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Km 2025-03-17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충효로 1736-5
묵계서원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 선생과 응계(凝溪) 옥고(玉沽) 선생을 봉향(奉享) 하는 서원으로 조선 숙종 13년(1687)에 창건되었다. 보백당 선생은 조선 초기 성종 때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명신이며 응계선생은 세종 때 사헌부 장령을 지낸 바 있다. 고종 6년(1869)의 서원철폐령으로 사당(祠當)은 없어지고 강당만 남아 있었는데, 최근 없어진 건물들을 새로 짓고 서원을 복설하였다. 강당은 정면 5간, 측면 2간의 팔작 기와지붕 건물로 가운데 6간은 마루로 꾸미고, 좌우에 온들을 들인 일반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서원 좌측에는 이를 관리하는 정면 6간, 측면 5간의 주사(廚舍)가 있다. 서원 왼쪽에는 정면 6칸, 측면 5칸의 ㅁ자형 주사(廚舍)가 있다. 서원 중 다른 건물은 모두 후대에 복원한 것이나 주사는 서원이 훼철될 때 헐리지 않고 남은 것이다. 고건물답게 부재를 다룬 수법에 격조가 있어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 묵계종택은 서원에서 멀지 않은 마을 한가운데에 자리 잡고 있는데, 정침과 사랑채인 보백당,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침은 ㅁ자형의 팔작지붕 집으로, 보존 상태가 좋다. 보백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집이다. 두리기둥을 사용하였고, 우물마루를 깐 4칸 대청과 2칸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구(架構)는 5량가(五樑架)이며, 대청의 왼쪽 측면과 뒷벽에는 판벽에 문얼굴을 내어 미세기 창을 달았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집으로, 앞쪽에는 삼문이 있고 낮은 담으로 둘러쳐져 있다.
10.5Km 2024-11-27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35-3
010-5397-7760
오랜 풍상을 겪으면서도 절제되고 단정한 고택의 멋을 물씬 풍기는 초전댁은 고고한 인품으로 평생을 살다간 선비의 집처럼 단아합니다.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21호로 지정되었으며,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집성촌(集姓村)인 덕천리 마을 안쪽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건물의 남쪽과 동쪽으로는 토담이 있고 담장을 따라 정원과 텃밭을 마련해 놓았으며 건물 오른쪽에는 예로부터 사용해온 오래된 우물이 남아 있다. 조선 순조 때 통정대부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청송심씨 석촌공파(石村公派) 17세조 덕활(德活)이 요절한 아우 덕종(德宗)의 양자로 입적한 친아들 헌문(憲文)의 네 번째 돌을 기념하여 1806년(순조 6) 무렵에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21세조인 의해(宜海)가 1900년에 보수하여 대대로 살고 있다.
10.5Km 2024-12-09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길 89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에 있는 참소슬마을은 농촌 전통 테마 마을로 덕천마을이라고도 불린다. 농촌관광코스 10선에 선정된 숨은 명소이며, 국제 슬로시티를 대표하는 마을인 이곳은 청송 심씨의 집성촌으로 총 7채의 고택이 있다.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린 심처대의 7대손 송소 심호택이 1880년대 이곳에 터를 잡으며 건립한 99칸의 [송소고택]은 국가 민속문화재 선정되었고, 온돌방과 넓은 마당, 전통 한지 벽지와 천연염색 이불을 갖추고 있다. 그 옆에 있는 [송정고택] 송정 심상광이 기거하였던 ㅁ자 구조의 한옥으로, 사랑채와 책방, 중간에 대청마루가 있다. 심상광이 사용하던 책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초전고택]은 1806년에 지어진 곳으로 대문을 중심으로 우측 편으로 큰사랑 공간이 자리하고, 좌측 편은 작은 사랑이 온돌방 좌우로 외양간과 고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담장을 따라 소규모의 정원과 텃밭이 있는 정갈한 조선시대 후기 건축물이다. 이곳 덕천마을 대부분의 고택에선 한옥스테이를 진행하고 고택 운영자들은 숙박객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청송고택협동조합을 설립하여 마을에서 직접 재배한 농작물로 만들어진 소슬밥상이라는 이름의 음식도 제공하고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을 수확할 수 있는 슬로시티 체험 농장과 전통 방식의 천연염색 체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체험 프로그램은 계절 및 마을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니 방문 시 사전 확인하길 바란다.
