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문화회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현대자동차 문화회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현대자동차 문화회관

현대자동차 문화회관

14.3Km    2025-03-12

울산광역시 북구 염포로 601

현대자동차 문화회관은 울산광역시 북구에 위치한 문화 예술의 중심지이다. 이곳은 현대자동차의 후원으로 다양한 공연과 전시, 문화 행사를 선보이며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적 풍요로움을 제공한다. 직원과 가족 및 지역 주민의 평생 학습과 여가 생활 선용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교육프로그램 및 공개강좌, 특강 등 다양한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전통문화, 실용취미, 건강체육 등 여러 가지 강좌를 신청하여 들을 수 있으며 자기 계발에 큰 도움을 주는 기관이다.

브이온천모텔

브이온천모텔

14.4Km    2024-10-17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알프스온천2길 10
052-254-1700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브이온천모텔은 등억온천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 모텔 온천수 국가인증 업체이며, 객실 내에서는 아름다운 산의 절경을 볼 수 있다. 주변관광지로는 등억 온천관광, 영남 알프스라고 불리는 신불산, 양산통도사, 언양 석남사 등이 있다. 특히 신불산의 등산코스는 등산을 즐기는 여행객들에게 인기가 좋다. 울산역은 차량으로 이동시 6분 거리에 있고 언양터미널은 차량으로 6분 거리에 있다. 두 곳 모두 픽업서비스도 가능하니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은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먹거리로 언양불고기도 있다.

V온천모텔

14.4Km    2024-11-25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알프스온천2길 10
052-254-1700

v온천모텔은 중탄산나트륨 온천으로 특징적으로 CI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알칼리성 온천수로도, 생활용 수로도 가능하다. 특히 게르마늄, 황산이온, 칼슘 등 20여 종의 총 용존 고형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한 피부를 지킬 수 있다. 특히 신경통, 류마티스 질환, 위장병, 부인병, 만성변비, 피부회복, 비만, 만성피로, 불면증, 두통에 탁월한 효능을 지니고 있으며 등억온천 단지 내 숙박시설로서 100% 국가 인증 온천수, 온천 가족탕으로 정평이 나있다. (정보제공자: 울산광역시청)

산다화 솥뚜껑닭도리탕 누룽지백숙

산다화 솥뚜껑닭도리탕 누룽지백숙

14.4Km    2024-02-16

울산광역시 울주군 오리밭들길 13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있는 작천정, 자수정 동굴 나라 근처에 있는 솥뚜껑 닭볶음탕 맛집이다. 직접 제작한 화덕에 참나무 장작으로 불을 피워 닭볶음탕을 만든다. 초대형 솥뚜껑과 투박한 황토 화덕, 장작불로 젊은 사람들에겐 볼거리를, 중·노년층에게는 추억과 향수를 느끼게 한다. 덕분에 SNS에서 입소문을 타면서 손님들이 많이 찾고 있다. 솥뚜껑 닭볶음탕의 비밀은 700도의 거센 화력과 지속적이면서도 균일한 열을 내는 솥뚜껑으로 토종닭의 질긴 육질을 잡고, 고추장 양념에 직접 담근 개복숭아 발효액과 자두 발효액, 주인장만의 비법인 청도 홍시로 천연의 단맛과 감칠맛까지 더한 것이다. 전용 주차장을 갖추고 있어 편리한 이용이 가능하다.

장생포 문화창고

장생포 문화창고

14.5Km    2025-01-19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고래로 110 (장생포동)

한국 경제 발전사에서 울산공업센터 기공식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장면이기에 이를 기념하는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이 설립되었다.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2021년 6월 26일에 개관된 울산 장생포 문화창고에 위치하고 있었다. 장생포 문화창고는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던 냉동창고를 울산 남구청이 매입한 후 리모델링 작업을 진행하여,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과 설계 변경 등을 거쳐 약 5년 만에 공식 개관된 곳으로, 장생포의 공장과 바다 그리고 사람 3요소가 모인 장생포 중심지에 형성된 복합문화공간이다. 장생포문화창고(A-FACTORY)의 이름은 세창 냉동창고에서 열려던 2차 테스트배드(전시/공연/체험/마켓)에서 시민들의 투표를 통해 선정되었다. 장생포문화창고의 의미는 [장생포의 지역명과 새로운 문화의 보물창고]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관람객에게 다양한 문화의 향연을 선보이며 울산 남구 9경에 선정되었다. 총 6층의 건물로 청춘마당,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 갤러리B, 갤러리C, 공유작업실, 북카페, 루프탑으로 층마다 다른 주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1층에는 청춘마당과 어울림마당(푸드코트)이, 2층에는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과 냉동창고가 탈바꿈한 체험존이, 3층 갤러리 B는 장생포의 옛 바다의 기운이 담겨진 세창의 옛모습을 간직한 전시장이다. 4층 갤러리 C는 전시 및 워크숍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고, 5층 공유작업실은 회의, 강연 및 행사를 진행 할 수 있는 공유공간으로 대관이 가능하다. 6층은 지관서가 2호점 북카페로 공장이 어우러진 장생포 바다뷰를 편하게 관람 할 수 있고, 루프탑은 옥상정원 별빛마당이 있어 장생포의 확 트인 뷰가 특징인 공간으로 다양한 배들과 공장들이 생동감 있게 움직이고 있는 모습을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공간이다.

