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마트 기장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메가마트 기장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메가마트 기장점

메가마트 기장점

10.6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대로 673

-

메가마트 동래점

메가마트 동래점

10.7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197

-

감만창의문화촌

감만창의문화촌

10.8 Km    1     2023-09-06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로 84-1

부산문화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감만창의문화촌은 문화예술을 통해 지역의 문화적 재생을 꿈꾸고 시민과 예술가가 만나 함께 건강한 문화생태계를 만드는 복합문화공간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설립되었다. 감만창의문화촌은 폐교를 리모델링하여 개관한 곳으로 세종대왕동상, 운동장의 놀이시설, 교실복도 등 어릴 때 추억이 곳곳에 묻어나 있다. 운영사업으로는 예술적 상상력을 시민들과 공유하고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활용 프로그램인 [감만상상페스티벌], [감만상상데이] 등 기획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으로는 [안녕하세요 예술씨], [감만상상갤러리] 등과, 창작지원 프로그램인 [입주예술가 창작공간 운영 및 지원],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문화재단에서는 감만창의문화촌 외에도 홍티아트센터, F1963, 원도심 창작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감만시장

10.8 Km    1     2023-03-02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 171-2

부산 남구 감만동에 위치한 170개 점포로 이루어진 감만동 전통시장. 중형시장이자 상가주택복합형 시장인 이 곳은 평범한 재래시장의 느낌이다. 신선한 농수산물과 의류 등을 판매하며 아침 8시에 개점하여 밤 8시에 폐점한다. 가게마다 쉬는 날이 달라 정확한 정기휴일은 알기 어렵다. 골목 양 옆으로 길게 늘어선 가판대에는 싱싱한 생선과 과일, 채소들이 가득하며, 물건을 구입할 때 담아주는 넉넉한 상인들의 인심은 덤이다.

올리브영 부산동래

올리브영 부산동래

10.8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29번길 35 (명륜동 532-4)

-

만디

10.8 Km    0     2024-01-04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177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위치한 만디는 일본 사케 및 다양한 일본 주류를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식 안주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안주코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하루 전 예약을 해야 하며 당일예약은 당일 엄선된 재료로 만든 소요리 형식의 단품메뉴로 운영이 된다. 실내 좌석이 협소한 편이며 팀당 이용시간제한이 있으므로 사전 확인 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올리브영 부산문현점

10.8 Km    0     2024-06-11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로 31

-

한방장어구이

한방장어구이

10.8 Km    3     2022-11-10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 8

부산 연제구 거제동에 있는 한방장어구이 국내산 민물장어구이 전문점이다. 큰 규모의 한방장어구이 내부는 깔끔하고, 좌석 간 간격이 넓어 쾌적하게 식사할 수 있다. 또 4인, 6인, 8인 등 단체석이 마련되어 가족 모임, 회식 등을 하기 좋다. 장어구이 단일 메뉴로 기본 3줄이 나오는 장어 한판, 추가 2줄 장어 반판이 있다. 장어 먹은 후 가마솥 추어탕, 누룽지탕 추가 주문이 가능하다. 기본 찬으로 쌈 채소, 부추무침, 샐러드, 마늘장아찌, 장어탕, 장어튀김이 나온다. 추가 반찬은 셀프 반찬대를 이용하면 된다. 한방장어구이는 비법 양념인 한방 소스를 발라 구워 비린내가 없어 어린이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 근처 부산시민공원도 있어 식사 후 가볍게 걷기 좋다.

기장향교

10.8 Km    5361     2023-05-31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417번길 35
051-721-3287

1440년(세종 2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었다가 1617년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복원하였으며, 1974년에 대성전을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풍화루(風化樓)·신삼문(神三門)·세심문(洗心門) 등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고 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올리고 있으며,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