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문화 정보를 소개합니다.

얼음골축음기소리박물관(밀양)

얼음골축음기소리박물관(밀양)

2025-08-08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산내로 926-1

얼음골축음기소리박물관은 주변에 영남의 알프스라 불릴만큼 산세가 아름답고 맑은 계곡과 명품 얼음골 사과의 주산지이며 밀양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밀양 얼음골 입구 대로변에 자리 잡고 있다. 1층에는 기획전시실, 제1전시실이 있으며 2층에는 2, 3, 4 전시실과 교육실이 갖추어져 있다. 초기 소리 과학 유물인 태엽식 축음기, 진공관 전축, 진공관 라디오, 초기 전화기 등 소리 과학기술을 주제로 한 유물을 보존 전시하고 있다.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서울)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서울)

2025-06-17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29

경운박물관은 2003년 경기여고 동문이 뜻을 모아 2003년에 설립하였다. 개관 전 ‘근세복식과 우리 문화’를 시작으로 40회의 기획전을 통해 근세 왕실복식과 근·현대복식 및 직물 소장품의 아름다움과 학술적 역사적 가치를 알리려 노력해 왔다. 기획전시와 도록 발간 외에도 수준 높은 아카데미 강좌, 전시와 연계된 체험학습 교육, 대한제국 황제 12장복과 적의, 황룡포, 흑단령 재현 작업 등은 동문으로 구성된 자원봉사자들의 재능기부 결과물이다. 이처럼 경기여고 경운박물관은 역사와 전통이 숨 쉬고 세대 간 대화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아름다운 문화공간이다.

앤갤러리

앤갤러리

2025-03-26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로 95

N Gallery는 작가와 대중에게 작품을 매개로 하여 예술과 더 친밀히 교감할 수 있고 다가설 수 있는 아름다운 문화공간을 제공하고자 2008년에 개관하였다. 국내외 중진 작가는 물론 신인작가를 아우르는 초대전, 기획전을 전개하여 국내 미술 문화의 발전과 국제 미술계와의 교류 활성화에 역동적인 역할을 해 나가고 있으며, 또한 미술 전시뿐만 아니라 기업행사 및 세미나, 공연 등 다양한 문화 활동을 통해 복합미술공간으로 나아가고 있다. 전문적인 기획력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개인과 기업의 문화 예술활동 지원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며 이들을 문화예술과 하나로 엮는 아트 컨설팅 업무 또한 활발히 진행중이다.

풀짚공예박물관

풀짚공예박물관

2025-09-04

경기도 광주시 문형산길 76 (신현동)

풀짚공예박물관은 풀과 짚을 이용해서 만든 민속 생활 도구와 공예품을 수집하고 연구·전시와 교육을 하는 박물관이다. 고대 농경 사회부터 생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초고(草藁) 공예 기능은 구전(입)으로만 전해져 왔으며,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긴 설립자 전성임 관장은 풀과 짚을 이용한 공예 분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전국의 장인들을 찾아다니며 그 기술을 습득하고 재료의 특성과 지리적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전통문화유산이 급속히 사라져 가는 오늘날, 풀·짚공예가 더 이상 잊혀가는 옛 것이 아니고, 교육적이고 환경적이며, 예술적인 가치가 있는 우리의 문화유산임을 인식시키기 위해 본 박물관에서는 풀·짚공예의 전통적 가치를 계승하는 교육의 장으로서 과거에서 현재와 미래로 이어지는 창조적인 공예 예술 분야가 되도록 연구와 교육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벽봉한국장신구박물관

벽봉한국장신구박물관

2025-06-26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48-38

벽봉한국장신구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의 격조와 품격을 알리기 위하여 2014년 무형유산이 설립한 1종 전문 박물관이다. 선시대 왕실과 반가에서 사용한 한국의 전통장신구와 옥공예품에 관련된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의 소장품은 대부분 국가무형유산 옥장 김영희 선생님의 작품으로, 조선시대 왕실에서 사용된 궁중 장신구의 복원, 복제한 작품과 문양을 응용한 현대 창작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살려 문화유산과 전통기술에 대한 가치를 향유하고 보편화를 위한 노력을 통해 전통문화에 대한 친밀함을 높이고자 한다.

