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실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창실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창실고택

창실고택

7.8Km    2024-12-20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39
010-5100-3684

창실고택은 조선 시대 풍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슬로시티로, 몽환적인 풍경을 자랑한다. 한옥의 자태, 지형이 좁은 외씨버선길 등으로 갖은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청송 덕천마을, 송소고택, 청송 참소슬마을, 청송 신기리 느티나무 등이 있다.

주왕산과 달기약수탕으로 즐기는 청송 힐링여행

주왕산과 달기약수탕으로 즐기는 청송 힐링여행

7.9Km    2023-08-08

청송은 기암절벽이 아름다운 주왕산 국립공원을 간직한 고장이다. 주왕의 전설을 간직한 주방계곡을 따라 1,2,3폭포 뿐 아니라 지금은 흔적만 남은 ‘전기 없는 마을’이었던 내원마을까지 트래킹을 즐길 수 있다. 우리나라 3대 약수 약수로 손꼽히는 달기약수탕은 위장병에 특효가 있을 뿐 아니라 약수를 이용해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어 눈과 입이 제대로 호강하는 오감만족 여행지다.

청송초전댁

청송초전댁

7.9Km    2025-03-25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35-3

이 건물의 남쪽과 동쪽으로는 토담이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고 서쪽과 배면은 경사지를 깎아 축대를 쌓아 경계로 하고 있다. 담장을 따라 소규모의 정원과 텃밭을 갈아 놓았고 건물 우측에는 예부터 사용해오던 오래된 우물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이 고택은 순조 때 통정대부첨지중추부사(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청송 심씨 석촌 공파 17세인 덕활 공이 요절한 아우 덕종의 양자로 입적한 친아들 헌문의 네 번째 돌을 기념하여 순조 6년(1806)에 건축한 것으로 전해지며, 21세인 선해가 1900년에 보수하여 세거해 오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면의 대문을 중심으로 우측 편으로 큰사랑 공간이 자리하고, 좌측 편은 작은 사랑이 온돌방 좌우로 외양간과 고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간 안으로 들어서면 정면에 2칸 대청이 자리하면서 좌우에 온돌방을 두어 정침을 구성하고 있다. 대청의 좌측 편은 2칸의 안방과 부엌이 연결되어 정침의 좌익사로 구성되어 있고, 대청의 우측 편은 건넌방과 창고가 연결되어 정침의 우익사로 구성되어 있다.

청송 송소고택

청송 송소고택

7.9Km    2025-03-27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15-2

※ 25년 3월 산불로 인해 건물 일부가 소실되어 방문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text202503{ COLOR: #FF0000; } 청송 덕천마을 내에 있는 송소고택은 조선시대 99칸으로 이어진 만석꾼의 집이 있다.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린 심처대의 7대손 송소 심호택이 1880년 파천면 지경리(호박골)에서 조상의 본거지인 덕천리로 이거 하면서 실제 거주하기 위해 지은 가옥으로 [송소세장]이란 현판을 달았다. 경북 북부 민가 양식으로 건물에 독립된 마당이 있으며 사랑 공간, 생활 공간, 작업 공간으로 공간이 구분되는 등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특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다. 또한, 바깥마당에 담장으로 구획한 내·외담과 대가족 제도하에서 4대 이상의 제사를 모실 수 있는 별묘 등 민속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수려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고즈넉한 한옥에서의 하룻밤을 지낼수 있는 고택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찰방공종택

찰방공종택

7.9Km    2024-12-20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23-8
010-9502-7611

찰방공종택은 맑은 공기가 있는 경상북도 청송에 위치한 고택이다. 두 종류의 숙박종류가 있다. 전통 그대로의 체험을 원하는 투숙객은 들마루가 함께 있는 사랑방, 상방을 추천한다. 직접 아궁이에 불을 떼볼 수 있는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 현대식 건물에서 휴식을 취하고 싶은 투숙객에게는 별채를 추천한다. 재래식 화장실도 최근 모두 정비하여 현대식 샤워실과 화장실을 늘렸다. 투호, 윷, 바둑, 제기, 공기놀이, 굴렁쇠놀이, 자전거 타기 등을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염색체험, 다도체험, 한지체험, 민화체험, 송편만들기체험 등을 유료로 운영 중이다. 주변에 청송고택, 송소고택, 청송초전댁 등 관광지가 있다.

