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m 21121 2023-03-21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165
1951년 마륵동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재해방지를 위해 축조 주변의 대규모 택지개발(금호,상무지구)로 도시중심에 위치하게 되고, 상류수원 고갈과 오폐수가 유입되어 악취와 해충서식지로 전락하게되어 각종 민원이 유발되던 곳을 '95년 민선 1기 이정일 청장 취임후 년차별 사업추진으로 하수와 오폐수 유입을 차단하고 맑은물을 공급한 결과 자정능력이 회복되어 각종 조류가 날아드는 자연생태공원으로 변모 했다.
10.1 Km 25233 2023-05-03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동촌로 313
1930년 12월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여 1948년 5월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1950년 여순반란 사건으로 역은 소실되어 1956년 7월 신축되었다. 남평역은 광장 쪽이 건물의 후면으로 입면이 비교적 단순하며, 철로 쪽이 전면이다. 남평역은 역무실 돌출부분의 지붕이 맞배가 아니라 모임지붕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이레적인 형태이다. 대합실 위의 박공지붕과 건물의 장방향과 교차되는 박공, 역무실 앞부분의 돌출공간을 덧씌우고 있는 지붕, 그리고 대힙실 앞의 길다란 차양지붕이 건물형태를 뚜렷이 유지하고 있다.
10.1 Km 23859 2022-06-13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50
* 전상의 장군을 모시는 곳, 충민사 *
충민사는 전상의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전상의 장군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공을 세운 장군으로 이후 정묘년에 전사하였다. 난이 끝난 후, 곧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고 이어서 안주로부터 출생지인 광주로 시신을 옮기어 동년 7월 26일 이곳에서 서쪽으로 보이는 평두산에 예장하였다.1977년 광주 지역민들의 뜻을 모아 장군의 묘소를 지방문화재 기념물로 지정하고 1985년 충민사를 준공하였다. 이 곳 충민사에는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을 비롯, 수의문, 정려각, 장군의 유물을 전시한 유물관 등이 있다. 또한 광주고등학교에서 사구동에 이르는 거리를 구성로로 명명하여 그 이름을 기리고 있다.
* 전상의 장군에 대하여 *
전상의 장군은 1575년 광주 구동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남달리 용력과 무술이 뛰어난 장군은 선조 36년(1603) 29세 때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의 초임 발령 이후 내외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광해군 9년(1617)에는 일본에 건너가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때 끌려간 동포 300여명을 귀국시키는데 공을 세웠다. 인조 5년인 1627년 1월 청나라 3만대군이 압록강을 건너 황주에 이르자 인조는 강화도로, 소현세자는 전주로 피난하고 곧이어 정묘강화를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이때 장군은 안주성 싸움에서 5일동안 분전하다가 53세의 일기로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10.1 Km 2060 2022-12-29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1040
박신윤(朴身潤)을 기리는 사당으로 출발한 것인데, <경상도읍지><창원대도호부지>에 “운암서원 재부남오리사화 증호조좌랑우곡박신윤독향 숙묘조임오립사 헌종조갑진 인도논호(雲巖書院 在府南五里沙火 贈戶曹佐郞愚谷朴身潤獨享 肅廟朝壬午立祠 憲宗朝甲辰 因道論號)”라 기록하고 있다. 위의 기록으로 보아 운암서원은 1702년(숙종 28)에 사당으로 건립되었다가 1844년(헌종 10)에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1871년(고종 8) 서원철폐령으로 폐원되고 5년 뒤인 1876년(고종 13)에 중건되어 밀양박씨 문중의 재실로 사용되어 오다가 1949년부터 석채(釋菜)를 봉행하였다. 그 후 종회에서 서원 복원을 계획하여 오다가 2001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3년 후에 완공하였다. 이 때 제향인물이 달라져서 종전처럼 박신윤을 단독 배향하지 않고 주벽을 고려조에 판서를 지낸 송은 박익(松隱 朴翊)으로 하고, 송은의 중자(仲子)인 박소(朴昭), 인당의 5세손인 박홍정(朴弘貞)을 추가 배향하였다.
