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위봉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두위봉 정보를 소개합니다.

  • 두위봉
  • 두위봉
  • 두위봉
  • 두위봉
  • 두위봉
  • 두위봉
  • 두위봉

설명

정선 두위봉은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과 사북읍에 걸쳐 있는 산으로, 해발 1,466m의 높이를 자랑한다.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나온 지맥으로, 산 모양새가 두툼하고 두루뭉술하여 주민들은 두리봉이라고도 부르며 「정선아리랑」에 나오는 산이기도 하다. 정상에 올라 바라보는 전망도 좋으며, 북으로는 민둥산이 펼쳐지고, 동쪽으로 백운산, 그 오른쪽에 태백산이 보이며 남으로 매봉산이 두루 조망된다. 북서쪽 단곡계곡을 흐르는 맑고 깨끗한 물은 석항천을 이루고, 동북쪽 도사곡 계곡에는 휴양지가 있다. 정상 주위에는 철쭉 군락지가 있으며, 매년 5월~6월에는 철쭉축제가 열려 전국의 많은 산악인들이 찾고 있다. 또한, 두위봉 도사곡 상부에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1,400년 주목이 있다. 주목은 나무껍질이 붉은색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세계적으로 8종 40 품종이 알려져 있는데, 동아시아, 북아프리카,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두위봉의 주목은 세 그루가 3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 있으며, 한국에서는 가장 장수하고 있는 나무이다. 두위봉에는 여러 등산로가 있지만, 최단코스는 단곡 2교 주차장에서 출발하는 코스이다. 이 코스는 단곡 2교 주차장-감로수샘터-두위봉 정상(철쭉비)-단곡 2교 원점회귀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산 거리는 7.2km, 소요 시간은 2시간 20분이다. 이 코스는 임도와 돌계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별히 어려운 구간은 없다. 두위봉에서는 강원도의 원시림과 다양한 야생화를 볼 수 있으며, 정상에서는 금대봉, 은대봉, 함백산 등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어 등산하기에 최고 명소라 해도 손색이 없다.


문의

정선군청


홈페이지

https://www.jeongseon.go.kr/tour


이용안내

유모차 대여 : 없음

신용카드 가능 : 없음

문의 및 안내 : 1544-9053

주차시설 : 가능

쉬는날 : 연중무휴

이용시간 : 상시 개방


상세정보

입산통제 기간
봄철 산불조심기간 : 02.01.~05.15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 11.01~12.15
http://www.hyundaicardbuddyevent.co.kr/m/index.asp

등산로
* 1코스 : 단곡계곡->(40분)감로수샘터->(30분)갈림길->(20분)정상(총 1시간 30분)
* 2코스 : 도사곡->(140분)샘터->(40분)주목군락지->(100분)정상(총 4시간 40분)
* 3코스 : 자미원->(80분)갈림길->(20분)갈림길->(20분)정상(총 2시간)
* 4코스 : 자뭇골->(30분)척산골->(40분)샘골->(50분)갈림길->(20분)정상(총 2시간 20분)

입산통제 구간
* 방제리- 단곡계곡- 정상(4km)
* 도사곡- 쉼터- 정상(5.5km)
* 자미원역- 작은골- 정상(5km)
* 증산역- 자뭇골- 척산골- 샘터- 정상(6km)

관광코스안내


화장실
있음

한국어 안내서비스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사북읍 지장천로 436-27

아티스푼(ARTEASPOON)

아티스푼(ARTEASPOON)

2025-08-19

서울특별시 용산구 신흥로36길 7 (후암동)

아티스푼은 그림과 음악, 책과 이야기를 바탕으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농담, 말담, 청담 등 오감을 열고 나의 감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프로그램이 준비되어있다. 외국인 대상 한국의 문화와 예술을 테마로 하는 별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서울타워가 자리한 남산 자락, 용산구 후암동 하늘계단에 위치한 아티스푼에서 나홀로, 함께 예술이 주는 생경함과 신비함을 느껴보시기 바란다.

키위스파랜드

키위스파랜드

2025-08-18

인천광역시 계양구 아나지로 306 (작전동)

키위스파랜드는 인천에 위치한 연면적 1,380평 규모의 24시간 찜질방이다. 식혜와 치킨 등 다양한 먹거리도 즐길 수 있으며, 북카페, 키즈카페, 야외 테라스 등 넓은 규모에 맞게 다양한 시설이 준비되어 있어 온 가족이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입장 후 12시간 이용 가능하며 초과 시 1시간당 2,000원씩 추가된다.

영뜰해변

영뜰해변

2025-08-18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리

영뜰해변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에 위치한 해변으로, 볼음도에서 가장 넓은 해안선을 자랑한다. 바닷물이 빠지는 간조 시에는 약 6㎞에 이르는 광활한 갯벌이 드러나며, 갯벌 체험이나 자연 관찰 활동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해변 중앙에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어 탁 트인 서해의 풍경과 함께, 저어새를 비롯한 다양한 철새들이 비행하는 모습을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다.

