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해향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영해향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영해향교

12.7Km    2024-06-13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예주8길 14-5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대부분 조선 초기에 건립되었으나, 영해향교는 그보다 앞선 고려 후기에 개설된 지방 교육 기관이다. 1346년(충목왕 2)에 장서기, 이천년이 현재의 위치에 대성전과 동무, 서무를 창건하고 영해향교라 하였다. 그 뒤 1529년(중종 24)에 부사 공서린이 명륜당과 태화루를 건립하여,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였다. 1940년대 초 1군 1향교 정책에 따라 관내 영해향교를 철폐시키고 영덕향교에 통합하였으나 6·25전쟁으로 영덕향교가 소실되자 영해 주민들을 중심으로 향교 복설을 추진하여 1979년에 대성전을 비롯한 건물을 중건하고 영해향교라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10칸의 대성전, 각 3칸의 동무와 서무, 15칸의 명륜당, 각 5칸의 동재와 서재, 12칸의 태화루, 2칸의 경각, 10칸의 전사청을 비롯하여 기타 부속건물 5동이 있다.

예주고을 한식약

예주고을 한식약

12.8Km    2025-01-15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예주8길 14-7

영덕 영해면 예주 고을 체험마을 건물 1층에 위치한 예주 고을 한식약 체험 카페는 향긋한 커피와 건강한 차, 달콤한 한국식 디저트를 판매한다. 전통찻집의 아늑한 분위기에 친절하신 사장님이 계시며 메리골드, 목련, 설국, 생강나무 등 자주 접하지 못했던 다양한 꽃 차가 있다. 보이차, 대추차, 생강차, 자몽차 등과 커피류도 판매하며 돌잔에 나오는 계란을 동동 띄운 쌍화차는 즐겁고 맛있는 경험을 선사한다. 호두파이, 화과자, 쑥 마들렌, 흑임자 마들렌, 캐러멜 샌드 쿠키, 도라지정과, 양갱, 쌀 약과, 오란다 등 한국식 전통 디저트들이 있고 허니브레드를 제외한 모든 디저트는 한식약에서 직접 만들어 정성이 가득하다.
또한 전통 다도 체험과 꽃차 만들기, 떡, 화과자 만들기, 등등 다양한 체험도 가능한 카페이다.

영해만세시장 (5, 10일)

영해만세시장 (5, 10일)

13.0Km    2025-03-14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468-1

1965년에 개설된 ‘영해만세시장’은 경상북도 영덕군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동해안 일대에서도 거래량이 많은 전통시장이다. 시장면적은 약 5,000㎡이며 150여 개의 점포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달마다 5, 10, 15, 20, 25, 30일에 장이 서며 시장 바로 앞에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게 장을 볼 수 있다. 시장 근처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블루로드가 있다.

동해안카페

동해안카페

13.2Km    2025-03-14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예주시장6길 24-1

동해안카페는 경상북도 영덕군의 영해 전통시장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대표 메뉴는 영덕의 특산물인 시금치를 이용한 시금치 호두과자이다. 시금치 호두과자는 깨끗하게 세척한 신선한 시금치와 담백한 팥, 고소한 호두가 들어있으며 시금치의 쓴맛과 향이 나지 않아 누구나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다. 여름에는 시그니처 메뉴인 아이스크림 라떼와 눈꽃팥빙수, 겨울은 진한 수제 대추차와 수제 생강차를 판매하며 이외에도 말렌카 케이크, 커피콩 빵, 수제 쿠키 등 다양한 디저트를 맛볼 수 있다. 고래불 해수욕장이 근처에 있어 영덕 바다로 드라이브를 즐기러 갔다가 방문하기 좋은 곳이다.

목은이색기념관

목은이색기념관

13.2Km    2024-12-10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341

영덕군 영해면 조선시대 전통 가옥들이 잘 보존된 괴시리마을에 자리한 목은이색기념관은 고려 말의 문신이자 학자인 목은 이색을 기리는 기념관이다. 옛 문헌에 기록에 기초하여 목은 이색(1328~1396)의 생가터를 복원하여 2003년 1월 6일 준공하였다. 기념관에는 목은 이색의 영정과 문집판, 목은집 등 목은 이색 관련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기념관 외에도 이색이 유년 시절을 보낸 생가터와 동상, 시비 등을 세워 목은 이색을 알리고 있다. 이곳에서 매년 10월에는 목은 이색을 기리기 위한 문화 축제인 [목은문화제]가 열린다. 고유제, 거리 퍼레이드, 한시백일장, 도전 목은 골든벨, 사행시, 전통 혼례 등의 행사도 진행하고 있다. 이곳 괴시리 마을은 조선시대 가옥들 30여 채가 즐비한 전통 마을로 영양 남씨 집성촌이다. 400여 년간 세거를 누리며 사는 팔자 형국의 마을이며 마을 앞에는 영해 평야가 광활하게 전개되어 있다. 지금 남아 있는 고택들은 모두 200여 년 전에 지어진 것들로, ㅁ자형 구조로 뜰을 마주 보고 서 있는, 사랑채 뒤에 안채를 숨겨 안팎을 완전히 분리하는 사대부가의 건축 양식이 잘 나타나 있다. 가옥 가운데 괴정, 영해 구계댁, 영해 주곡댁, 물소와서당 등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4건과 문화재 자료 12건과 30여 채의 전통가옥과 마을 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다. 낮은 담장들로 이어진 고택들 사이를 거닐면 잘 가꾸어진 정원과 고택과 현대의 조화로운 생활 모습을 볼 수 있다.

