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6Km 2024-05-21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순환로 341-126
경주시의 남쪽에 위치한 남산은 금오봉(약 468m)과 고위봉(약 494m)을 중심으로 한 긴 타원형의 화강암 바위산이다. 화강암은 석재로 흔히 쓰이는 대리암이나 석회암에 비해 단단하고 비와 바람에 잘 깎여나가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남산의 수많은 문화재들이 오랜 시간 동안 잘 보존된 것은 화강암의 이러한 특성 덕분이라 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남산 화강암은 신라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로 손꼽히는 석가탑과 다보탑을 만들 때도 쓰였기 때문에 신라인들이 남산 화강암을 문화재의 재료로 많이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라인들은 남산의 바위절벽을 이용하여 남산 문화재 중 으뜸으로 꼽히는 마애삼존불좌상, 선각여래좌상, 마애석가여래좌상과 같은 불상들을 만들었는데, 이러한 바위 절벽은 남산 화강암에 흔히 잘 발달하는 수직 틈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다른 화강암들보다 남산에 분포하는 화강암이 특히 수직 틈을 많이 가지는 이유는 아주 오래 전 이 지역에 단층활동이 일어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16.6Km 2024-07-02
경상북도 영천시 운동장로 7
서문분식은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에 있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활의 달인에 소개된 바 있다. 간판은 최신식이지만 외관은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며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실내 인테리어도 돋보인다. 대표 메뉴는 잔치국수이며, 비빔국수도 많은 사람이 찾는다. 이 밖에 김치국밥, 쫄면, 라면, 칼국수, 떡국, 김밥 등이 준비되어 있다. 동영천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영천전투메모리얼 파크 체험권, 동의 참누리원, 영천 한의 마을이 있다.
16.7Km 2024-11-05
경상북도 영천시 서문길 69
300여 년 전 백조선사에 의하여 창건되었다고 전하며, 그 후 1939년에 은해사 주지였던 도수가 중창하였다. ‘영천 포교당’으로 개칭한 것은 1953년이며 청량사로도 불린다. 포교당 내 전각으로는 대웅전이 경사가 가벼운 언덕에서 남쪽을 바라보고 있다. 1981년 화재로 전소된 후 1986년 시멘트 건물로 신축되었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팔작지붕이다. 안에는 청동으로 조성한 석가모니불이 주불로 봉안되어 있으며, 그 좌·우로는 문수·보현보살의 양협시(兩脇侍)가 아닌 관음과 지장보살을 봉안하여 이채롭다.
16.7Km 2024-11-14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금호로 496
054-337-1501
대구에서 영천시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라임미니호텔은 근거리에 대형마트와 대학병원이 있다. 차량으로 15분 거리 내에 만불사와 운주산승마장이 있어 영천 관광에도 용이하다. 대구와 영천 사이를 잇는 일반버스가 있으며 영천 터미널과 영천역과도 가까워 대중교통을 이용한 여행객들도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다양한 객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리모델링하여 깨끗하고 최신의 시설로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16.7Km 2024-08-05
경상북도 경주시 산내면 대현길 351
사나래카라반펜션 산내점은 경주시 산내면에 있는 카라반 겸 펜션이다. 카라반은 모두 6개가 있고 미국 정통 스타일과 한국식 두 가지 타입 중에 고를 수 있다. 계곡은 물론 별도의 야외수영장이 있어 여름에 아이들과 물놀이하기 좋다. 주소지는 경주시 산내면으로, 경주 관광은 물론이고 거리적으로 가까운 청도 운문산, 운문사 관광도 편리하다. 봄에는 벚꽃이 계곡을 따라 만개하고, 가을에는 단풍이 절경이다.
16.7Km 2025-01-08
경상북도 경주시 알천북로 369
경주 벤자마스 카페는 경상북도 경주에 위치한 고급스러운 카페이다. 세련된 인테리어와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하며, 다양한 커피와 디저트 메뉴가 인기 있다. 특히 정성스럽게 준비된 커피와 디저트가 매력적이며, 경주 관광을 즐기는 방문객들에게 사랑받는 명소다. 자연과 어우러진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편안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다.
