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이네 벌교꼬막 일산본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단이네 벌교꼬막 일산본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단이네 벌교꼬막 일산본점

단이네 벌교꼬막 일산본점

12.4 Km    0     2024-06-25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봉로 415

단이네 벌교꼬막은 탄현공원 근처에 있는 꼬막전문점이다. 붉은 벽돌 건물로 매장 앞에 주차장이 있어 주차를 편하게 할 수 있다. 내부는 깔끔하고 테이블이 여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간장양념 꼬막 쌈을 직접 개발한 곳으로 유명하다. 전남 벌교에서 직접 채취해 직접 손질한 생물 꼬막만을 사용하고 생골뱅이도 강원도 동해안에서 채취한 자연산을 사용한다. 이곳은 점심 메뉴로 꼬막 비빔밥(생물), 얼큰 김치 칼국수, 간장양념 꼬막이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되어 있고, 메뉴 중 간장양념 꼬막, 꼬막 비빔밥(생물), 얼큰 김치 칼국수, 두부김치, 구운 김은 포장할 수 있다.

DMZ 평화 걷기

DMZ 평화 걷기

12.5 Km    2     2023-04-23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로 148-40 평화누리
운영 사무국 : 1566-1936

DMZ 일원을 스포츠로 즐긴다. DMZ 일원으로 더 큰 평화를 여는 희망의 대질주! DMZ RUN을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일원에서 개최한다. DMZ RUN은 평화 걷기, 평화 마라톤 총 2개 행사를 아우르는 말로 DMZ 일원을 직접 뛰고, 타고, 걸으며 평화의 의미를 되새기고 생태적 가치를 몸소 느끼는 체험의 장이다. 특히 평화 걷기는 군 순찰로를 활용한 임진강변 생태탐방로 코스를 포함하고 있어 철책을 옆에 끼고 임진강 너머 민통선 풍광을 즐길 수 있는 트레킹이 될 것이다.

DMZ OPEN 페스티벌

12.5 Km    1     2024-06-17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로 148-40 평화누리
031-956-8311

2024년 DMZ OPEN 페스티벌이 다시 돌아왔다. DMZ OPEN은 닫힌 DMZ의 문을 열어 전문가부터 일반인 모두에게, 학술부터 스포츠, 예술까지 다양한 장르의 오픈을 상징하는 축제이다. 2024년 5월 9일부터 11월 16일까지, 경기도 DMZ에서 진행되며, 주요행사로는 [DMZ 느끼다] 전시·콘서트·국제음악제, [DMZ 생각하다] 포럼·해커톤·강연·오픈랩, 그리고 [DMZ 걷다] 걷기·마라톤 등이 준비되어 있다.

2023 평화누리 피크닉 페스티벌

12.5 Km    2     2023-08-22

경기도 파주시 임진각로 148-40 평화누리
031-956-8311

연인, 친구, 가족과 함께 특별한 시간을 즐기는 방법! 자. 신. 있. 게. 소개한다. 2023년 9월 23일 5년 만에 돌아온 평화누리 피크닉 페스티벌! 2023년 가장 인기 있는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마음껏 즐길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임진각 평화누리의 드넓은 잔디에 누워 음식과 함께 소풍 온 듯 페스티벌을 즐겨보길 바란다!

샘뜰두부집

샘뜰두부집

12.5 Km    0     2023-11-03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사목로 227

샘뜰두부집은 DMZ 대성동 마을에서 직접 기른 장단콩을 사용하여, 매일 아침 가마솥에서 만든 두부만을 판매한다. 100% 장단콩 두부 전문점으로 두부로 만든 다양한 두부 요리를 맛볼 수 있다.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두부보쌈이다. 가족 단위로 많이 찾는 곳으로 건강한 두부 요리를 즐길 수 있다.

판문점

판문점

12.5 Km    46934     2024-01-04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48-40

판문점은 한국 전쟁 당시 정전 협상이 진행된 곳으로, 공식 명칭은 군사정전위원회 JSA(공동경비구역)이다. 동서 800m, 남북 600m 크기로, 남과 북 어느 쪽에도 속해있지 않은 곳이다. 판문점은 원래 군사분계선이 없고, 유엔사 군인과 북한군이 자유로이 다니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1976년 북한이 미군 장교 2명을 도끼로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한 후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양측 경비대원이 서서 경비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판문점의 옛 명칭은 널문리다. 널문을 한자로 쓰면 판문(板門)이고 주막을 의미하는 점(店)을 붙여 만들었다. 1951년 정전협정을 위해 유엔과 중공군은 38선에서 가장 가까운 마을인 널문리의 한 주막에 임시 막사를 설치했다. 중공군이 협상 장소를 알아보기 쉽도록 널문리 주막을 한자어로 판문점(板門店)이라 써 붙인 것이 그대로 지명이 됐다. 판문점은 군사분계선을 기준으로 남쪽에는 평화의 집과 자유의 집이, 북쪽에는 통일각과 판문각이 있다. 군사 분계선 위로는 각각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T1), 군사정전위원회 본회의실(T2)과 소회의실(T3)로 사용되는 푸른색 건물 세 채가 자리 잡고 있다. 1953년 휴전 협정 당시 임시(temporary)로 지었다는 뜻에서 T가 붙었다.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로 유명해진 판문점은 돌아오지 않는 다리, 옛날 경의선 장단역사, 버려진 기관차 등도 볼 수 있다. 판문점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미리 견학 신청을 하여야 하며 임진각에 있는 견학 안내소에서 출발하는 버스로 판문점 견학을 하면 된다.

