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광화문 정보를 소개합니다.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 광화문

설명

광화문은 경복궁의 남문이며, 궁성의 정문이다. 광화문은 국왕이 드나드는 정문이기도 했지만,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문이었기 때문에 다른 궁궐의 정문에 비해 그 규모와 격식 면에서도 매우 웅장하고 화려했다. 또한 광화문은 담장 끝 동쪽과 서쪽에 각각 동십자각과 서십자각을 두어 조선의 5대 궁궐 가운데 유일하게 궐문 형식을 갖추고 있기도 했다. 광화문은 중층으로 된 문루를 받치는 기단석축에 세 개의 홍예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앙의 홍예로는 왕이, 좌우의 홍예로는 왕세자와 신하들이 출입하도록 하였다. 문루(門樓)에는 종을 걸어 때를 알리는 데 사용하였다. 이처럼 경복궁이 조선왕조의 법궁이라는 점은 광화문을 비롯한 성문의 형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궁의 문들은 낮은 단 위에 문을 세우지만 경복궁의 문은 돌로 높은 석축을 쌓고 중앙에 홍예문을 내서 마치 성곽의 문과 같은 모습을 취한다. 광화문은 그중에서도 홍예문을 셋이나 내서 가장 격식 높은 모습을 보여준다. 광화문이 법궁의 정문이라는 사실을 잘 드러내준다. 경복궁 창건 당시에는 특별한 이름이 없이 궁제에 따라 ‘오문(午門)’으로 부르다가, 태조 3년(1395) 정도전에 의해 ‘정문(正門)’으로 이름을 바꾸지만, 세종 8년(1426)에 경복궁을 수리하면서 집현전에서 ‘광화문(光化門)’이라 이름을 지어 올리면서 지금의 광화문이란 이름을 얻게 되었다. 원래 광화문은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으면서 궁성의 동문인 건춘문 북쪽으로 옮겼으나 한국전쟁 때 폭격을 맞아 문루가 부서지고 석축은 탄흔투성이가 되었다. 그런 가운데 광화문이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된 것은 1968년 박정희 정권에 이르러서다. 파괴된 문루를 다시 짓고 광화문을 현재의 자리로 옮겨 놓았던 것이다. 그러나 새로 재건한 광화문은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재건 당시 광화문의 축을 경복궁의 중심축에 맞춘 것이 아니라 당시 중앙청으로 쓰이던 구 조선총독부 청사의 축에 맞추어, 그 결과 3.5도가량 본래의 축과 어긋나게 틀어지고 말았다. 그 뿐만 아니라 원래의 광화문 자리에서도 14.5미터가량 뒤로 물러나 지금의 자리에 서있게 되었다. 이렇게 원형을 잃어버린 광화문을 복원하고자 2006년부터 광화문 철거작업을 시작해 3년 8개월의 복원 공사를 마치고 2010년 8월 15일 완공되었다. 화강암으로 육중한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이층의 문루를 얹어 멀리 조망하기 좋을 뿐 아니라 궁궐 정문으로서의 위엄을 나타내고 있다. 기단에 있는 3개의 아치형 출입문은 경복궁이 조선의 정궁이라는 위엄을 과시한다. 돌로 만든 기단 위에는 흙을 구워 벽돌처럼 만든 ‘전돌’로 나지막한 담을 둘렀는데, 여기를 장식한 팔괘 문양은 조선조 궁궐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홈페이지

https://gwanghwamun.seoul.go.kr/main.do


이용안내

유모차 대여 : 없음

신용카드 가능 : 없음

문의 및 안내 : 02-3700-3900

쉬는날 : 매주 화요일

이용시간 : - 1~2, 11~12월 09:00~17:00 (입장마감 16:00)
- 3~5, 9~10월 09:00~18:00 (입장마감 17:00)
- 6~8월 09:00~18:30 (입장마감 17:30)
※ 기관 사정에 따라 관람시간 단축 및 조정이 있을 수 있음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화가의 정원산책