괴시리 전통마을

13.2Km    2024-08-12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호지마을1길 16-1

영해면 소재지에서 동북쪽으로 800m쯤 가면 고려 말의 대학자 목은 이색의 탄생지이자, 조선시대 전통 가옥들로 둘러싸인 고색창연한 마을 괴시리마을이 있다. 원래 이름은 호지촌으로 목은 이색이 중국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와 자기 고향이 중국의 괴시와 비슷하다 하여 괴시로 부르면서 명칭이 굳어졌지만, 호지골, 호지마을, 호지촌으로 부르는 이들도 있다. 괴시리 전통마을은 영양 남씨 집성촌으로 400여년간 세거를 누리며 살고 있는 팔자 형국의 마을이며 마을 앞에는 영해평야가 광활하게 전개되어 있다. 지금 남아 있는 고택들은 모두 200여 년 전에 지어진 것들로, ㅁ자형 구조로 뜰을 마주 보고 서 있는 사랑채 뒤에 안채를 숨겨 안팎을 완전히 분리하는 사대부가의 건축 양식이 잘 나타나 있다. 가옥 가운데 괴정, 영해 구계댁, 영해 주곡댁, 물소와서당 등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4건과 문화재자료 12건, 30여채의 전통가옥과 마을 경관이 잘 보존되어 있다. 낮은 담장들로 이어진 고택들 사이를 거닐면 잘 가꾸어진 정원과 고택과 현대의 조화로운 생활 모습을 볼 수 있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한옥 스테이도 있다.

원생대 변성암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원생대 변성암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14.4Km    2024-06-10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영덕대게로 2660

건물을 지을 때 건물을 받치기 위해 땅 위에 기초를 세우듯이 한반도도 기초가 되는 지층들 위로 여러 암석들이 쌓이면서 하나의 땅이 되었다. 이런 기초가 되는 지층의 덩어리를 육괴라고 부르는데, 한반도에는 낭림육괴, 경기육괴, 영남육괴가 존재하며 이러한 육괴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지층들이다. 이곳은 영덕지역에서 유일하게 영남육괴의 일부분인, 편마암이 동해 바다에 의해 깎여 드러나 있다.

편마암은 지하 깊은 곳에서 아주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변형되어 만들어진 암석으로 줄무늬(얼룩말 무늬) 구조가 잘 발달한다. 이 줄무늬 구조는 높은 열로 인해 원래 암석을 구성하고 있던 흰 광물과 검은 광물이 서로 분리되고, 동시에 강한 압력에 의해 눌리면서 만들어졌다. 이곳에서 관찰되는 줄무늬는 복잡하게 휘어져 있는데 이는 지하 깊이 뜨거운 곳에서 지표보다 무른 상태로 존재하던 편마암이 여러 방향으로 눌리면서 휘어진 것이다. 또한 해안에서 관찰되는 편마암에서는 마치 칼로 흠집을 낸 것처럼 줄무늬 중 흰색 부분만 도드라져 보이며, 이는 편마암의 검은 부분이 덜 단단하기 때문에 파도에 의해 더 쉽게 깎여 나가면서 형성된 것이다.

* 편마암: 땅속 깊은 곳에서 아주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변형된 암석

대진항 (영덕)

14.8Km    2024-11-28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영덕대게로 2740

대진항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진리에 위치해 있는 항구로 1971년 12월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이후 항구의 정취를 감상하려는 관광객의 방문이 많은 곳이다. 항구에 정박한 어선과 등대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사람이 많다. 항구는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유명한 곳으로 방파제나 갯바위에서 미끼를 던지면 감성돔, 노래미, 붕장어가 올라온다. 대진항에서 북쪽으로 가면 고래불해수욕장이 있고, 남쪽 방향에는 경정 해변이 나온다. 바다를 배경으로 천천히 산책을 하기에도 좋다

인량리 전통테마마을

인량리 전통테마마을

15.2Km    2024-06-11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길 178

인량전통테마마을은 350년~400년 된 8성씨 12종가 한 농촌마을에 옹기종기 모여 살고 있는 전형적인 농촌 한옥마을이다. ‘어질인 仁 어질량 良’자로 어진이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하여 불리고 있는 ‘인량리’는 다른 농촌마을에서는 잘 볼 수 없는 자연과 한옥들이 잘 어우러진 마을이다. 또한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뒷산 형국이 한 마리의 학이 날개를 펼쳐 감싸 안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비개동, 나래골, 익동으로 불리다 현재는 나라골로 불리고 있다. 인량리는 서고동저의 형태를 보이고 있고, 마을 앞으로는 반변천이 흐르고 동쪽으로 넓게 소규모의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토질은 점토인 사질토의 양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품질이 우수한 농작물이 생산된다. 또한, 풍수지리적으로 인량리는 마을의 터가 명당으로 알려졌으며, 현재 여러 종가의 종택이 보전되어 내려오고 있다. 2004년 농촌전통체험마을로 선정되어 폐교된 인량초등학교를 인량리 주민들이 구입, 리모델링하여 숙박시설, 강당, 식당, 체험장 등을 갖추고 있어 바쁘고 지친 도시생활을 벗어나 새소리, 바람 소리, 물소리를 들으며 편안한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숙박은 가족(최대 60인), 단체(100명)를 수용할 수 있는 가족실과 단체실이 준비되어 있어 모임, 수련회, 워크샵, 동창회, 산악회 등 각종 행사장으로 이용 가능하다.

나라골보리말체험학교

15.2Km    2024-11-29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길 178

인량전통테마마을 내에 위치한 나라골보리말체험학교는 마을이 2004년 농촌전통테마마을로 선정된 후 2005년에 폐교된 인량초등학교를 주민들이 자부담하여 구입 후 행정 지원을 받아 콘도형 시설로 리모델링 하였다. 체험학교에서는 주로 보리수확, 보리짚공예, 보리방앗간 등의 체험이 가능하며 그 밖에 문화유산탐방, 동해안해맞이, 마당놀이체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