10.5Km 2024-11-11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로 494
청송백자는 조선후기 대표적인 4대 지방요(청송백자, 양구백자, 해주백자, 회령자기) 중의 하나이며, 16세기부터 현재까지 전통의 맥을 이어오고 있는 청송군의 우수한 향토문화유산이다. 다른 지역의 백자와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이 있어 전국적으로 그 명성이 높았던 청송백자는 20세기에 이르러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1958년 알루미늄 그릇 등 공업용 대량생산 제품의 출현으로 인해 한 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의 순간도 있었다. 이러한 청송백자의 존재는 2007년 시작된 청송백자 발굴사업으로 재조명되었고, 청송군은 2005년 청송백자 가마터 지표조사연구 등을 통한 자료를 토대로 2009년 청송백자의 원형과 가치를 복원, 계승하고 현대적인 감각과 쓰임에 맞춰 변화·발전시키기 위하여 청송백자전수관을 개관하였다. 청송백자전수관은 현대적 건물의 전시실에서부터 옛 모습 그대로 재현된 사기움과 사기굴, 광산사무실과 주막까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공간이라는 특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재현된 청송백자전수관의 사기움(전통공방)은 움집형태의 원형구조로 원료의 분쇄에서 성형, 시유까지의 모든 공정을 완료할 수 있는 효율성과 경제성이 높은 청송지역만의 독특한 구조로 옛 청송 사기장의 지혜가 담긴 소중한 청송의 문화유산이다. 도석에 의해 특화된 형태인 사기굴(전통가마)과 등짐장수들이 구워진 그릇을 서로 가져가기 위해 묵었던 주막 역시, 청송백자의 오백 년 세월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10.5Km 2025-03-17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로 494
주왕산 관광단지 (민예촌, 백자박물관, 수석꽃돌박물관)는 주왕산 상의 탐방로 약 4㎞ 전방에 위치한 주왕산 관광단지로서, 한옥숙박체험 시설인 민예촌과 자연의 미가 살아 있는 수석과 희귀한 청송꽃돌을 전시한 수석꽃돌박물관, 청송백자를 전시, 체험, 판매하는 백자전시관과 백자 공방, 청송백자가 일본에 계승되어 발전된 화려한 심수관 도예전시관이 있다. 주왕산으로 가는 길에 여유있게 둘러보기를 추천한다.
10.6Km 2025-01-17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로 494
054-874-9098
한 바이 소노는 청송관광지 내에 있는 한옥촌으로, 옛 신분이나 지위에 맞는 고택 8채를 그대로 재현해 놓았다. 대감댁, 영감댁, 정승댁은 마당과 마루가 넓고 방의 개수가 많다. 생원댁과 참봉댁은 소박한 일자형 초가집이다. 외양간, 광, 전통 부엌 등도 옛 모습 그대로 재현해 놓았고, 집마다 현대식 화장실을 설치했다. 그 외에 도예촌, 도자기전시관, 민속박물관과 꽃돌박물관도 있어 다양한 청송문화를 접할 수 있다.
10.6Km 2024-05-14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로 494
054-874-0101
경북 청송군과 청송문화관광재단은 청송백자도예촌에서 '2024 제1회 청송백자축제'를 2024.05.31.(금) ~ 2024.06.02.(일) 3일간 개최한다. 지난해 시범운영을 토대로 올해 제1회로 추진되는 청송백자축제는 청송백자를 사기굴에서 구워내는 날인 “점날”을 주요 컨셉으로, 각지에서 그릇을 사기 위해 온 등짐장수와 지역장사꾼들이 몰려들어 시끌벅적한 잔칫날의 마을 모습을 재현한다.
축제 주요프로그램은 청송백자보부상 마당극과 길놀이, 청송백자 장작가마 번조, 청송백자 물레시연, 청송백자 만들기 체험 등 청송백자라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옛 청송의 점날 모습을 재현한 청송장터(플리마켓), 보부상이 드나들던 청송주막, 청송백자 소원풍경달기 체험, 고만경 옹 특별전, 청송백자연구회 특별전 등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외 축제기간 동안 청송백자 40%할인 이벤트(일부품목제외)를 진행하고, 행사장 내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청송백자축제 쿠폰과 연계한 미션형 놀이체험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10.7Km 2024-05-27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로 494-1
소노벨 청송은 자연과 휴양의 도시 청송군에 위치한 콘도형 리조트이다. 주왕산 국립공원과 가까운 곳으로 대명 리조트의 새로운 브랜드이다. 사계절 중 가을이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주왕산 단풍도 아름답지만 사과로 유명한 지역답게 리조트 부대시설로 사과 밭을 갖추어 주렁주렁 달려 있는 사과를 감상할 수 있다. 객실은 6개 타입으로 패밀리 58개, 스위트 249개, 스위트 플러스 5개, 골드 스위트 1개, 그리고 펫 동반 패밀리 1개와 펫 동반 스위트 1개 객실을 보유하고 있다. 솔샘 온천을 야외 노천탕으로서 즐길 수 있는 것도 소노벨 청송의 자랑이다.
10.7Km 2025-03-19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로 494-1
솔샘온천은 경북 청송군에 위치한 소노벨 리조트 안에 위치한 곳이다. 2개의 온천에서 1일 총 570톤의 풍부한 양수량과 철저한 온천 관리를 통해 편안하고 완전한 힐링의 시간을 선사한다. 청송의 푸른 숲과 맑은 하늘을 바라보며 자연과 하나 되어 지친 일상의 스트레스를 풀어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히노끼탕과 드림베스, 넥샤워, 벤치젯, 종아리 마사지 등 다양한 수중 마사지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10.7Km 2024-06-19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월막리
청송 용전천 강변 기암괴석 절벽을 주춧돌 삼아 세워진 망미정은 100여 년 전인 1899년 청송부사 장승원이 건립한 정자로 아름다움을 바라본다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을 지닌 조선시대 정자이다. 현비암과 조화를 이뤄 형언할 수 없는 절경과 절벽 밑에는 수심 3m의 소가 사계절 마르지 않아 보는 이들이 탄성을 자아내고 있다. 우송당은 300여 년 전 윤두석 선생의 유상지소이던 곳을 1688년에 그의 손자 윤상영이 그 뜻을 기리기 위해 지은 서당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며 망미정을 마주 보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