1.0 Km 17609 2022-10-24
광주광역시 서구 금호운천길 31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1924년에 건립된 충주지씨(忠州池氏)들의 서원이자 사우(祠宇)이다. 일제강점기 때 충주지씨들이 호국선현의 애국·애족 정신을 기리기 위해 고려 말 충신 정몽주(鄭夢周), 고려 말 공신 지용기(池湧奇), 조선조 공신 정충신(鄭忠信), 병자호란 때 활약한 지여해(池汝海)·지계최(池繼凗) 등 5인을 향사하여 왔는데, 1924년 지응현(池應鉉)이 이들을 배향하고 영정을 봉안하는 서원을 지었다. 병천사는 1927년 건축공사를 시작하여 1932년에 완공되었는데. ‘천리(天理)를 병집(秉執)한다’는 뜻에서 ‘秉天祠’라 하며 서원의 역할을 겸하였다. 건립 초기의 입지형태는 문중 소유의 「병천사산도(秉天祠山圖)」에 잘 나타나 있다. 앞뒤의 죽림(竹林)과 연못을 배경으로 신문(神門) 1동과 병천사 현전(賢殿) 1동, 영당(影堂) 1동, 존심당(存心堂) 1동, 동재(東齋) 1동, 서재(西齋) 1동, 거경재(居敬齋) 1동이 자리 잡고 있다. 사우는 건좌손향축(乾坐巽向軸)을 중심으로, 위쪽에 선현을 봉사하는 사묘역(祠廟域)과 아래쪽에 교육하는 강학역(講學域)을 두어 전학후묘(前學後廟)의 기본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사묘역은 병천사 현전을 중심으로 앞에 신문이 자리잡고, 신문 앞에는 사적비(事蹟碑)와 묘력비(廟歷碑)가 있다. 현전 오른쪽에는 영당과 문이 현전과 나란히 위치한다. 강학역은 동재인 숭인재(崇仁齋)와 서재인 집의재(集義齋)가 좌우에 자리잡고, 병천사와 마주보며 강당인 존심당이 위치하며, 존심당 오른편에는 사우의 대문격인 광제문(光霽門)이 있다. 병천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전후툇간을 두고 있으며, 간살 없이 통간을 제향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5량가구를 얹고 방풍판(防風板)을 단 고기와의 팔작집으로 내일출목으로 3익공포를 두고 있으며, 외부 의장물에는 긋기단청, 내부에는 금단청을 위주로 하고 있다.
10.3 Km 32579 2022-05-19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광주지역의 대표적인 불교도량으로 무등산 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고승 철감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이 9세기 중엽에 세운 절로 고려 선종 때(1094년) 혜소국사가 고쳐 짓고 조선 세종 때(1443년) 김방이 삼창하였는데 이때 오백나한의 불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09년(광해군 1)에 석경(釋經)·수장(修裝)·도광(道光)의 3대 선사가 4창(四創)했다고 한다. 그 후 신도들의 정성으로 몇 차례 보수가 이루어졌으나, 6 ·25전쟁 때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다가 1970년에야 대웅전을 비롯한 건물들이 복구되었다.
* 증심사의 유물과 문화재 *
증심사의 유물로는 오백전(五百殿)과 비로전(사성전)에 봉안된 철조비로자나불 좌상(보물), 신라 말기의 석탑인 증심사 삼층석탑(지방유형문화재), 범종각, 각층의 4면에 범자가 새겨진 범자칠층석탑 등 수많은 문화재가 있다. 특히 오백전은 무등산에 남아 있는 사찰 건물들 중 현재 가장 오래된 조선 초기(세종 25년)의 건물로 강진의 무위사 극락전과 계통을 같이 하는 정면 3간, 측면 3간의 단층 맞배지붕의 다심포 양식으로 그 희귀성이 돋보인다.이에 1986년 11월 1일 광주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는 사찰 이다.