송정고택

송정고택

7.9Km    2024-12-20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15-1
010-8746-6690

주왕산 인근에 위치한 청송 송정고택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31호 고택이다. 전통 한지 도배와 한실 이불, 천연염색 이불을 갖추고 있어 한옥스테이만의 체험 활동이 가능하며, 푸른 소나무 자연속에서 새소리, 복돌이와 함께 심신을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숙소이다. 주변 시설로는 솔기 온천, 객주 문학관, 청송 심수관 도예 전시관이 있어 머물면서 문화생활도 가능하다. 초롱불 행렬 체험, 우리가락 배우기 체험, 투호, 윷, 바둑, 장기, 제기, 공기놀이, 고누, 굴렁쇠 놀이, 고택 음악회 등을 무료로 체험 가능하다. 천연염색체험, 다도체험, 한지체험, 옹기체험, 백자체험 등을 유료로 운영하고 있다.

초전고택

8.1Km    2024-11-27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35-3
010-5397-7760

오랜 풍상을 겪으면서도 절제되고 단정한 고택의 멋을 물씬 풍기는 초전댁은 고고한 인품으로 평생을 살다간 선비의 집처럼 단아합니다.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21호로 지정되었으며, 청송심씨(靑松沈氏)의 집성촌(集姓村)인 덕천리 마을 안쪽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건물의 남쪽과 동쪽으로는 토담이 있고 담장을 따라 정원과 텃밭을 마련해 놓았으며 건물 오른쪽에는 예로부터 사용해온 오래된 우물이 남아 있다. 조선 순조 때 통정대부첨지중추부사를 지낸 청송심씨 석촌공파(石村公派) 17세조 덕활(德活)이 요절한 아우 덕종(德宗)의 양자로 입적한 친아들 헌문(憲文)의 네 번째 돌을 기념하여 1806년(순조 6) 무렵에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21세조인 의해(宜海)가 1900년에 보수하여 대대로 살고 있다.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8.4Km    2024-11-07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16

이 집은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으로 27세 신한태(申漢泰, 1663~1719) 가 조선 숙종(潚宗)때 건축한 건물이다. 마을의 얕은 야산을 등지고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집은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의 사이에 넓은 사랑마당이 있고 이 마당의 우측에 새 사랑채가 따로 서 있다. 안채 뒤 오른편 언덕위에 사당이 있고 안채좌측 뒤편에 남향하여 영정각과 서당이 나란히 배치되어 조선시대 사대부 저택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이 집의 안채는 정면 7칸, 양측면 5칸, 후면 5칸이며, '口'자의 정면에 좌.우 날개가 한 칸씩 돌출되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정면 7칸 중 가운데 칸에 중문을 두었고 우측에 사랑방과 마루방으로 사랑채를 설치하였으며 사랑방 뒤쪽으로 중방을 두어 안마당과 통하도록 되어 있다.

서벽고택

서벽고택

8.5Km    2025-03-27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22-2

※ 25년 3월 산불로 인해 건물 일부가 소실되어 방문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text202503{ COLOR: #FF0000; } 서벽고택은 평산신씨 27세손 신한창(1669~1749)이 종택에서 분가하면서 1739년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당시 5칸 규모였으나 31세손인 치구(1777~1851)가 확장·증축하면서 치구의 호인 서벽을 당호로 하였다고 한다. 평면은 정면 5칸, 측면 4칸 구자형 평면에 전면 부분만 양쪽으로 한 칸씩 덧붙인 날개집이다. 중문칸을 중심으로 서측에 사랑공간을 두었다. 2칸 온돌방과 1칸 마루방 3칸으로 구성되면서 서익사와는 방에서 연결될 수 있는 빈소방이 자리한다. 마루방은 뒤편 상부에 감실을 두었고 마루방과 온돌방 1칸 앞쪽에 툇마루를 두어 출입을 원활하게 하였다. 종가와 유사한 가옥형식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건립 당시의 평면수법인 고방과 유산고, 창호구성법, 결구수법 등 초기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청송 사남고택

청송 사남고택

8.5Km    2025-03-27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26

※ 25년 3월 산불로 인해 건물이 전소되어 방문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text202503{ COLOR: #FF0000; } 이 집은 연화봉의 나지막한 산자락 아래 남향하여 자리 잡고 있는 ‘ㅁ’ 자형 건물로서 평산신씨(平山申氏) 판사공파 시조 순의 19 세손인 신치학(申致鶴)이 1780년경에 건축하였다. 고택의 우측에 있는 서벽고택(棲碧古宅), 평산신씨종택 등과 동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비교적 큰 건물이다. 사랑채는 기단을 높게 조성하여 누처럼 보이게 하였고 팔작지붕을 높지막하게 올려 마치 독립된 별동의 건물과 같은 느낌을 주게 하는 일반살림집으로는 특이한 구조이다. . (출처: 청송군 문화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