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오펠GC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영천오펠GC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영천오펠GC

영천오펠GC

16.6 Km    2     2023-02-02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호국로 1221-24

영천 오펠 GC는 2008년에 개장한 회원제 골프장으로 하늘과 자연, 인간이 만나는 모습을 연출한 구장이다. 전체 면적 약 140만㎡이며 27홀 모두 정남향으로 가람, 누리, 마루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사철 볕이 잘 들어 잔디 상태가 좋고 페어웨이 또한 좋다. 탁 트인 주변 경치가 아름답다.

영천아우노펠리스

영천아우노펠리스

16.8 Km    0     2023-11-03

경상북도 영천시 상신기길 150

영천아우노펠리스는 경북 영천에 위치한 글램핑장이다. 글램핑 바닥 난방으로 겨울에도 따뜻한 글램핑을 즐길 수 있다. 이곳은 수영장이 있는 글램핑장으로 유명하다.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얕은 풀장과 어른들도 즐길 수 있는 수영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편의점과 카페 등 편의 시설을 잘 갖추고 있다.

아우노펠리스

아우노펠리스

16.8 Km    0     2023-10-16

경상북도 영천시 상신기길 150

아우노 펠리스는 경북 영천시 언하동에 자리 잡고 있다. 영천시청을 기점으로 5km가량 떨어져 있다. 자동차를 타고 호국로, 망정로, 창신 2길을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분 안팎이다. 캠핑장에는 글램핑 27개 동이 있다. 객실 내부에는 침대, TV, 취사도구, 바비큐 시설, 에어컨, 냉장고, 화장실, 샤워장, 개수대 등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부대시설로는 3개 구역에 걸쳐 들어서 있는 수영장을 비롯해 풋살구장, 인조 잔디광장, 산림 족욕장 등이 있다. 캠핑장 인근에는 운주산승마자연휴양림 등 영천의 유명 관광지가 많아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포항전통문화체험관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포항전통문화체험관 [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6.8 Km    6416     2023-02-14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덕동문화길 7
054-280-9370

포항시내에서 40분가량 떨어진 한적한 덕동마을에 자리한 포항전통문화체험관은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전통문화를 즐기고 배울 수 있는 곳이다. 서당, 서예, 다도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 택견, 민속 타악기를 두드리는 난타, 짚과 한지를 이용한 공예, 두부와 떡 만들기 음식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저렴한 가격으로 한옥 온돌방에서 숙박할 수 있고, 화장실과 샤워실은 공동으로 사용한다.

포항 덕동문화마을

16.9 Km    1     2023-11-13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오덕리

400년의 풍습을 이어온 여강 이씨 집성촌인 덕동문화마을은 천혜의 자연조건과 독특한 문화를 높이 평가받아 1992년 정부로부터 문화부 지정 문화마을로, 2001년에는 환경친화마을로 지정받았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문신 정문부가 종전 후 전주로 돌아가면서, 재산 모두를 손녀사위인 사의당 이강에게 준 것을 계기로 이강이 터를 잡아 형성되었다. 이곳은 아름다운 자연과 고전미를 자랑하는 고택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경상북도 민속 자료인 애은당고택과 사우정고택,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용계정과 덕계서당, 여연당, 오덕리 근대 한옥 문화재 등이 있다. 마을 안에는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민속 전시관과 전통문화체험관, 전통 카페 등이 있다. 덕동민속전시관에서는 10원짜리 지폐부터 노비문서, 요강, 갓까지 집성촌 대대로 내려온 유물들을 보존, 전시하고 있다. 전통문화체험관에서는 널뛰기, 굴렁쇠 굴리기, 제기차기, 사방 치기, 투호 던지기 등 전통문화놀이를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애은당고택·사우정고택·용계정

