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하보리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하하보리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하하보리밥

하하보리밥

19.8Km    2025-01-17

경상남도 양산시 버들3길 8-1

양산 황산공원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는 하하보리밥은 가게 외부에 웨이팅하는 고객들을 위한 의자가 마련되어 있을 만큼 인기 있는 양산 맛집이다. 대표메뉴인 보리밥과 해물 순두부는 맛과 가성비가 뛰어나다. 보리밥을 주문하면 나물, 갈치구이, 불고기, 청국장 등 기본 찬이 푸짐하게 나온다. 갈치는 튀기듯이 나와서 뼈까지 씹어 먹어도 되고, 불고기와 갈치는 추가 주문을 할 수 있다. 넓은 전용 주차장을 갖추고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황산공원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블랙업커피 양산

19.9Km    2024-11-29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물금역1길 11

물금역 옆에 자리 잡고 있는 블랙업커피 양산점은 낙동강과 노을을 조망하면서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전망 좋은 카페이며, 지상 3층 건물로 루프탑도 구비되어 있다. 이곳은 [나만의 블렌딩 만들기], [취향에 맞게 내려 보는 핸드드립] 등 다양한 클래스를 운영하고 있고, 좋은 생두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고자 최적화된 로스팅 프로파일을 설계 분석하여 모든 단계에서 지속적인 품질관리를 통하여 고객에게 맛있는 커피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블랙업커피의 해, 수염 커피(sea, salt coffee)는 시그니처 메뉴로 단짠단짠의 조합이 특징이다. 캠핑장, 체육시설 등이 잘 갖추어진 황산공원과 엘리베이터로 연결되어 있어 산책과 여가를 활용하기 좋은 주변 여건을 가지고 있는 뷰 맛집 카페이다.

물금벚꽃축제

물금벚꽃축제

19.9Km    2025-03-28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황산공원1길 275
055-392-2547~8

물금벚꽃축제는 낙동강 최대 수변공원인 황산공원과, 물금역 선로 따라 이어진 벚꽃길을 중심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가족힐링축제를 구현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매년 3월 말~4월 초 개화시기에 개최된다. 물금읍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소규모로 시작된 축제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2024년부터 전담기구인 물금벚꽃축제추진위원회를 조직하여 개최해 오고 있으며, 벚꽃길은 물론 낙동강을 따라 펼쳐진 황산공원 일대에 각종 전시·체험프로그램과 야외쉼터 등을 다채롭게 구성할 예정이다. 특히 벚꽃길의 경우 본래 차도로 이용되는 구간을 보행자전용으로 일시 통제하여 방문객들이 자유롭게 걸으며 나들이를 즐길 수 있도록 운영하며, 경관조명들로 야간에도 아름답게 반짝이는 산책로를 구현할 예정이다.

배너미오토캠핑장

배너미오토캠핑장

19.9Km    2025-04-02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로 1051

경북 청도에 있는 오토캠핑장으로 청도의 대표 관광지인 삼계리 계곡과 가깝다. 부산, 울산, 대구 등 근교의 도심에서 1~2시간 이내 거리로 접근성이 좋다. 캠핑장 가까운 곳에 운문사, 국립 운문산자연휴양림 등이 있어 연계 관광도 쉽다. 50여 개의 사이트는 나무 그늘에 들어와 한여름에도 쾌적한 환경에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20.0Km    2024-05-23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는 조선 초기 이지대 선생이 심은 것이라고 전한다. 선생은 고려 후기 유명한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익재 이제현의 4대손이다. 조선 태조 3년(1394) 경상도 수군만호로 있으면서 왜구가 탄 배를 붙잡은 공으로 임금으로부터 상을 받았으며, 그 후 벼슬이 높아져 한성판윤에 이르렀다. 단종이 즉위한 1452년 수양대군이 김종서, 황보인 등을 죽이고 안평대군을 강화도로 유배시키는 등 정치가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이곳으로 내려와 살게 되었다. 이때 서울에서 가져와 뒤뜰 연못가에 심었던 것이 이 은행나무라고 전한다. 따라서 이 전설대로라면 나무의 나이는 약 600년 정도인 셈이다. 구량리 은행나무는 높이 22m, 가슴 높이의 둘레가 12m에 이른다. 이 나무를 훼손하면 해를 입는다고 하고, 아들을 낳지 못한 부인들이 나무에 정성껏 빌면 아들을 낳는다는 전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