446

꼬불꼬불한 산을 따라 한참을 달려가면 저 멀리 반짝이는 윤슬이 마중합니다. 스위스의 깊고 작은 동네에 숨겨져 있을법한 호수 같은 이 곳은 안동의 임하호입니다. 조용하고 작은 마을 무실마을에 임하호의 반짝이는 물결을 바라보는 단정하면서도 모던한 휴식의 공간, 스테이 희게가 있습니다. ‘희게’는 ‘빛나는 휴식’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전통 한옥에 편의성을 더한 형태로 본채와 별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창양동 후송당

16.0Km    2024-12-27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청송로 2587-13

이 가옥은 현 소유주 조창래의 조부인 후송(后松) 조용정(趙鏞正)이 건립하였다. 일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중문간채 그리고 ㄴ자형의 사랑채가 안마당을 감싸고 있어 전체적으로 보아 튼 ㅁ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다. 안채는 1947년에 세운 건물로 우측부의 부엌을 제외한 각면에 툇마루를 돌렸으며 네모기둥을 세운 5량 가구의 팔작집이다. 사랑채는 1935년에 세운 건물로 앞면 툇기둥만은 둥근 기둥을 세웠다. 짧은 누하주를 세우고 난간을 설치하여 누집 모양으로 꾸몄으며, 후송헌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다. 이 밖에 행랑채, 곡간째, 창고 등이 있는데 행랑채의 대문간은 솟을지붕으로 처리하였다. 50칸이 넘는 큰 규모의 주택으로 각 건물의 배치 관계가 좋고 비교적 간소한 외관을 보여주고 있다.

달기약수촌

달기약수촌

16.1Km    2025-01-07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54-5
054-873-2662

경북 청송에 위치한 달기약수촌에서는 쇠약해진 몸의 기운을 살려주는 토속음식인 백숙 요리를 맛볼 수 있으며, 천연 자연 약수와 어우러진 백숙의 힘을 느낄 수 있다. 달기약수촌은 자연과 어우러진 외부 조경과 실내 환경(황토집)이 돋보이는 곳이다. 모든 음식의 주재료는 직접 재배 또는 청송지역의 지역민들이 정성 들여 키운 것들을 사용한다. 또한 한평생을 이곳 달기약수터에서만 백숙 요리로 일생을 바치고 계시는 할머니의 손맛으로 어느 누구도 흉내 내지 못하는 진한 맛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