연보람목장

연보람목장

12.5 Km    1     2023-11-04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서암리

김포시 서암리에는 낙동 체험이 가능한 목장이 있다. 논이 보이는 시골길을 따라 가다보면 플레이존이 먼저 보이고 이곳에 주차를 한 뒤 안쪽으로 더 들어가면 연보람 목장이 나타난다. 행복한 젖소, 건강한 우유를 신념으로 하는 연보람목장은 깨끗하게 관리된 목장과 다양한 즐길거리로 가족단위 방문객에게 인기만점이다. 대규모 목장은 아니지만 잘 관리된 체험장과 카페, 놀이시설이 알차게 구성되어 있어 아이들이 지루할 틈이 없다. 하루에 2번 진행되는 체험 수업은 어린 송아지에게 직접 우유 주기, 목장안에 있는 동물들에게 먹이 주기, 부모님과 함께 치즈와 피자 만들기로 구성되어있다. 피자가 구워질 동안 야외로 나가서 트랙터를 타기도 하고 직접 젖소의 젖을 짜보는 경험도 할 수 있다. 마무리로 직접 만든 피자 시식까지 그야말로 꽉 찬 구성에 아이와 부모 모두에게 만족감을 선사한다. 플레이존은 어린이 방문객들의 놀이공간으로 시간제한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연보람목장은 순수한 눈빛의 동물들을 직접 만져보고 먹이를 주는 체험을 통해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소중한 추억을 선물하는 공간이다. 예약제 운영으로 전화나 문자보다 네이버예약 후 방문 가능하다.

파주뼈칼국수 교하제면소

파주뼈칼국수 교하제면소

1.3 Km    1     2024-02-15

경기도 파주시 평화로 725 GMANT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에 있는 칼국수 전문점이다. 대표메뉴인 뼈 칼국수는 돼지 목뼈 부위만으로 만든 진한 육수가 일품이다. 비빔 칼국수는 직접 자른 면에 배를 직접 갈아 만든 양념장을 넣어 매콤하면서도 새콤달콤한 맛을 느낄 수 있다. 고기만두는 돼지고기와 부추, 각종 신선한 채소를 더하여 직접 만들기 때문에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세 가지 메뉴가 전부이며, 그 외 공깃밥, 음료수, 주류가 준비되어 있다. 칼국수에 고명으로 올라간 돼지고기를 마늘 향이 나는 간장소스에 찍어 먹으면 조화로운 맛을 느낄 수 있다. 매장 앞 주차 공간이 여유로워서 주차하기에 편리하다.

카페8794

카페8794

12.5 Km    2     2024-02-26

경기도 파주시 통일로2010번길 36

카페 8794는 ‘87년생, 94년생 부부가 운영하는 카페’라는 의미로 지은 곳이다. 창고형 매장으로 내부가 넓고 쾌적하며, 여러 명이 앉을 수 있는 대형좌석이 구비되어 있다. 8794 시그니처 밀크티와 8794 바닐라우유 등 시그니처 메뉴가 있으며, 딸기우유, 루비 복숭아 아이스티, 히비스커스 레몬아이스티 등의 메뉴가 인기가 많다. 또 아이스크림 누룽지, 각종 조각케이크와 베이커리 등 여러 가지 디저트도 함께 판매하고 있다.

도라산역

12.5 Km    38258     2024-06-03

경기도 파주시 희망로 307 도라산역

도라산은 신라가 패망한 후 고려에 항복한 경순왕이 산마루에 올라 신라의 도읍을 그리며 눈물을 흘렸다 하여 도라(都羅)라 하였다고 한다. 도라산역은 현재는 민통선 안에 있다.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철도역 중 하나인 도라산역의 출발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경의선 복원 사업에 의해서였다. 이렇게 시작된 경의선 복원 사업에 의해 2002년 2월 도라산역이 개설되었고 남쪽의 임진강역까지 4km 구간을 연결하는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후 정식으로 영업을 개시한 것은 같은 해 4월 11일이다. 민통선 안에 들어선 역사를 짓는 일은 쉽지 않았다. 지뢰 등의 위험 요소로 간이 역사까지 고려되었을 정도였다고 한다. 또한 군 작전상의 문제로 실제 설계보다 역의 지붕이 낮게 시공되었으며 북한군이 도라산역사를 점거할 경우를 대비하여 남쪽 방향에는 창문이 없는 형태로 설계, 시공되어 일반인들에게 관광코스로 개방되었다. 이곳에서 KBS 평화 음악회가 열리고 김대중 대통령과 미국의 부시 대통령이 방문하여 세계적인 관심을 모았으며 외신에서도 참신한 관광지로 전하기도 하였다. 문산역까지 전철을 이용한 후 문산에서 도라산역행 기차를 이용하는 코레일의 DMZ-train과 경기도 DMZ 평화열차를 이용하여 도라산역과 인근 관광이 가능하였으나, 코로나 사태와 남북 관계 긴장으로 인해 전 역인 임진강역까지 경의·중앙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도라산역 방문은 중단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