16.7Km 2024-02-29
경상북도 영천시 중앙동1길 12
삼송꾼만두 영천본점은 경상북도 영천시 문외동에 위치하고 있다. 1979년에 영업을 시작한 이곳은 현대적인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겉이 바삭하고 속이 꽉 찬 꾼만두다. 만두를 만드는 모든 과정은 수제로 이루어지며, 단무지와 양념도 마찬가지다.
16.8Km 2024-06-17
경상북도 경주시 탑골길 36
경주 남산 이 일대는 통일신라시대에 신인사라는 절이 있었던 곳이다. 남쪽의 큰 바위에는 목조건물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석탑 조각들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남쪽면의 불상을 주존으로 하여 남향 사찰을 경영했었음을 알 수 있다. 9m나 되는 사각형의 커다란 바위에 여러 불상을 회화적으로 묘사하였다. 남쪽 바위면에는 삼존과 독립된 보살상이 배치되어 있고, 동쪽 바위면에도 불상과 보살, 승려, 그리고 비천상을 표현해 놓았다. 불상, 보살상 등은 모두 연꽃무늬를 조각한 대좌와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 한 광배를 갖추었으며 자세와 표정이 각기 다르다. 비천상은 하늘을 날고 승려는 불상과 보살에게 공양하는 자세이지만, 모두 마멸이 심해 자세한 조각 수법은 알 수 없다. 서쪽 바위면에는 석가가 그 아래에 앉아서 도를 깨쳤다는 나무인 보리수 두 그루와 여래상이 있다. 하나의 바위면에 불상·비천·보살·승려·탑 등 다양한 모습들을 정성을 다하여 조각한 것은 장인의 머릿속에 불교의 세계를 그리려는 뜻이 역력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조각 양식은 많이 도식화되었으나 화려한 조각을 회화적으로 배치하여 보여주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특이한 것이다.
16.8Km 2025-03-18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883-44
신라시대 수도인 왕경지구의 하천 범람을 막기 위해 경주 명활산성에서 분황사까지 5리, 즉 2㎞에 걸쳐 ‘오리수’라는 숲을 조성했다. 보문관광단지 입구에 자리한 신라 왕경 숲이 바로 그 오리수를 재현해 조성한 숲이다. 신라 왕경 숲은 신라시대 치수사업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1,500년 전 서라벌의 왕들이 거닐던 숲으로 꾸며진 신라 왕경 숲은 지난 2007년 세계 문화엑스포 개최와 함께 일반에 공개됐다. 구황교 쪽에 1차로 조성된 왕경숲이 있고, 숲머리음식촌 쪽에도 2차로 숲이 있다. 넓은 잔디밭과 푸른 가로수 덕분에 한가롭게 피크닉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도 인기다. 주요 관광지와도 가까워 시민들은 물론, 관광객들도 쉬어가기 좋다.
16.9Km 2024-05-22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길 34
영천 교촌리에 위치한 영천향교는 조선시대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35년에 대성전을 건립하고, 1513년에 군수 김흠조가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사인 이현남이 대성전에 봉안되어 있던 5성의 위패를 자양면 기룡산의 성혈암으로 옮겨 난을 피하였다가 환안하였다. 이후에도 여러 번의 신축과 보수가 있었으며, 1970년대에는 서재, 동재 그리고 전사청을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 10칸의 명륜당을 비롯하여 동재, 서재, 삼일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 있다. 보물로 지정된 대성전의 경우 5성과 송조 2현의 우패가 봉안되어 있는데, 이 대성전의 경우 1435년에 명나라 목수가 중국식 건축 양식으로 준공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졌으며 봄, 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 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그리고 1983년 명륜당과 동, 서재를 개방하여 국학 학원을 개원하고 사회 교육을 실시해오고 있으며, 전국 최초로 청소년을 위한 충효 교실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