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박물관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경북대학교박물관 정보를 소개합니다.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북대학교박물관

설명

경북대학교 박물관은 1959년 개관 이래 유물의 수집과 보존, 전시, 연구 등을 통하여 대구, 경북지역의 문화유산 연구에 기여해 왔다. 박물관의 소장품으로는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7점을 포함하여 선사시대부터 근대 민속자료에 이르기까지 7천여 점의 수집품과 4만여 점의 발굴품을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은 7개의 실내 상설전시실과 야외 전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상설전시실은 순서대로 선사·삼국실, 가야·통일신라실, 고려실, 조선실, 민속·국악기실, 근대문화실이 있으며 제7전시실은 월파원 언덕 정상에 위치하여 최고의 전망을 자랑하는 석조물 전시실로 훼손이 우려되는 문화재들을 실내 전시하여 특별 관리를 하고 있다. 월파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답게 조경된 야외 박물관 가운데 하나로 1965년에 조성되었다. 경북대학교 박물관은 문화강좌, 문화유적답사, 특별전시회 등 사회교육과 전시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며, 초등학생 이상 학생 단체 관람객 가운데 신청팀에 한해 소장 유물 설명을 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홈페이지

http://museum.knu.ac.kr


이용안내

문의 및 안내 : 053-950-6536
053-950-6537

주차시설 : 가능

주차요금 : - 30분이내 1,000원 / 30분경과 매 10분당 400원
- 일 최고 : 평일 30,000원 / 토·일·공휴일 8,000원

쉬는날 : 일요일 / 공휴일

이용요금 : 무료

이용시간 : 10:00~17:00(입장마감 16:30)

규모 : 전체 부지면적 16,000㎡(4,840평)
건물면적 2,176㎡(1,660평)
지상 3층, 반지하 1층의 철근콘크리트 건물과 야외전시장 13.824㎡(4,183평)


상세정보

체험프로그램
[박물관 역사문화 교실]
- 경북대학교박물관의 전시와 연계한 한국의 역사문화 교육
- 대상 : 초·중·고(상시운영)
[박물관 전문직 체험(고고학자)]
- 발굴역사를 배우고 발굴에서 전시까지 고고학자의 역할을 이해
- 대상 : 초·중·고(별도협의)
[박물관 전문직 체험(보존과학자)]
- 보존과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배우고 박물관 보존처리실 견학 및 체험
- 대상 : 초·중·고(별도협의)
[박물관에서 놀아요]
- 박물관 관람예절을 배우며 문화재의 소중함을 체득
- 대상 : 유치원(별도협의)

소장품현황
수집품7,000여점(국가지정문화재7점포함)/ 발굴품 40,000여점

한국어 안내서비스
휴대용 음성전시안내기 대여
- 대여일시 : 10:00~16:00
- 대여장소 : 박물관 1층 안내실
- 대여방법 : 안내실에서 신분증을 맡기고 대여
- 대여료 : 무료
- 음성안내시간 : 총 1시간 30분

대관안내
053-950-6537(학예사 구지혜)

예약안내
단체관람 : 학생 단체 관람 예약 신청서 작성 후 메일 발송
https://museum.knu.ac.kr/html/guide/02.php

위치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산격동)

1934 기차 동래역

1934 기차 동래역

2025-04-22

부산광역시 동래구 낙민로 28 (낙민동)

기차역 동래역은 1934년 일제강점기 동해남부선 개통과 함께 부산과 울산을 잇는 철도 교통의 요충지로 깊은 역사를 지니고 있다. 또한, 동래 지역의 산업화와 도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던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동래역이 지닌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당시의 건축 양식과 구조 일부를 그대로 활용하는 등 2023년 구 동래역사 복원공사 및 2024년 내외부 전시시설 공사를 거쳐, 2025년 2월 '1934 기차 동래역'이라는 전시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시설 내부에는 동래역에 얽힌 근현대사적 가치를 소개하는 전시 공간과 역무원 제복을 입어볼 수 있는 체험 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광장에는 증기 기관차 1량이 있어 기차역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오아르미술관

오아르미술관

2025-04-23

경상북도 경주시 금성로 260-6 (노서동)

오아르(OAR)미술관은 ‘오늘 만나는 아름다움’이라는 뜻으로, 경주 출신의 개인 컬렉터 김문호 관장이 2005년도부터 수집한 개인 소장품 약 600점을 가지고 설립한 사립 미술관이다. 경주시 노서동 고분군 공원 부지에 위치한 미술관은 지상 2층, 지하 1층으로 연면적 1594.06㎡ 규모의 신규 건축물로 신라 시대 왕과 왕비의 고분이 함께 있는 경주 대릉원 옆에 위치하고 있다. 오아르 미술관은 한국의 전통 예술과 세계적인 현대 미술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예술적 아지트를 지향한다. 특히, 천년 고도 경주의 전통과 현대의 예술이 만나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고, 다채로운 전시, 교육, 행사, 아카이브를 통해 누구나 쉽게 현대미술을 접하고 향유할 수 있는 경주의 새로운 예술적 랜드마크이다.

