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Km 2023-08-09
보령의 냉풍욕장은 탄광의 갱도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개념의 여름 피서지다. 땅으로부터 올라오는 서늘한 바람은 한여름의 무더위를 무색하게 한다. 무엇보다 이곳에서 재배되는 각종 버섯을 냉풍욕장내 식당에서 맛볼 수 있다.
17.5Km 2025-03-17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냉풍욕장길 190
보령시 성주산 북쪽 자락에 있는 냉풍욕장은 폭염이 내리쬐는 한여름 피서지를 찾아 바다와 계곡으로 떠나는 이들에게 새로운 별천지와 같은 곳이다. 지하로 수백 미터 이어진 폐탄광 갱도의 땅속 깊은 곳으로부터 서늘한 바람이 외부로 분출되는데, 이 냉풍은 마치 에어컨 바람과 같이 시원하다. 산 중턱에 자리 잡은 냉풍욕장의 입구에 들어서면 외부 기온이 섭씨 30도를 넘는 날에도 섭씨 12도의 차가운 바람을 느낄 수 있다. 50m쯤 기다란 내부를 천천히 걸어가다 보면 어느새 한 여름의 무더위 대신 뼛속까지 스며드는 서늘함을 느끼게 된다. 냉풍욕장의 특징상 외부의 기온이 높을수록 분출되는 냉풍은 더욱 시원하다. 냉풍욕장에 딸린 식당에서는 역시 폐광의 자연풍을 이용해서 재배하는 특산물 양송이 버섯전을 맛볼 수 있다. 주위에는 휴식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청천저수지의 전경을 볼 수 있다. 보령 냉풍욕장은 국도 36호선에서 냉풍욕장길을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 대천 IC와 서천공주고속도로 서부여 IC가 가깝다.
17.8Km 2025-03-16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능계길 60-67
고로서원은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호계리에 있는 조선 후기에 세운 정분(鄭苯)과 정지산(鄭之産)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1924년에 제각(祭閣)인 경모재(敬慕齋)를 축성하였고, 1931년에 대대적인 중수를 하였다. 이때 우연히 부여의 외산(外山)에서 정분의 영정을 발견하자 이를 모사하여 사당에 모시게 되었다. 1982년 정분의 충과 정지산의 효를 기린다는 의미에서 후손들이 충효사라고 명명하였으며, 1994년에 공주 유림과 후손들이 사우와 삼문을 세워 고로서원(古老書院)이라 명하고 정분을 주향으로, 정지산을 종향으로 모시게 되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구조이고, 30칸의 담장이 둘러져 있다. 지금은 사곡면의 진주정 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고로사라는 절을 개조하여 재실로 이용하고 있다.
17.8Km 2024-08-01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월은길 40
영우네 농어촌 관광농원 충남 공주시 사곡면에 자리 잡고 있는데, 공주시청을 기점으로 제민천3길과 생명과학고교차로를 거쳐 20분 가량이면 도착한다. 캠핑장은 숲으로 둘러싸여 자연이 감싸 안은 느낌이라 청량함이 가득하다. 잔디, 파쇄석, 데크 등으로 이뤄진 일반캠핑장 25면을 마련했고, 사이트 간격이 넓어 여유로운 캠핑을 즐길 수 있는데,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출입도 가능하다. 통상 주말에만 운영하지만, 어린이 여름방학 기간에는 평일에도 문을 연다. 이곳은 충남교육청이 인증한 우수 농촌체험학습장이기도 한데, 목공체험지도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한 운영자가 여러 체험 거리를 마련하고 있다. 캠핑장 주변에 천년고찰 마곡사가 있어 연계 관광이 손쉬운데, 공주시 유구읍이 지척간이라 공주 한우 등의 먹거리도 즐길 수 있다.
17.9Km 2025-03-12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나래공원은 대규모 억새 군락지로 이름 높다. 이 덕분에 억새가 장관을 연출하는 가을철이면 이곳을 찾는 방문객이 많다. 억새 숲 사이에 다양한 포토존이 마련되어 있어 기념사진을 남기기에도 좋다. 해마다 다르지만, 억새와 함께 코스모스나 메밀꽃이 함께 어우러지기도 한다. 이곳은 산책로뿐만 아니라 자전거 도로도 잘 정비되어 있어 자전거 라이딩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이 찾는다. 인근에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부여정림사지, 구드래 나루터 선착장, 백제문화단지 등 부여의 내로라하는 관광지가 즐비하다.