범패민속문화박물관

범패민속문화박물관

2025-03-17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70번길 11-13

인천 미추홀 구청 근처에 총 300여㎡ 전면적이 박물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중 하나인 범패와 작법무에 관련된 유물, 국내외 불교의식 법구 및 민화를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 내부에는 범패와 관련된 악기, 의상, 문서 등을 비롯해, 한국의 전통 의식과 제례 문화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깊은 인식을 제공한다. 이곳은 지역 주민들과 관광객들에게 한국의 고유한 문화유산을 이해하고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장소이다.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2025-09-02

부산광역시 남구 홍곡로320번길 100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은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의 실상을 규명함으로써 성숙한 역사의식을 고취하고, 인권과 세계평화에 대한 국민 교육의 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일제 강점기 때 부산항이 대부분의 강제동원 출발지였고, 강제동원자의 일부가 경상도 출신이었다는 역사성과 접근성 등을 감안하여, 2008년 9월 부산에 건립 방침을 확정했다. 역사관 내부에는 정부에서 수집한 강제동원 수기, 사진, 박물류 등을 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를 추모할 수 있는 추모탑과 기억의 터(위패관)가 마련되어 있고, 미래세대에게 평화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한 어린이체험관과 어린이 도서관 다독다독이 있어 '유족을 위한 추도, 기념시설'로서의 역할은 물론 '일제강제동원 역사 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해든뮤지움

2025-07-24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장흥로101번길 44

해든뮤지움은 2013년 개관한 사립미술관으로 교육, 문화, 예술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 위치한 예술 공간이다. 그동안 샤갈, 프랭크 스텔라, 로이 리히텐슈타인, 백남준, 김환기, 이우환 등 국내·외 작가들의 소장품 기획전과 한국 거장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소개함으로써 대중들이 현대미술과 친숙한 기회의 장이 되도록 노력해 왔다. 전시회뿐만 아니라 문화생산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기존 92석 세미나실 외에 창작 프로그램과 강연이 가능한 144석 교육관을 신설하고 교육프로그램도 확충했다. 강화도의 수려하고 아름다운 자연과 어우러진 뮤지엄의 모던한 건축물도 눈길을 끈다. 자연과 어울림, 소통을 콘셉으로 한 뮤지엄은 건축물 자체가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아 2013년에는 한국건축가협회에서 시상하는 ‘한국에서 가장 뛰어난 건축물 베스트 7’에 선정됐다.

홍주성역사관

2025-07-18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0

홍주성역사관은 홍성 홍주읍성 내 위치하고 있다. 지역의 전통을 부각시키면서 동시에 역사에 바탕을 둔 미래지향적인 시설로 구성되었으며, 역사관의 기본적 기능에 충실하여 전시 유물의 상징적 의미와 예술적 요소를 함축성 있게 표현하여 이를 바탕으로 군민 참여와 소통의 장이자 연구의 중심지로서 지역 정보 센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홍성과 충남 내포지역의 특색 있는 역사와 문화, 관련 유적 및 유물을 소재로 전시를 하고 있다. 박물관 주변에 옛 홍주목 관련 흔적들이 남아 있어 전시와 연계한 볼거리가 마련되어 있다.

산청박물관

2025-04-23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산수로 1064

경남 산청군의 생초국제조각공원 내에 위치해 있으며, 산청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보존·전시·교육하기 위해 2011년 설립되었다. 박물관은 생초국제조각공원 내에 위치하여 생초 가야고분군, 어외산성 등의 유적지와 세계적인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역사문화공간이다. 또한 산청의 주요 문화예술교육기관으로 산청의 유·무형 문화유산에 담긴 정신과 가치를 미래로 이어나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