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력풍천장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힘력풍천장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힘력풍천장어

힘력풍천장어

12.1 Km    2840     2023-07-07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정상안길 96-18
033-575-0592

강원도 삼척에 위치한 힘력풍천장어는 실속 있는 가격과 고품질의 장어, 그리고 싱싱한 식재료를 통해 맛과, 건강을 책임지고 있다. 또한 고유의 소스를 통해 양념구이와 소금구이에 특유의 쫄깃함을 유지하고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고, 넓은 실내에서 편안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 인근에 삼척향교, 소망의 탑, 나릿골 감성마을, 육향산 등의 관광지가 있다.

삼척정월대보름제

삼척정월대보름제

12.1 Km    18554     2024-04-26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엑스포로 45 (성남동)
033-573-2882, 9882

삼척정월대보름제는 정월대보름에 실시했던 삼척 특유의 기줄다리기를 주축으로 천신, 지신, 해신에게 소재 초복과 풍년, 풍어를 기원하는 제례행사와 전통민속놀이를 포함한 축제로 1973년 음력 정월보름에 처음으로 막이 올랐다. 1976년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 2호로 지정된 삼척 기줄다리기는 1978년 제 6회에 행사에 접어들면서 범국민축제로 확대 발전돼 왔으나 2003년 부터 2006년까지 태풍 루사 매이 등으로 중단 됐다가 2007년부터 명칭을 삼척정월대보름제로 바꾸고 삼척정월대보름제위원회 주최, 삼척문화원 주관으로 개최돼 오고 있으며, 2007년부터 개최된 전국기줄다리기대회는 높은 호응 속에 전국적인 행사로 발전하고 있다.

삼척동해왕이사부축제

삼척동해왕이사부축제

12.1 Km    20182     2024-05-03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엑스포로 45 삼척문화예술회관
033-572-7020, 033-570-3073

1,500년 전 우산국(울릉도, 독도)을 우리 영토로 만든 신라장군 이사부의 해양개척 혼과 얼이 '2023 삼척 동해왕 이사부 축제'를 통해 다시 깨어난다.
이사부 장군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문화·예술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동해바다 해양역사 인물로의 브랜드화와 지역 관광 활성화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10월 6일 18시 개막식 및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7일 15시 라디오/TV 공개방송을 비롯하여 8일 14시 이사부 퀴즈대회, 17시 K-TIGERS(케이 타이거즈)의 태권무 공연이 펼쳐진다.

삼척문화예술회관

삼척문화예술회관

12.1 Km    24172     2024-06-05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엑스포로 45

삼척시 공립문화 예술공연장으로 1994년 6월 4일 성남동 오십천변의 아름다운 경관 속에 죽서루 맞은편에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의 규모로 대공연장, 소공연장, 야외공연장, 전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악, 연극, 무용 등의 공연예술은 물론 전시, 영화의 기능까지 갖춘 대규모 다목적시설이다. 삼척문화예술회관은 문화예술 기반시설로 시립박물관과 동굴신비관, 2016년에 개관한 가람영화관과 함께 문화시민의 요람으로 자리잡고 있다. 앞마당 격인 엑스포광장은 2002년 세계동굴엑스포가 개최된 적 있으며, 2007년부터는 삼척 정월대보름제의 주 행사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성원닭갈비

성원닭갈비

12.2 Km    1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정상안1길 14-32

삼척 물닭 갈비를 판매하는 물닭 갈비 전문점이다. 조용한 주택가 안에 있다. 철판에 볶아먹는 일반적인 닭갈비와는 달리 물닭 갈비는 미나리, 깻잎, 부추를 가득 올려 먹는 국물 닭갈비이다. 조리에 조금 시간은 걸리지만 색다른 닭갈비를 경험할 수 있다. 먼저 채소와 라면 또는 우동 면 사리, 닭고기를 건져 먹고 난 후 남은 국물에 밥을 볶아 먹는 볶음밥은 물닭 갈비의 필수 코스다.