18.0Km 2024-05-03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마곡사로 165
오성정육식당 유구점은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유구리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한우 등심이며, 한우 암소갈비, 한우 육회 등 여러 가지 한우를 맛볼 수 있다. 돼지고기는 생삽겹살, 항정살, 갈매기살 등을 판다. 식사류는 육회비빔밥, 냉면, 김치찌개 등이 있다. 유구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유구 색동수국정원과 마곡사가 있다.
18.0Km 2024-12-19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아래안영골길 4
솥뚜껑매운탕은 KBS 2TV VJ특공대 등 여러 방송에 출연한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뒤집은 솥뚜껑 위에 얼큰하게 끓인 매운탕이다. 매운탕은 메기새우탕, 메기탕, 새우탕, 꽃게새우탕으로 나뉜다. 매운탕을 모두 먹은 다음에는 남은 육수에 수제비나 라면 사리를 넣어 먹을 수 있다. 매운탕 외에 삼계탕과 도토리묵도 판다. 식당 1층은 식사를 하는 공간이며, 2층은 커피를 파는 카페로 이뤄졌다. 손님이 몰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2층을 이용하면 된다.
18.1Km 2023-01-11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 백제산성 중 가장 큰 산성, 부여 청마산성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陵山里)에 있는 백제 때 산성. 부여 능산리 명월산에 있는 백제 산성으로, 당시 수도였던 사비를 방어하기 위하여 쌓았다. 골짜기를 성 안에 두고 산 능선을 따라 돌로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전반적으로 성벽이 많이 무너져 있으나, 서쪽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계곡의 물이 흐르는 서쪽 성벽에 수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방어를 목적으로 쌓은 성이라 남문이 없다. 현재 성안에는 적의 움직임을 살피기 위해 높이 쌓은 망대와 각시우물이라 전하는 우물터, 경룡사터, 의열사터와 건물터가 남아있다.
* 청마산성의 의의 *
백제산성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산성으로, 석성산성·성흥산성·증산성과 함께 부여를 보호하기 위한 외곽 방어시설로서 의미가 크다.
18.1Km 2024-10-04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심원계곡로 259-200
백운사(보령)는 보령시 성주산(676.7m) 남쪽 자락에 자리한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공주 마곡사의 말사이기도 하다. 통일신라시대 무주 무염스님이 창건하였으며 당초에는 본산 이름인 숭암산을 따라 숭암사라고 불렀으나 이후 사찰이 높은 곳에 있어 흰 구름 속의 사찰과 같다고 하여 백운사로 명명되었다. 성주산과 심연동계곡 사이의 깊은 산 속에 있어서 수행과 명상을 하기에 좋은 곳이며,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된 부도와 [영식필산신도백운사본]이 있다. 백운사(보령)는 국도 40호선에서 심원계곡로를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 대천IC, 무창포IC와 서천공주고속도로 서부여IC가 가깝다. 주변에는 성주산, 심연동계곡(성주계곡) 외에 보령무궁화수목원, 성주사지, 보령석탄박물관, 보령시청소년수련관, 성주면 소재지 등이 있다.
18.6Km 2024-05-16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심원계곡로 270
심연동계곡(성주계곡)은 충남 보령시 동부 성주산(676.7m) 남쪽에 S자 모양으로 형성된 골짜기이다. [성주골] 동쪽으로 깊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의 심연동계곡은 깨끗하고 시원한 물과 수려한 산세, 알맞은 등산코스가 어우러져 있다. 차갑고 맑은 물이 흐르고 있어 여름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성주산 계곡 일대는 예로부터 화장골이라고 불릴 만큼 산세가 수려하기로 잘 알려진 계곡으로 군락을 이룬 편백나무 오솔길을 따라 산림욕도 즐길 수 있다. 심연동계곡(성주계곡)은 국도 40호선에서 심원계곡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서해안고속도로 대천IC, 무창포IC와 서천공주고속도로 서부여IC가 가깝다. 주변에는 성주산 외에 백운사, 보령무궁화수목원, 보령 성주사지, 보령석탄박물관, 보령시청소년수련관, 성주면 소재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