* 무등산 증심사 템플스테이 *
2008년도에 템플스테이 운영사찰로 지정되어 활발히 운영중이며,2017년 증심사 템플스테이 문화관(숙소 3동,지하강당1동등)을 개관하여 사찰 체험등과 더불어 쾌적한 환경에서 참가자가 숙식을 할수 있게 하였다.
10.3 Km 0 2022-05-19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광주 증심사 입구의 왼쪽 무등산 자락에 위치한 삼애다원(三愛茶園)은 춘설차(茶)의 본고장이다. 춘설차는 녹차가 어떤 음식보다 심신 건강에 좋다는 의미로 의재 허백련(1891~1977) 화백이 붙인 이름이다. 이곳은 총면적 9만9174㎡의 차밭으로, 증심사의 소유로 수백 년을 내려온 곳이다. 1912년 일제강점기 때 한 일본인이 일부를 인수해 본격적인 기업형 차밭으로 개발, 1937년에는 생산량이 연간 5,333kg에 이르렀다고 한다. 예부터 무등산 차는 구례의 지리산, 보성의 대원사 등의 차와 함께 최고의 맛을 인정받았다. 일제가 물러가고 차밭이 방치되자 한국화의 대가 의재 허백련 화백이 이를 맡게 된다. 의재는 차밭에 ‘삼애다원’이란 이름을 붙이고, 여기서 덖어낸 찻잎으로 녹차와 홍차를 생산해 판매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의재의 손자 허달재와 허달문 씨 형제가 3대째 운영하고 있으며, 광주시 전통식품 1호, 광주시 동구 명품으로 선정되는 등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10.3 Km 1556 2016-09-28
무등산은 광주의 모산(母山)으로 일컬어진다. 무등산옛길을 따라 서석대에 오르면 그 까닭을 온몸으로 확인할 수 있다. 광주와 담양에 걸쳐 가슴을 연 무등산의 장관도 누릴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인 증심사에서 출발하면 무등산의 서쪽 능선을 따라 정상까지 오를 수 있다.
10.3 Km 0 2022-09-27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로 748
송산유원지 주변에 있는 버킷문리버는 통유리 너머로 황룡강 뷰를 즐길 수 있는 디저트 카페이다. 대형 주차장, 3층 루프탑, 황룡강 뷰가 카페의 세 가지 장점으로 꼽히지만 무엇보다 커피와 디저트가 맛있다. 시그니처 메뉴는 쑥이 들어간 쑥쑥크림라떼, 딸기파르페, 코코넛커피, 쑥떡 프라푸치노이고 홍콩에서 맛볼 수 있는 에그와플에 우유생크림과 과일, 바닐라 아이스크림이 얹어진 홍콩 와플도 찾는 이들이 많은 인기 메뉴다. 차창 밖으로 흐르는 황룡강 뷰와 산과 들 풍경이 여유와 안식을 찾게 한다. 외곽에 있어서 차를 갖고 이동하는 게 좋다.
1.0 Km 0 2022-10-24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86 상무트윈스
광주시 치평동에 있는 소코아 상무점은 카레 요리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소코아 카레지만 퍄토리 카레, 에비 카레, 키마 카레, 아보카도 연어 냉우동, 아보카도 새우 냉우동 등도 있다. 맛집으로 소문난 만큼 웨이팅이 필수이다. 상무역 6번 출구에서 약 850m 거리에 있고 차량으로 방문 시 건물 지하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단, 1시간만 무료기 때문에 출차 전 확인이 필요하다. 실내는 전체적으로 우드톤의 깔끔한 인테리어로 음식의 맛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플레이팅이 예쁘고 사진찍기 좋아서 연인들의 데이트 맛집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