소망의탑

소망의탑

12.2 Km    24112     2024-01-23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새천년도로 233

교동에 위치한 소망의탑은 새천년도로의 가장 높은 지점에 세워져 삼척에서 새해 해맞이하기 좋은 장소로 유명하다. 아름다운 동해를 배경으로 돌섬과 갯바위, 소나무, 해안을 드나드는 고깃배들이 어우러진 소망의탑에서 보는 일출 광경은 서정적이다. 원형모양의 소망의 탑은 새천년의 소망을 담아 2000년 시에서 건립한 탑으로, 건립 후원자 33,000명의 이름이 각인되어 있으며 3단 타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1단은 신혼부부의 소망석이며, 2단은 청소년, 3단은 어린이의 소망석으로 되어 있으며, 탑신은 소원을 비는 양손의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또한 새로운 천년의 시작을 기념하는 타임캡슐을 탑 아래에 묻어 두었다. 소망의탑 가운데에는 달린 소망의 종을 세 번 친 뒤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한다. 새해 첫 희망을 빌어주는 소망의탑은 새천년 해안유원지, 비치조각공원과 함께 삼척 주요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쉰움산

12.3 Km    24305     2024-06-11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미로면 하거노리

삼척시 동쪽 15km 지점의 전국적 명산인 두타산의 북동쪽에 솟은 작은 한 봉우리이다. 이 산은 태백산과 마찬가지로 무속의 성지라 이른다. 산 곳곳에 치성을 드리는 제단, 돌탑 등이 즐비하며, 어느 할머니가 이곳에 놀러 왔다가 신이 내려 무당이 되었다는 일화도 전한다. 여러 고서에서 두타산과 함께 등장하며 쉰움산 바위 암반에 있는 오십정이라는 돌우물이 특히 유명하다. 돌우물은 바위 암반이 풍화되면서 만들어진 크고 작은 구멍으로 어떤 것은 밥주발 크기이고 어떤 것은 세숫대야 크기로 패어있어 돌우물이라고 불렀고 그처럼 패어있는 돌우물이 50개라고 하여 오십정이라고 한다. 쉰움산에는 이승휴가 머물며 <제왕운기>를 쓴 역사 깊은 사찰 천은사(사적)가 있다. 그 주변의 오래된 나무들과 숲의 경치가 절경이다. 산정의 풍치와 계곡의 아름다움, 그리고 산기슭의 유명한 사찰까지 쉰움산은 이 세 조건을 모두 갖춘 최상의 산이라 할 수 있다.

강릉 금진리321카라반

강릉 금진리321카라반

12.3 Km    1     2023-07-01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 헌화로 247-11

정동진에서 헌화를 지나면 금진항과 옥계 해수욕장에 닿는다. 최근 들어 서핑 장소로 주목받고 있는 옥계 해수욕장 중간 금진리 마을 안쪽에 캠핑장이 있다. 금진해변 가운데 공용주차장 뒤편이다. 캠핑장은 도로변 민박 건물 뒤편에 가정집처럼 꾸며져 있다. 4대의 카라반이 마당을 가운데 두고 배치되어 있고, 야외 테이블과 바비큐 시설이 각각 갖춰져 있다. 캠핑장에서 해변이 바로 보이진 않지만, 도보로 1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금진해변

12.5 Km    29632     2024-06-04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 헌화로 271

옥계면 금진 1, 2리에 있으며 길이 900m, 63,000㎡의 백사장을 간직하고 있다. 어느 해변보다 조용하고 아늑해 이곳을 한 번이라도 와본 사람들은 해마다 다시 찾고 있다. 경사가 완만하고 수심이 낮아서 아이들과 함께 바다를 찾는 가족 단위 관광객들에게 좋은 해변이다. 금진 해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서핑을 배울 수 있고, 금진리와 심곡리 간 해안 도로인 헌화로를 드라이브하다 보면 빼어난 절경을 만끽할 수 있다. 금진 해변에서 보이는 자그마한 동산 위에는 금진온천이 있는데 해안단구 지하 1,000여 m에서 분출되는 금진온천수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1.618 대 1의 황금비율로 구성돼 있다. 특히 셀레늄과 바나듐 등 치유 성분이 높은 희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온천을 즐기는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봉황산산림욕장

12.7 Km    0     2024-04-29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척주로 112

삼척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봉황산 산림욕장은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연출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또한 매년 사월이면 벚꽃이 만발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게 하며, 각종 체육시설을 갖추고 있어 시민들의 여가선용 및 건강증진에 일조를 하고 있다. 산꼭대기에는 일명 육향대라고도 하는, 신선각이 있고, 산림욕장(체육공원 포함)을 만들어 많은 시민들의 휴식과 체력단련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산책로는 봉황동과 동양시멘트 사원 아파트 뒤로 오르는 오솔길이 있다.

<출처 : 삼척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