화가의 정원산책

2025-04-22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장학길 34

화가의 정원산책은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에 있는 정원이다. 순천에서 가볼만한 민간정원이며, 약 30년 동안 부부가 가꿔온 곳이다. 면적은 약 3,000평 정도로 서양화가 정원주의 작품처럼 세심하게 가꾸어진 안뜰정원과 산책숲길, 경사진 산을 계단식으로 바꾼 정원과 곳곳의 쉼터 등 정원주의 미학적 철학을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물빛소리정원

물빛소리정원

2025-04-22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도산일주로 1278-57

물빛소리정원은 통영시 도산면에 위치한 정원이다. 꽃과 나무, 자연의 소리가 어우러져 마치 동화 속 한 장면처럼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잔잔한 호수를 따라 산책로를 걷다보면 형형색색의 꽃들과 푸르른 나무들이 반갑게 맞아주는 곳으로 3면의 바다와 아름다운 경관 속에 자리 잡은 정원이 어우러진 수채화 같은 공간입니다. 해안 산책길을 따라 걸으며 사계절 꽃과 정원을 감상 할 수 있습니다.

서울달

서울달

2025-04-2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68-1 (여의도동)

2024년 서울의 신규 야간관광 콘텐츠 서울달(SEOULDAL)은 여의도 상공을 수직 비행하는 계류식 헬륨가스 기구로, 여의도공원 하늘에서 서울의 멋진 야경을 가장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체험시설이다. 서울의 화려한 야경을 조망할 수도 있지만 멀리서 서울 야경을 바라보면 서울달(SEOULDAL)도 멋진 서울 야경의 한 부분이 된다. ※ 실시간 기상상황에 따라 비행 여부 결정(홈페이지 참조)

장암숲늘품길

장암숲늘품길

2025-04-21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의정부시 ‘장암숲 늘품길’의 경계숲길 장암동 동막골 굴다리 입구부터 아일랜드캐슬을 잇는 작은 길이지만, 지역 주민에겐 ‘나만 아는 봄길’로 불린다. 화려하지 않아도 계절을 놓치지 않는 길, 일상의 품격을 조금씩 더해주는 길이다. 경계숲길을 지나 내부숲길로 이어지는 도심 속 자연과 하늘의 아름다움은 현대인을 위한 시크릿 힐링공간으로 쉼을 찾는 모두에게 도심 속 작은 여행을 선사한다. 도시와 자연이 맞닿는 경계에서 나에게 아주 평범한 보통의 하루를 선사하는 여정을 시작해보자.

불광사(광주)

불광사(광주)

2025-04-18

경기도 광주시 이배재로 225-27 (목현동)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 남한산성 동쪽 기슭에 위치한 전통적인 사찰이다. 고려 중기 때 창건하였다고 추정된다. 이후 6.25 때 소실되었다가 현재 현진스님께서 복원하여 운영 중이다. 무형문화재 영산재 50호 과정을 이수하여 정통방식으로 49재 의식 봉행하고 있는 고즈넉한 사찰이다. 또한, 불광사는 사계절마다 변화하는 자연경관과 함께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명소이다. 불광사는 한국 불교의 깊은 역사와 전통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삼성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음성군 삼성면에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로, 반려견이 목줄 없이 뛰어놀 수 있는 운동장 및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원남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음성군 원남면에 위치하며, 반려견이 목줄없이 뛰어놀 수 있는 반려견 놀이터

보강천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연탄리

증평군 증평읍 보강천체육공원 내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

명월이네

2025-04-18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비봉길 53

제천시 청풍면 농촌테마공원에 위치한 실외 반려견 놀이터

옥천군 반려동물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장찬리

옥천군 반려동물놀이터는 옥천군 이원면이 위치하여 반려견을 위한 운동장, 음수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대형 종합 놀이시설로, 운동장은 중·소형견과 대형견 공간을 분리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