만복래숯불구이

14.6Km    2024-12-23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두동로 1789
052-262-7255

1983년 울산에서 개점하여 현재는 봉계 한우 불고기 마을에 위치한 숯불구이 전문점이다. 질 좋은 한우 암소의 다양한 부위를 굵은소금으로 간을 해 숯불에 구워 먹는 왕소금구이와 참기름 양념으로 버무린 육회, 깍두기 모양처럼 썰어 고추장을 버무린 육회가 인기 메뉴다. 매장 내부는 단체석이 있어 단체모임이나 회식장소로도 적합하며 유아의자도 구비되어 있어 아이가 있는 가족이 방문하기에도 좋은 식당이다.

한방테마파크 초락당 (艸樂堂)

14.6Km    2024-04-24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봉계리

초락당(艸樂堂)은 한방의료를 바탕으로 하여 실시되는 한방헬스투어 전문의료기관으로서 2001년도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평가 『Health Tour to Korea』로 지정된 바 있다.
의.식.주, 의료, 휴식.... 을 한자리에서 체험 할 수 있는 곳이며 휴양과 치료를 병행하는 곳이다.
옛날 우리의 시골집과 같은 소박함과 자연친화적이고 전원적인 분위기는 환자의 치료율 향 상에 도움을 주며 정서적인 면도 배려한 진정한 휴식공간이다.

* 초락당 안내도보기

한방테마파크 초락당

한방테마파크 초락당

14.6Km    2024-05-28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계명로 44-34

한방테마파크 초락당은 한방의료를 바탕으로 한방헬스투어를 할 수 있는 곳으로, 2001년도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평가 [Health Tour to Korea]로 지정된 바 있다. 초락당의 시설은 원두막, 황토 토굴, 별채, 산림욕장, 불로문, 성류당, 잉어 연못, 진료실, 치료실, 황토 한증막, 초락박물관, 백련정, 인조 잔디 테니스코트 및 등산로 (허준 산책로) 등이 있다. 초락당은 옛 느낌이 나는 초가집에서 한방지료,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목욕요법, 한방 온열치료,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을 병행하는데 자연적이고 토속적인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초락당 뒤편 숲길에 들어서면 산림욕장 허준의 길이 나온다. 이 길을 따라 걸으며 산림욕을 할 수 있으며, 진료 목적으로 들르는 사람들에게 한증막과 더불어 자연과 함께 치유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고래고기원조할매집

14.8Km    2025-03-12

울산광역시 남구 장생포고래로 135
052-261-7313

고래고기원조할매집은 1945년에 개업해 3대째 고래고기 요리만을 전수해 가업으로 이어가고 있는 고래고기 전문점이다. 밍크고래를 각 부위별로 맛볼 수 있으며 2002년 월드컵 당시 울산광역시 대표 음식점으로 지정되어 외국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바 있다. 고래고기를 좋아하는 일본인들도 일부러 찾아와 즐겨 먹는다 할 정도니 대한민국 식도락이라면 한 번쯤은 꼭 들러 맛봐야 할 곳이다.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14.8Km    2024-06-18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알프스온천4길 15

간월사는 신라시대 진덕여왕 때 자장스님이 창건하였다고 하는데 절터에서 나온 유물은 거의 모두 통일신라시대의 것들이다. 이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고쳐지었으나 조선 말기에 폐사되었다. 후에 사람들이 암자를 세워 노천에 방치되어 있던 여래 좌상을 봉안하였다. 발견 당시 광배는 결손 된 상태로 대좌 역시 완전한 상태는 아니었지만 불상에서 보이고 있는 인간의 모습을 재현한 듯한 얼굴과 신체적 비례는 8세기말에서 9세기에 즐겨 사용된 기법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육계)가 자리 잡고 있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하며 단정한 입과 긴 눈, 짧은 귀 등의 표현에서 온화하고 인간적인 느낌을 준다. 어깨는 좁아지고, 몸은 양감이 없이 펑퍼짐한 모습이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얇으며 U자형의 옷주름을 표현하고 있다. 얼굴과 신체의 풍만함과 좁아진 어깨 등에서 9세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모습을 보여주며 역사적 기록과 남아 있는 유구가 거의 없는 간월사지의 창건 연대를 확인시켜 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