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 거주지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중섭 거주지 정보를 소개합니다.

  • 이중섭 거주지

설명

불운한 시대의 천재화가, 미친듯한 필치로 역동적인 모습을 화폭에 담으면서 화풍만큼이나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던 이중섭. 짧다면 짧다고 할 수 있는 그의 41년 생애만 보더라도 불우한 예술가의 생애를 살다 갔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그의 작품 대부분이 빈곤했던 그의 생애가 마감된 이후에야 비로소 가치를 인정받고 명작의 대열에 올라서는 것을 보면 이런 것 또한 아이러니한 예술의 본질이 아닌가 한다.화가 이중섭은 1916년 평안남도 평원군 조운면 송천리에서 태어났다.지주의 아들로서 어렸을 적 유복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청년기에는 일본 동경에서 유학하기도 하면서 그의 기질을 펼쳐나갔다. 하지만 6.25 전쟁은 그에게 고난과 빈곤의 삶의 시작이었다. 1951년 동란기에 이중섭은 삶과 예술의 자유를 찾아 남하, 제주 서귀포로 향한다. "서귀포가 더 좋소, 서귀포 칠십리에 물새가 운다는 노래도 있지 않소. 임자는 그리 가오"라는 낭만적인 권유가 그를 자극했다고 하지만, 그것도 잠깐, 제주도에서 1년이 채 못되어 부산으로 돌아와 겪게 되는 가족과의 이별. 이후로 그는 더욱 더 파란만장하고 곤궁했던 삶을 살다가 급기야는 정신이상 증세와 영양실조, 마침내 1956년 불우한 삶을 마감하고 영면에 들어갔다.

그의 생애를 보면 한마디로 파란과 불운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그의 많은 작품에서 나타나는 힘과 역동적인 움직임은 이러한 역경과 고통속에서 몸부림치는 그 자신의 내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지기도 한다.한편, 파란 게와 아이들 서귀포의 환상 섶섬이 보이는 풍경 등의 작품은 그가 제주 서귀포에 머무를때 남긴 것으로 서귀포의 아름다운 풍경과 넉넉한 인심 등을 소재로 한 목가적인 작품들이다. 사실 제주에 도착해 여러날을 걸어서 도착한 서귀포에서조차도 생계가 어렵기는 마찬가지였지만 그래도 불행했던 가족사 중 이곳에서의 1년은 행복했던 한 때가아니었나 싶다. 특히<파란게와 아이들은 그의 두 아들과 숱하게 잡아먹었던 게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그렸다는 점이 재미있다. 이 후 제주도를 떠난 후의 작품에서도 그 절을 그린 그림이 많은 것을 보면, 짧은 기간 그의 서귀포 체류는 대향 이중섭의 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제주 서귀포시에서는 천재화가 이중섭과 그의 작품세계를 기리기위해 그가 잠시 살다 간 서귀포 정방동 거주지를 당시 모습으로 복원, 정비하고 정방동 매일시장 입구부터 솔동산까지 360m를 '이중섭 거리'로 지정하여 그의 서귀포 체류 시절을 기념하고 있다. 1995년 11월 이중섭 거주지기념표석이 세워졌고, 이듬해 2월 말 그가 자주 거닐곤 했던 길가는「이중섭 거리」로, 그리고 그 이듬해인 1997년 4월 그가 기거했던 집과 부속건물을 복원, 정리하여「이중섭 거주지」와 그의 호 "대향"을 따라서「대향전시실」로 꾸며 놓고 소개하게 되었다. 이로써 제주 서귀포시의「이중섭 거리」는 한국 최초로 화가의 이름이 붙여진 거리가 되었으며, 더불어 매년 10월말 그의 사망주기에 맞추어 "이중섭 예술제"를 이곳에서 거행, 그의 예술혼을 기리는 행사를 하고 있다.이중섭과 그의 가족 4명이 기거했던 방은 1.3평 정도의 아주협소한 공간으로 명성에 비하여 얼마나 그의 인생이 초라했고 치열했는지 알 수 있다. 전시실은 8평 남짓한 공간에 그의 서귀포 생활이 담긴 작품을 중심으로 서귀포의 추억물고기 등의 그림이 전시되어 있으며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담배 은박지에 그린 은지화 작품으로 6.25전쟁 후 생활고로 인한 그림재료의 열악함을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흥미있는 사실은 당시 이중섭에게 세를 준 할머니가 아직까지 그 거주지에서 살고 있다는 점이다. 한 편의 드라마 같은 삶을 산 예술가 이중섭은 이미 떠나고 없다. 다만 잠깐이나마 그가 머물렀던 이곳 서귀포에서 그의 그림과 삶의 흔적들을 둘러보면서 그의 예술관을 느껴볼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더불어 화가 이중섭의 인간적인 내면의 모습까지도 그려볼 수 있다면남쪽 멀리 여기 제주까지 내려온 예술기행에 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홈페이지

http://www.visitjeju.net/


이용안내

유모차 대여 : 없음

신용카드 가능 : 없음

문의 및 안내 : 064-740-6000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이중섭로 29 (서귀동)