고성 금강산

고성 금강산

2025-08-18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화암사길 100

민족의 명산이라 불리는 금강산은 화암사 입구부터 이어지는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일만 이천 개의 봉우리 중 가장 남쪽 봉우리인 신선봉에 닿는다. 신선봉 남쪽에는 울산바위가 자리하고 있으며, 금강산이 되기 위해 울산에서부터 올라오다가 선착순에 들지 못해 주저앉았다는 전설이 내려오는 바위다. 둘레가 4㎞에 달하는 여섯 개의 거대한 바위는 그 자체로도 엄청난 존재감을 자랑하며, 신선봉으로 가는 길에는 울산바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명소인 ‘버섯바위’라 부르는 장소가 있다. 이곳의 비경이 조금씩 알려지면서 등산객이 늘어나고 있으며 입산 통제 기간과 울산바위가 보이는 정확한 위치를 알고 가는 것이 좋다. 등산 코스는 1.2㎞길이의 급경사 코스인 '등산하는 길', 2㎞길이의 완경사 코스인 '산림치유 길'로 나뉘어 있는데, 어느 코스를 선택하든 약 1시간 정도면 버섯바위에 도착한다. 등산로를 따라 신선대까지 왔다면 남쪽 숲으로 이어지는 오솔길을 따라가야 울산바위를 볼 수 있는 너른 바위인 버섯바위가 나타난다. 암반 지대 초입에서 울산바위가 빚어낸 절경을 훤히 감상할 수 있으며 끝쪽은 돌풍이 많이 부는 곳이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철도문화공원

철도문화공원

2025-08-13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동

철도문화공원은 진주역이 이전된 이후 남아 있던 철도시설과 부지를 활용하여 조성된 공원이다. 옛 진주역 차량정비고를 비롯해 다목적 문화시설, 복합 커뮤니티 공간, 맹꽁이 생태공원, 야외 전시마당 등이 조성되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이다. 공원 내 일호광장 진주역은 옛 진주역의 모습을 재현한 장소이다. 진주역의 역사와 사용했던 물품, 사진, 기록물 등이 전시되어 진주 지역 철도 문화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계절별로 다양한 전시와 행사가 열려 시민들의 문화 향유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성주우물터 은행나무

성주우물터 은행나무

2025-08-12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

성주우물터 은행나무는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 자리한 나무로 1988년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은행나무가 위치한 이곳은 가양아파트단지가 들어서기 전까지만 하여도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많은 일화와 전설이 어우러진 유서가 깊은 곳이다. 한강 하류의 중요한 요충지로서 고려 이전에는 개성과 평양으로 가는 지름길이 공암나루를 건너서 행주, 파주를 거치는 것이어서 큰 나루가 있던 곳이기에 나루를 건너던 선객들에게 일어났던 일화가 많으니 투금탄, 한산모종, 공무도하가 등 많은 전설이 내려온다. 은행나무는 양천현의 객사였던 파릉관 부속 누대인 소악루 자리에 심긴 나무로, 겸재 정선의 그림 속에도 등장하는 역사적 가치가 있는 보호수이다.

논산 충헌사

논산 충헌사

2025-08-11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주곡1길 16

논산 충헌사는 1626년(인조 4)에 세운 사당으로 충헌공(忠公) 양치楊治)·양희지(楊熙止)·양응춘(楊應春)·양훤을 배향하여, 매년 음력 9월 중정일(中丁日)에 제향한다. 충헌사는 2007년 11월 3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4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주곡리입구 장승배기에서는 매년 정월 14일 저녁에 장승제를 지내는데, 그 유래가 양춘건이 숯골로 입향한 후 마을의 화합을 위해 지내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이라고 한다.

길명사

길명사

2025-08-11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영일로 645-50

길명사는 조선 전기의 4대 서예가 중 한 사람인 봉래 양사언(楊士彦, 1517~1584)을 봉향하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평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에는 시야가 트인 들판이 펼쳐져 있다. 1988년, 사당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건립을 발의하였고, 청주 양씨 문중과 포천군의 재정 지원을 받아 같은 해 9월 1차 사업으로 본전 공사를 착공하여 12월에 준공하였다. 이후 1991년에는 양사언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하고 향사를 지내기 시작하였다. 2006년 4월 5일, 길명사는 포천시 향토유적 제45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오목문화 유아숲체험원

오목문화 유아숲체험원

2025-08-11

경기도 의정부시 오목로122번길 13 (민락동)

의정부시 유아숲체험원은 오목문화근린공원 내 10,000㎡ 부지에 2017년 조성되어 하루 최대 60명, 연간 약 1만 명의 유아가 이용할 수 있으며, 평균 5~7세 아동을 대상으로 1회 2시간 내외의 숲 해설·자연놀이·생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사계절에 맞춘 계절별 체험과 숲 속 놀이시설을 통해 유아의 신체·정서 발달과 자연친화적 가치관 형성을 돕는 의정부시 녹지산림과 관리 시설이다. 타 유아숲체험원과는 다르게 주택밀집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접근성이 좋으며 나무그네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합덕제수변공원

2025-08-11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 성동리

합덕제는 황해도 연안남대지, 김제 벽골제와 함께 조선 3대 저수지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농경지로 활용되고 있다. 저수를 위해 조성된 제방만 원형대로 길게 남아 있으며, 제방이 곡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역사적·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9년 4월 충청남도 기념물 제70호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에는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로부터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합덕제 인근에는 수리의 중요성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이 위치하고 있다. 박물관에는 조상들의 수리농경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전시물이 마련돼 있으며, 약 20여 종의 수리농경 체험 도구가 설치돼 있어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