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화면 상안미옛길 164-141
평창사랑은 귀농&귀촌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귀농인들의 삶을 모델로 제시하여 다양한 체험과 숙박, 농산물 꾸러미 판매등을 하며, 모듈형 투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힐링 팜크닉, 산마늘 및 사과 수확 체험, 송어낚시체험 등의 프로그램이 있으며 시즌별로 체험 가능한 프로그램이 달라지므로 홈페이지 참고를 해야 한다.
2024-05-21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길 41-5
와우미탄은 평창군 미탄면의 지역유산을 활용하여 지역청년들이 주도하는 주민여행사이다. 어름치마을, 옐로우트리, 평창연화농원, 강원수산 등 육백마지기를 중심으로 펼쳐진 농촌관광, 농촌여행, 지역특산물을 결합한 여행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24-05-2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태기로 228-33 한화리조트
평창캠프닉은 평창 지역의 유휴공간, 인적 자원 등을 활용하고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이 재료가 되는 평창만의 '밀키트'와 재래장터에서 장을 보고 캠프닉을 즐기는 '셀프 바베큐'를 운영한다.
지역의 상주기업 대형리조트와 협업 유휴공간에 평창캠프닉의 인디안티피텐트설치, 바비큐 장비를 대여하여 도심과 같은 빌딩 숲 안에서 가족, 연인들과 캠핑바베큐를 즐길 수 있다.
캠핑카페를 준비 중이며 이는 애견 동반 가능한 야외 야전 카페로 동절기에는 캠프 파이어의 불멍 스페셜로 감성적인 캠프닉으로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다.
2024-01-11
전라남도 장성군 역전로 105
위인더랜드는 장성 지역 생산자들의 숨겨진 가치를 발굴하여 외부관광객은 물론 지역주민에게 소개하며 자체적으로는 지속적인 메뉴개발 및 상품개발을 통해 관광 앵커지를 지향한다. 첫 시도로 수제햄을 기반으로 하는 샌드위치 개발을 진행 중이며, 지역 식재료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방문객들은 위인더랜드의 공간 방문으로 트렌디하면서도 전통을 담은 아이템들을 접하게 되고 장성 관광의 로드맵을 그릴 수 있는 정보를 얻게 된다. 주기적으로 열리게 되는 수제햄 체험공방은 어린이들 체험 프로그램의 한 소스가 될 전망이다.
2024-05-23
전라남도 장성군 남창로 351
주식회사 별내리마을은 주민 공동체에서 출발하여 10여년의 체험 휴양마을 운영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역 청년 중심의 경영체제로 전환하면서 결성되었다. 기존 천문체험, 도예체험, 숲체험 등 다양한 경험이 있으며 주식회사 설립을 통해 농촌에서 만드는 나만의 수제맥주 컨셉으로 양조전문가를 양성하고 새롭게 체험장을 조성하게 되었다. 아울러 기존 숙박의 퀄리티를 높이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어메니티 고급화, 친절 교육 등을 수료하고 전문 경영컨설팅을 높여 자립하는 청년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2024-05-29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전두남1길 33-20
삼척시 도계역 급수탑은 도계역 내에 있는 옛 증기기관차 급수시설이다. 1940년 설치된 급수탑으로 원주역 급수탑과 함께 당시의 전형적인 급수탑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물탱크 용량은 26t, 바닥 면적은 16㎡, 하부 둘레는 14.2m이다. 높이는 8m로 다른 급수탑에 비해 낮은 편인데, 이는 철로 면보다 4m 높은 곳에 설치하여 적정 수압을 얻어낼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한 것으로 지형을 고려하여 급수탑의 높이를 조절한 독특한 사례이다. 도계역 급수탑은 물탱크를 받치고 있는 하부와, 물탱크 시설인 상부로 나뉜다. 하부는 급배수를 하기 위한 기계실로 바닥은 원형이고, 기계실 내부 천정은 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하부의 기계실 출입구는 아치형 문틀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는 물탱크 시설로 돔 형식으로 4개의 반원형 도머 창문을 설치하여 환기구로 이용하고 있다. 2003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출처: 삼척문화관광 홈페이지)
2024-05-24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소달길 12-52
하고사리역은 영동선로의 역사(驛舍)로 1966년 건립되어, 1967년 9월 1일 간이역 영업을 개시하였다. 마을 주민들이 역사 건립의 필요성을 느껴 자발적으로 건립한 역이다. 현재는 열차가 서지 않는 폐역이다. 구조는 맞배형태의 지붕에 벽체는 비닐 판벽이다. 대합실의 내부가 고미반자로 되어 있어 다른 간이역과 차별되며, 출입 또한 전면 진입이 아닌 이 지역의 민가 진입 방식인 측면 진입 방식을 띄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간이역 중 팔당역과 함께 규모가 가장 작은 역 중 하나이다. 2007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출처: 삼척문화관광 홈페이지)
2025-03-24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성당길 34-84 천주교성내동성당
성내동 성당 (옛 삼척 성당)은 1949년 설립되었으며, 현재의 성당은 1957년 삼척 시내를 굽어보는 동산 위에 건립되었다.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성내동 성당은 여느 성당들과 달리 뒤쪽으로 들어와서 성당을 돌아야 종탑이 있는 정면 출입구에 들어사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종탑이 성당 입구가 아닌 시내 쪽을 바라보게 하여 멀리서도 사람들이 성당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한 것이다.
2025-03-16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삼화로 538 무릉계곡관리사무소
무릉도원 명승지 내에는 능선과 계곡을 사이에 두고 양지쪽은 학소대, 음지쪽은 베틀 바위가 자리하고 있다. 베틀바위는 높은 산에 가리어 음산한 음지에 있는 기암절벽형 모양이 마치 베틀 같아 보여 베틀바위라 한다. 베틀바위와 관련된 전설에 의하면 하늘나라 질서를 위반한 선녀가 벌을 받아 하강하여 이곳 무릉도원 명승지 소금강 골에서 삼베 세필을 짜고 개과한 후 승천했다 전해진다. 베틀바위를 가는 등산코스로는 무릉도원 명승지 입구에서 무릉반석을 지나 삼화사, 두타산 성을 본 후 두타산을 통해 하산하는 14.9㎞의 코스로, 4시간 20분 정도 소요된다. 산불조심 기간에는 출입로가 통제된다. (출처 : 동해관광)
2024-06-18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로 240-28
‘무예도보통지’ 남한산성전통무예는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에 있으며 옛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으로 선조들 전통의 숨결을 보유한 곳이다. 한양을 지키던 남한산성 안에서 조선 후기의 무예 훈련 교범인 ‘무예도보통지’와 남한산성 유네스코 지정 홍보 및 무예 체험, 의상체험, 국궁체험 등 우리나라의 유구한 역사인 전통 무예의 발전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남한산성(유네스코 지정), 남한산성전통무예, 둘레길 체험 등 서비스를 제공하여 경쟁력 강화와 지역관광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