애은당고택·사우정고택·용계정

16.9 Km    18321     2023-12-09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덕동문화길 31

애은당고택·사우정고택·용계정은 포항 덕동문화마을 안에 있는 경상북도의 민속자료이다. 덕동문화마을은 여강 이씨 집성촌으로, 임진왜란 때 이곳에 피난 왔던 문신 정문부가 전쟁이 끝난 후 전주로 돌아가면서 자신의 모든 재산을 손녀사위인 이강에게 물려준 것을 계기로 집성촌이 형성되었다. 애은당고택·사우정고택·용계정뿐만 아니라 집성촌 대대로 내려오는 유물들을 보존, 전시하고 있는 덕동민속전시관이 있다. 애은당고택은 조선시대 가옥으로, 이강이 양여 받은 부속건물 중 일부이다. 이 건물이 위치한 지형은 거북형으로, 건물 배치를 거북형으로 축조하여 거북 앞발 위치에 각각 별당과 방앗간을 두었고 머리 부분에 속하는 앞면에 잠실(누에 치는 방)이 있었으며 꼬리 부분에 화장실이 있다. 조선 중기 사대부의 실생활을 엿볼 수 있는 건물 배치이다. 사우정고택은 애은당고택과 마찬가지로 이강이 양여 받은 부속건물 중 하나이다. 담장으로 둘러싸인 바깥마당을 들어서면 [ㅡ] 자형 사랑채가 보이고, 대문으로 들어서면 [ㄷ] 자형 안채가 있다. 오른쪽 담장 모서리에는 사당이 있다. 마지막으로 용계정은 정문부의 별장이다. 1546년에 건립하였고 1686년에 증축하였다. 이후에는 강당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건물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목조 기와집이다. 용계정의 부속건물로는 포사가 있으며 수백 년 전에 심었다는 은행나무, 향나무 등이 용계정을 둘러싸고 있다.

압곡사(군위)

16.9 Km    17399     2023-07-12

대구광역시 군위군 고로면 현리낙전길 836-144

아름드리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압곡사는 선암산 품안에 안겨 있는 새집과 같은 사찰로 그윽한 솔향기와 함께 선암산의 겹겹이 포개진 골짜기가 일품이다. 군위군 고로면 소재지에서 조금 올라가면 마치 사천왕의 모습을 한 ‘가암’이 보이는 가암 삼거리를 만나게 된다. 여기에 압곡사 안내표지를 따라 의성 춘산방면으로 낙전리 마을을 따라 조금 올라간다. 산허리를 따라 나있는 산길에 압곡사(鴨谷寺)를 알리는 표지판이 우두커니 서 있다. 그 길은 차 한대가 겨우 다닐 정도로 비좁으나 포장이 되어 있어 오고가는데 별 어려움은 없다. 넘실거리는 산길 아래로 내려다보이는 낙전리 마을의 넉넉하고 평화로운 모습은 보는 이의 마음을 푸근하게 해준다. 압곡사(鴨谷寺) 좁은 계단을 올라가는 길에 빛 바랜 나무에 매달린 시 한 수가 목압(木鴨)이 골짜기에 떨어져 생긴 절을 찾은 이들을 먼저 반긴다. 북적이는 좁은 마당을 지나 작은 법당 앞 툇마루에 앉아 산 아래를 바라보면 겹겹이 펼쳐지는 골짜기에서 발산하는 기운에 절로 감탄사가 흘러나온다.

압곡사가 자리한 선암산(船巖山)은 군위의 명산 가운데 하나로, 태백산정상에서 뻗어 나온 지맥이다. 선암산 골짜기 깊은 곳에 나무오리도 그 기운을 느끼고 내려 앉은 것을 보면 분면 선암산 압곡사가 자리한 곳이 범상치 않음이 분명하다. 비록 절간에 잘 갖추어진 법당 하나가 없지만, 세상의 온갖 번뇌망상(煩惱妄想)을 떨쳐버리고 파도치듯 펼쳐져 있는 골짜기에서 불어오는 솔바람 소리를 도반(道伴)으로 삼아 조용히 참선과 기도의 힘으로 진리에 눈 뜰 수 있는 도량으로 손색이 없다.