함석헌기념관

함석헌기념관

2025-03-26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123길 33-6 (쌍문동)

함석헌기념관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인권 운동가로 '씨알의 소리'를 창간하고 시인, 교육자, 사상가, 언론인, 역사가로서의 삶을 살았던 함석헌 선생(1901~1989)을 기리기 위해 마지막 여생을 보내셨던 도봉구 쌍문동 집을 보존, 리모델링하여 작은 기념관 형식으로 건립한 곳이다. 함석헌 선생이 생활하셨던 지상 1층은 선생의 유품 전시, 발자취, 영상 상영 등 전시실로 구성하였으며, 창고로 사용하셨던 지하 1층은 세미나실, 도서열람실, 게스트룸 등 주민커뮤니티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그 외에도 씨알갤러리와 주민공간으로 유리온실과 앞마당 쉼터가 조성되어있다. 함석헌기념관은 작지만 알차고 의미 있는 함석헌 선생을 널리 알리고 주민들에게 편안하고 뜻깊은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넷마블게임박물관

넷마블게임박물관

2025-03-31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26길 38 (구로동)

넷마블게임박물관은 게임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조명하고 있다. 국내외 게임 소장품을 만나볼 수 있는 전시 공간이며 다양한 게임 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학습 공간이자 게임을 직접 플레이할 수 있는 놀이 공간이다. 초기 콘솔 게임기부터 비디오 게임기, 게임 소프트웨어, 기타 게임 관련 소장품 등 게임 관련 소장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전시장은 게임 역사, 게임 세상, 게임 문화 등 3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외 게임 산업의 발전사, 게임의 메커니즘, 게임 체험 공간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게임 문화 테마 공간의 '플레이 컬렉션'에서는 고전 아케이드, 콘솔, PC 게임들을 즐길 수 있어, 아이들에게는 재미를 제공하고 어른들에게는 추억을 선사한다.

KOICA 월드프렌즈빌리지

KOICA 월드프렌즈빌리지

2025-03-20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주천면 다래골길 53

KOICA 월드프렌즈빌리지는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에 위치하고 있다. 대한민국 대표 원조기관 KOICA의 해외봉사단 교육 기관 영월글로벌인재교육원에 부속된 월드프렌즈 빌리지는 KOICA 파견국 및 협력국 국가들의 문화를 전시관람(도슨트)과 의상체험, 악기 체험 등을 통해 직접 만나볼 수 있는 공공 전시체험관이다. 중앙아시아관에서는 실크로드의 상업중심지였던 중앙아시아의 상인과 낙타들의 이야기와 우즈베키스탄의 생활,전통의상, 악기 및 공예품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서남아시아관에서는 히말라야의 인사말 ‘너머스떼’를 배우면서, 네팔의 역사와 신들의 이야기 ‘티카’와 신비한 소리가 나는 ‘싱잉볼’체험, 불교 경문이 새겨져 있는 ‘마니차’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동북아시아관은 광활한 초원과 유목민의 문화가 살아 있는 몽골에서는 유목 생활이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며 발전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전통 가옥인 게르를 만들기 위한 ‘어니슨’게임 체험과 ‘샤가이’게임, 그리고 전통의상 ‘델’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동남아시아관에서는 황금빛으로 물든 미얀마의 불교문화를 체험하고 일상복인 론지를 입어 볼 수 있다. 미얀마의 전통 있는 수공예 우산인 ‘파테인’을 만나 볼 수 있으며, 자연 선크림 ‘타나카’도 체험할 수 있다. 아프리카관은 적도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동물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이다. 이를 통해 기후 변화와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생각해볼 수 있으며 르웬조리 국립공원과 빅토리아 호수의 웅장한 자연을 경험하고 다양한 악기를 체험할 수 있다. 개발협력관에서는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역사를 돌아보고, 개발도상국을 돕기 위한 국제사회의 다양한 협력 활동을 알아볼 수 있다. 대한민국이 한때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로 성장한 과정과, 코이카가 수행하는 국제개발협력 활동을 알수 있다.

평택항 홍보관

평택항 홍보관

2024-12-26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로 98

평택항 홍보관은 경기도 평택시에 위치한 전시관으로, 평택항의 역사, 발전 과정, 미래 계획 등을 소개한다. 다양한 전시물과 영상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전망대에서 평택항의 전경도 감상할 수 있다.

여의샛강도서관

여의샛강도서관

2024-12-2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여의도동)

여의샛강도서관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이다. 이 도서관은 다양한 분야의 도서와 전자책을 제공하며, 3D 프린터 등 다양한 메이커 기기를 갖춘 메이커스페이스 공간도 운영하고 있다. 1층은 북카페와 열람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층은 통창을 통해 아름다운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열람실이 있다. 또한, 어린이 도서 약 5,000권을 포함하여 총 12,000여 권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어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다양한 독서 자료를 제공한다.

우리소리도서관

우리소리도서관

2024-12-23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30길 47 (익선동)

서울 종로구 익선동 한옥 골목에 자리한 우리소리도서관은 국악을 주제로 한 국내 유일의 특화 도서관이다. 2017년 12월에 문을 열어 국악의 멋과 아름다움을 알리고, 누구나 쉽게 국악을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부평아트센터

부평아트센터

2024-12-23

인천광역시 부평구 아트센터로 166 (십정동)

뉴평리도서관

뉴평리도서관

2024-12-22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로73길 37 (평리동)

평리도서관은 2023년에 새롭게 문을 열어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도서관이다.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 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문화홀, 힐링라운지, 공동육아나눔터, 북다이브룸, 디지털갤러리 등 다양한 공간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