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금성대군 신단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영주 금성대군 신단 정보를 소개합니다.

  • 영주 금성대군 신단

설명

영주 금성대군 신단은 사적 제49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조선 세조 때 단종임금의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무참히 화를 입은 금성대군(錦城大君:이름 瑜, 세종임금의 여섯째 아들, 단종의 숙부, 수양대군의 넷째동생)과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 및 그 일에 연루되어 순절한 의사들을 제사 드리는 곳이다. 조선 세조 원년(1455) 단종임금으로부터 왕위를 빼앗은 수양대군 일파는 금성대군에게 모반의 누명을 씌워 삭령(朔寧)으로 유배시켰다가 다시 광주(廣州)로 이배(移配)시켰었다. 이듬 해 성삼문 (成三問), 박팽년(朴彭年) 등 사육신이 상왕 복위운동에 실패하여 참혹하게 희생되자 그 일에 연루되었다 하여, 금성 대군은 다시 이곳 순흥으로 유배,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 금성 대군은 당시 순흥부사 이보흠과 의기가 통하여 단종복위를 위한 격문을 짓게 하여 은밀히 순흥고을로 모여들게 하였다. 군비를 모으고, 무기를 장만하고, 군사를 조련하여 영월에 유배되어 있던 단종임금 복위를 꾀하는 거사가 무르익어가던 세조 3년(1457) 가을 어느날 밀의를 엿들은 순흥부의 한 관노의 밀고에 의하여, 관군의 습격을 받은 순흥 고을은 온통 불더미에 피바다를 이루는 도륙을 당하면서 폐부 (廢府)되고 말았다. 그로부터 200여년이 지난 숙종 9년(1683)에 순흥은 명예가 회복되고, 이어 숙종45년(1719) 고을사람 이기륭(李基隆)이 부사 이명희(李命熙)에게 알려, 단소(壇所)를 설치하게 된 것이다. 금성대군 신단이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은, 영조 18년(1742) 경상감사 심성희(沈聖熙)의 소청에 의하였으며, 단소를 정비하고 중앙에 금성대군 위(位), 오른쪽 편에 부사 이보흠 위(位), 왼편에 무명 의사 위(位)를 모시고 순의비(殉義碑)를 세웠다. * 금성대군 신단(사적 제491호) 이 곳은 조선 세조2년 (1456)에 성삼문 등 사육신의 단종복위운동에 연루되어 순흥에 위리안치되어 있던 세종 여섯째아들 금성대군이 순흥부 이보흠 및 향중 유림과 더불어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실패하여 순절하자 그들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마련된 제단이다.단종복위운동이 실패되자 순흥부는 폐부되었다. 그 후 숙종 9년(1683) 순흥부가 복원되고 순절 의사들이 신원 되자 동와 45년(1719)에 부사 이명희(이명희)가 단소를 설치하였으며, 영조18년(1742) 경상감사 심성희가 단소를 정비하고 위를 모시고 순의비를 세워 매년 봄·가을로 향사를 지내오고 있다.


홈페이지

영주시 문화관광 https://www.yeongju.go.kr/open_content/tour/index.do
국가유산청 https://www.heritage.go.kr


이용안내

유모차 대여 : 없음

신용카드 가능 : 없음

문의 및 안내 : 054-634-3310


상세정보

등산로


관광코스안내


입 장 료


한국어 안내서비스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2767번길 28

화가의 정원산책

화가의 정원산책

2025-04-22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장학길 34

화가의 정원산책은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에 있는 정원이다. 순천에서 가볼만한 민간정원이며, 약 30년 동안 부부가 가꿔온 곳이다. 면적은 약 3,000평 정도로 서양화가 정원주의 작품처럼 세심하게 가꾸어진 안뜰정원과 산책숲길, 경사진 산을 계단식으로 바꾼 정원과 곳곳의 쉼터 등 정원주의 미학적 철학을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물빛소리정원

물빛소리정원

2025-04-22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도산일주로 1278-57

물빛소리정원은 통영시 도산면에 위치한 정원이다. 꽃과 나무, 자연의 소리가 어우러져 마치 동화 속 한 장면처럼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잔잔한 호수를 따라 산책로를 걷다보면 형형색색의 꽃들과 푸르른 나무들이 반갑게 맞아주는 곳으로 3면의 바다와 아름다운 경관 속에 자리 잡은 정원이 어우러진 수채화 같은 공간입니다. 해안 산책길을 따라 걸으며 사계절 꽃과 정원을 감상 할 수 있습니다.

서울달

서울달

2025-04-2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68-1 (여의도동)

2024년 서울의 신규 야간관광 콘텐츠 서울달(SEOULDAL)은 여의도 상공을 수직 비행하는 계류식 헬륨가스 기구로, 여의도공원 하늘에서 서울의 멋진 야경을 가장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체험시설이다. 서울의 화려한 야경을 조망할 수도 있지만 멀리서 서울 야경을 바라보면 서울달(SEOULDAL)도 멋진 서울 야경의 한 부분이 된다. ※ 실시간 기상상황에 따라 비행 여부 결정(홈페이지 참조)

장암숲늘품길

장암숲늘품길

2025-04-21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의정부시 ‘장암숲 늘품길’의 경계숲길 장암동 동막골 굴다리 입구부터 아일랜드캐슬을 잇는 작은 길이지만, 지역 주민에겐 ‘나만 아는 봄길’로 불린다. 화려하지 않아도 계절을 놓치지 않는 길, 일상의 품격을 조금씩 더해주는 길이다. 경계숲길을 지나 내부숲길로 이어지는 도심 속 자연과 하늘의 아름다움은 현대인을 위한 시크릿 힐링공간으로 쉼을 찾는 모두에게 도심 속 작은 여행을 선사한다. 도시와 자연이 맞닿는 경계에서 나에게 아주 평범한 보통의 하루를 선사하는 여정을 시작해보자.

불광사(광주)

불광사(광주)

2025-04-17

경기도 광주시 이배재로 225-27 (목현동)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 남한산성 동쪽 기슭에 위치한 전통적인 사찰이다. 고려 중기 때 창건하였다고 추정된다. 이후 6.25 때 소실되었다가 현재 현진스님께서 복원하여 운영 중이다. 무형문화재 영산재 50호 과정을 이수하여 정통방식으로 49재 의식 봉행하고 있는 고즈넉한 사찰이다. 또한, 불광사는 사계절마다 변화하는 자연경관과 함께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명소이다. 불광사는 한국 불교의 깊은 역사와 전통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삼성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음성군 삼성면에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로, 반려견이 목줄 없이 뛰어놀 수 있는 운동장 및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원남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음성군 원남면에 위치하며, 반려견이 목줄없이 뛰어놀 수 있는 반려견 놀이터

보강천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연탄리

증평군 증평읍 보강천체육공원 내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

명월이네

2025-04-18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비봉길 53

제천시 청풍면 농촌테마공원에 위치한 실외 반려견 놀이터

옥천군 반려동물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장찬리

옥천군 반려동물놀이터는 옥천군 이원면이 위치하여 반려견을 위한 운동장, 음수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대형 종합 놀이시설로, 운동장은 중·소형견과 대형견 공간을 분리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