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Km 2025-07-3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중로 15 (영등포동4가)
OPCI는 실감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몰입형 전시공간이다. 홀로그램, 이머시브 프로젝션 맵핑, 인터랙티브 콘텐츠 등 다양한 뉴미디어아트 기술이 접목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 이색적인 공간으로, 차별화된 체험형 전시 공간을 즐길 수 있다. 단순히 바라만 보는 전시가 아닌 직접 작품 속의 등장인물이 되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곳을 만들었다. OPCI에 방문한 관람객들은 작품 속 주인공이 되기도 하고, 귀신들을 직접 해치우는 퇴마사가 되기도 한다. 전시 공간을 직접 체험하고 즐기면서 놀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다는 점이 다른 일반 전시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20.0Km 2024-05-2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846
비비드하고 볼드한 컬러의 8가지 공간으로 구성된 사진맛집 겟댓샷. 풍부한 크림 필링 가득한 비비드한 컬러의 컵케이크 메뉴부터, 매장색을 닮아 색감 끝판왕인 음료 메뉴까지! 매장 분위기에 한 번, 음식 맛에 또 한 번 놀라게 될 유니크한 공간이다.
20.0Km 2024-02-05
서울특별시 강서구 초원로 77
꾸이꾸이돼지촌쭈꾸미는 서울 신방화역 1번 출구 인근에 위치한 쭈꾸미요리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국내산 쭈꾸미와 부추의 조합인 부추꾸미이다. 이 메뉴는 TV 프로그램에 소개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또, 부추꾸미에 삼겹살을 추가하여 굽는 부추삼겹도 인기가 많다.
20.0Km 2025-03-24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나루설미길 16 (대부북동)
대부도 바르바커피 타워360은 360도 회전하는 카페에서 바다와 산의 조망을 느끼며 커피와 베이커리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타워가 한 바퀴 도는 시간은 한 시간 정도 소요되고 같은 자리에서 한 바퀴 도는 동안 바뀌는 전경을 보며 차를 마시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카페 옆에는 유리온실의 대형 식물원 카페가 있어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보며 차를 마실 수 있고, 또 한쪽으로는 커피 박물관이 자리하고 있어 커피에 대한 설명들과 커피 그라인더, 고풍스러운 커피잔 등 오래된 소품들이 전시되어 있어 카페를 찾아온 손님들에게 지루하지 않은 볼거리를 제공해 준다.
20.0Km 2024-01-24
서울특별시 강서구 강서로 381-7 예원빌딩
마곡동에 있는 설화랑 본점은 셰프가 직접 선별하고 숙성, 손질한 1++등급 한우를 취급하는 무항생제 숙성한우 전문점이다. 발산역 1번 출구에서 가까우며 발레주차를 할 수 있다. 메뉴로 숙성 설화등심, 다이아몬드양념등심 등이 있으며 차별화된 한우오마카세 다이닝을 경험할 수 있다. 단체 룸도 완비하고 있어서 예약하면 프라이빗한 단체 룸 이용도 가능하다.
20.0Km 2025-06-19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80 (관양동)
마부시는 ‘그릇에 음식을 가득 담다’라는 뜻으로 이름의 의미처럼 제철 재료를 활용한 본연의 자연스러운 맛을 끌어내는 조리법으로 주문과 동시에 손님 앞에서 바로 조리하는 곳이다. 장인이 정통 방식 그대로 만든 푸짐한 한상차림을 눈으로 한 번, 입으로 또 한번 즐길 수 있다. 전국 산지에서 매일 들어오는 엄선된 야채와 생선, 고기를 검수하고 손질하며, 모든 음식은 매일 아침에 직접 우려낸 육수로 만들어 진한 풍미를 느낄 수 있다. 또 최근 도정한 질 좋은 쌀로만 밥을 짓고 소량씩 자주 지어 최상의 상태인 밥을 제공하여 믿고 안전하게 먹을 수 있다. 마부시의 대표메뉴는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의 향토요리인 ‘히츠마부시’와 우니, 전복, 신선한 제철해산물이 추가된 모리코무 스페셜 훗카이도식 덮밥인 ‘스페셜카이센동’이다. 이외에도 따뜻한 사누키우동인 니꾸 온우동, 특제 간장소스를 발라가며 숯불에 3번 구워 만든 민물장어가 올라간 우나기 냉소바 등이 있다.
20.0Km 2021-03-15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291
02-3662-3015
곱창은 돼지 내장을 채소와 볶은 한국의 대중 요리다. 대표메뉴는 곱창이다.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20.0Km 2025-08-05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로3길 35 (신림동)
서울대학교 정문 인근에 있는 관악문화원은 지역 사회 발전과 구민의 문화 욕구 충족에 기여하고 구민의 정서 함양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관악문화원에는 다양한 문화 학교 강습을 이용할 수 있다. 한글서예반, 사군자, 동양화, 서양화, 문학, 전통무용, 건강댄스, 요가, 판소리·남도민요, 소년소녀합창단, 예악(시조창) 등 다양한 문화 학교 강좌들이 마련되어 있다. 문화 학교 강좌는 3개월 단위로 운영이 된다. 또한, 2016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관악 강감찬 축제는 고려의 명장 강감찬 장군을 기리기 위해 관악산과 낙성대 공원 일대에서 거리 퍼레이드, 구민 백일장 등 관악구와 서울시민이 함께 즐기는 주민 주도형 행사를 진행한다. 관악문화원은 수도권 지하철 신림선 관악산역 1번 출구에서 약 28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