화가의 정원산책

화가의 정원산책

2025-04-22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장학길 34

화가의 정원산책은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에 있는 정원이다. 순천에서 가볼만한 민간정원이며, 약 30년 동안 부부가 가꿔온 곳이다. 면적은 약 3,000평 정도로 서양화가 정원주의 작품처럼 세심하게 가꾸어진 안뜰정원과 산책숲길, 경사진 산을 계단식으로 바꾼 정원과 곳곳의 쉼터 등 정원주의 미학적 철학을 관람할 수 있는 곳이다.

물빛소리정원

물빛소리정원

2025-04-22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도산일주로 1278-57

물빛소리정원은 통영시 도산면에 위치한 정원이다. 꽃과 나무, 자연의 소리가 어우러져 마치 동화 속 한 장면처럼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잔잔한 호수를 따라 산책로를 걷다보면 형형색색의 꽃들과 푸르른 나무들이 반갑게 맞아주는 곳으로 3면의 바다와 아름다운 경관 속에 자리 잡은 정원이 어우러진 수채화 같은 공간입니다. 해안 산책길을 따라 걸으며 사계절 꽃과 정원을 감상 할 수 있습니다.

서울달

서울달

2025-04-2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68-1 (여의도동)

2024년 서울의 신규 야간관광 콘텐츠 서울달(SEOULDAL)은 여의도 상공을 수직 비행하는 계류식 헬륨가스 기구로, 여의도공원 하늘에서 서울의 멋진 야경을 가장 생생하게 즐길 수 있는 체험시설이다. 서울의 화려한 야경을 조망할 수도 있지만 멀리서 서울 야경을 바라보면 서울달(SEOULDAL)도 멋진 서울 야경의 한 부분이 된다. ※ 실시간 기상상황에 따라 비행 여부 결정(홈페이지 참조)

장암숲늘품길

장암숲늘품길

2025-04-21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의정부시 ‘장암숲 늘품길’의 경계숲길 장암동 동막골 굴다리 입구부터 아일랜드캐슬을 잇는 작은 길이지만, 지역 주민에겐 ‘나만 아는 봄길’로 불린다. 화려하지 않아도 계절을 놓치지 않는 길, 일상의 품격을 조금씩 더해주는 길이다. 경계숲길을 지나 내부숲길로 이어지는 도심 속 자연과 하늘의 아름다움은 현대인을 위한 시크릿 힐링공간으로 쉼을 찾는 모두에게 도심 속 작은 여행을 선사한다. 도시와 자연이 맞닿는 경계에서 나에게 아주 평범한 보통의 하루를 선사하는 여정을 시작해보자.

불광사(광주)

불광사(광주)

2025-04-17

경기도 광주시 이배재로 225-27 (목현동)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 남한산성 동쪽 기슭에 위치한 전통적인 사찰이다. 고려 중기 때 창건하였다고 추정된다. 이후 6.25 때 소실되었다가 현재 현진스님께서 복원하여 운영 중이다. 무형문화재 영산재 50호 과정을 이수하여 정통방식으로 49재 의식 봉행하고 있는 고즈넉한 사찰이다. 또한, 불광사는 사계절마다 변화하는 자연경관과 함께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명소이다. 불광사는 한국 불교의 깊은 역사와 전통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삼성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음성군 삼성면에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로, 반려견이 목줄 없이 뛰어놀 수 있는 운동장 및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원남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음성군 원남면에 위치하며, 반려견이 목줄없이 뛰어놀 수 있는 반려견 놀이터

보강천 반려견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연탄리

증평군 증평읍 보강천체육공원 내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

명월이네

2025-04-18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비봉길 53

제천시 청풍면 농촌테마공원에 위치한 실외 반려견 놀이터

옥천군 반려동물 놀이터

2025-04-18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장찬리

옥천군 반려동물놀이터는 옥천군 이원면이 위치하여 반려견을 위한 운동장, 음수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대형 종합 놀이시설로, 운동장은 중·소형견과 대형견 공간을 분리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