창건 이후 53지식인이 낳음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예로부터 압곡사에는 세가지 보물이 있었는데, 물맛이 뛰어난 샘(泉)과 보물급 탱화, 아홉 분의 선사영정(禪師影幀)이 바로 그것이다. 그중 탱화는 세속의 욕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도난당했으며, 우리가 익히 들어 알고 있는 수월당대선사(水月堂大禪師), 의상조사(義湘祖師), 사명당대선사(四溟堂大禪師) 등 9분의 선지식(善知識) 영정이 모셔져 압곡사의 기운을 더하고 있다.

가배원

가배원

16.9 Km    3     2023-11-07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덕동문화길 12-2

덕동문화마을 안에 있는 세월이 묻은 고택과 유형문화재, 울창한 소나무 숲에 숨겨진 명소, 한옥 카페 ‘가배원’에 들어서면 먼저 사랑스러운 고양이들이 눈인사로 맞아준다. 정자를 개조한 기둥과 대들보가 살아 있는 공간에 고풍스러운 소품과 사장님이 직접 그린 그림들의 조화를 이루는 평화롭고 고즈넉한 풍경 속에서 잠시 도심을 떠나 쉴 수 있는 곳이다. 메뉴는 커피와 기본 음료들도 좋지만, 5년 숙성된 오미자차, 생강차, 중국 운남성에서 공수한 100년 된 고수홍차와 시금치피자, 무화과 호밀빵 등 전통가옥에 어울리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담백하고 깊은 자연의 맛을 추천한다. 마당을 품은 창가나 야외 테라스에 앉아 시원한 바람과 맑은 숲 공기를 마시며 즐기는 시간은 잠시 잠깐의 신선놀음이다. 테라스 끝에 계곡으로 이어지는 계단으로 내려가면 맑은 1급수가 1년 내내 흐르고, 봄에는 화사한 꽃이, 여름에는 청량한 숲이, 가을은 노란 은행나무들이 겨울엔 설경이 안내하는 자연 속에서 사람을 경계하지 않는 고양이들과 잠시 힐링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근처 포항전통문화체험관, 덕동민속전시관을 방문하고 마을 둘레길을 잠시 거닐어 보는 것도 추천한다. 연중무휴이나 요일별로 영업시간이 다르니 방문 전에 영업시간을 확인하는 게 좋다. 매주 변동 사항을 올린다.

봉강재

17.0 Km    16892     2024-01-29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기남길253번길 74

봉강재는 포항시 북구에 있는 파평 윤씨의 시조의 사당이다. 1572년 파평 윤씨의 시조인 태사공 윤신달의 묘소를 관리하기 위하여 창건한 사당이다. 윤신달은 어려서부터 학문과 무예가 남달리 뛰어났던 인물로, 고려 태조 왕건의 막료가 되어 고려의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국기를 다지는 일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봉강재는 정면 6칸, 측면 4칸의 ㄱ자형 팔작지붕 겹처마 집으로,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을 잘 보존한 건축물이다. 치목(목재를 깎고 다듬어 재목으로 만드는 것) 수법이 우수하며, 평면 구성에서 독특한 점이 있다.

주식회사 베베르

주식회사 베베르

17.2 Km    4     2023-07-26

경상북도 영천시 장재길 16-10

주식회사 베베르는 100년 가는 장난감을 제작하고 있다.
주 재료인 메이플, 월넛 나무의 꼼꼼한 관리부터, 숙련된 기술자의 작업을 통해 다양한 계층이 좋아하는 원목 장난감을 제작하고 있다. 베베르는 지금 내가 만드는 장난감이 우리 아이 입에도 들어간다는 생각으로 안전하게, 꼼꼼하게, 특별하게 제작하고 있다. 나무가 주는 따뜻함과 탄탄함을 내가 만지고, 내 아이가 만지고, 대를 이어 물려주도록 제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