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영릉(英陵)은 조선 4대 세종(재위 1418~1450)과 소헌왕후 심씨(1395~1446)의 능이다. 조선왕릉 중 최초로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으로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세종, 오른쪽에 소헌왕후를 모셨다. 원래 영릉은 1446년(세종 28) 소헌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헌릉과 인릉 경내 인릉 자리에 조성되었고, 4년 뒤 세종이 세상을 떠나자 영릉에 합장하였다. 그러나 영릉이 풍수상 불길하다고 하여 세조 대부터 영릉을 옮기려고 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가 1469년(예종 1)에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옮기면서 옛 영릉에 있던 능침 석물과 신도비는 땅에 묻었고, 여주로 옮기면서 능침의 석물은 다시 만들었다. 영릉(寧陵)은 조선 17대 효종(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1618~1674)의 능이다. 영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위아래로 조성한 최초의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의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능을 바라보았을 때 위에 위치한 봉분이 효종의 능이고, 아래 봉분이 인선왕후의 능이다. 이렇게 능을 위아래로 조성한 이유는 쌍릉의 형태처럼 봉분을 나란히 조성할 경우, 풍수지리상 생기가 왕성한 정혈(正穴)이 벗어나기 때문에 위아래로 배치한 것이다. 1659년 효종이 세상을 떠나자 현 구리 동구릉 내 원릉 자리에 조성되었으나, 조성 직후부터 능침 석물에 문제가 생겨 보수가 계속되자 능 안에 빗물의 피해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1673년(현종 14)에 옮기기로 하였다. 그러나 능을 옮길 때 방을 열어보니 물이 들어온 흔적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영릉 입구에 있는 재실은 제향을 준비하는 건물로 현재 조선왕릉의 재실 중 원형이 가장 잘 남아있다.
홈페이지
이용안내
세계 문화유산
유모차 대여 : 없음
신용카드 가능 : 가능
문의 및 안내 : 031-885-3123
주차시설 : 가능
쉬는날 : 매주 월요일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방하며 그 다음 첫 번째 평일에 휴관)
이용시간 : [2월~5월]
09:00~18:00 (입장 마감 17:00)
[6월~8월]
09:00~18:30 (입장 마감 17:30)
[9~10월]
09:00~18:00 (입장 마감 17:00)
[11월~1월]
09:00~17:30 (입장 마감 16:30)
상세정보
등산로
관광코스안내
* 고속도로 - 여주I.C - 명성황후 생가 - 세종대왕릉(효종대왕릉) - 강변랜드 -
신륵사 - 목아불교박물관 - 고달사지 - 파사성지
* 일반국도 - 이천 - 세종대왕릉 - 명성황후 생가 - 위와 동일
입 장 료
- 개인 500원
- 단체(10인 이상) 400원
주차요금
무료
화장실
있음
내국인 예약안내
위치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