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M 2025-03-04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184
정읍향교를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인조 16년(1638)에 이곳 유림들이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세웠다. 그 뒤 8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향교 내에 있는 대성전은 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앞면 3칸, 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정읍향교 대성전은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310.2M 2025-01-20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우암로 57 양자강 중화식당
전라북도 정읍 경찰서 맞은편에 있는 작은 중화요리 전문점이다. 짬뽕과 비빔짬뽕이 대표 메뉴인 짬뽕 맛집으로, 지역 주민들이 즐겨 찾는 식당이다. 오징어, 돼지고기가 고명으로 올라간 비빔짬뽕은 고기짬뽕의 감칠맛과 해물짬뽕의 시원한 맛이 어우러져 이 집만의 특별한 맛을 만들어낸다. 시원하고 개운한 국물 때문에 해장을 위해 찾는 손님들도 많다. 생방송 오늘 저녁에 소개된 맛집으로 지역 주민들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도 이 집의 짬뽕을 맛보기 위해 늘 손님으로 북적인다. 재료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방문하기 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충열사, 정읍향교 등 주변에 문화재가 있어 함께 들러보길 추천한다.
350.3M 2024-11-04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우암로 54-1
송우암 수명 유허비는 조선 후기 유학자 송시열의 죽음을 기려, 그가 죽은 곳에 세운 것이다. 숙종 15년 2월에 제주도로 귀양 간 송시열은 조정의 명령으로 서울로 다시 끌려오던 도중, 6월 8일 새벽에 정읍에 도착하여 객사에서 사약을 받고 바로 숨을 거두었다. 그 뒤 6년이 지나서 우암의 무고함이 밝혀져 숙종 21년(1995) 5월에 지금의 정읍시 하모리 모촌에 고암서원이 세워졌고, 영조 7년(1731)에 이곳에 수명 유허비가 세워졌다. 이 비각은 영조 44년(1768)과 순조 11년(1811)에 고쳐 수선하고 지금의 비각은 여섯 번째나 고쳐 지은 것으로, 1925년 군수 이동한이 고쳤으며, 군수 김삼주가 앞면의 흙담을 헐어내고 철책으로 만들었다. 유허비는 터미널에서 도보로 15분이고 승용차로는 5분 걸리는 시내에 위치한다. 주변 관광지는 충렬사, 정읍향교, 정읍사공원이 있다. 1974년 9월 27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0호에 지정되었다.
351.5M 2025-01-0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중앙1길 147
세종실록지리지와 신동국여지승람 등 옛 문헌에 정읍의 토산품으로 차가 기록 되어 전해져 올 정도로 역사를 간직한 정읍은 차문화도 오래된 고장이다. 그중에서도 쌍화차를 주 메뉴로 하는 전통찻집이 새암로를 따라 자생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쌍화차의 깊은 맛과 건강식으로 각광받으면서 장명동 주민센터 인근지역에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조성되었다. 쌍화차거리에는 30년을 훌쩍 넘긴 쌍화탕 찻집이 아직도 건재하고, 크고 작은 쌍화탕 찻집이 40여 곳이나 성업 중이다. 소박하고 편안한 분위기가 그대로 남아 있는 골목길에 옹기종기 자리한 찻집들을 기웃거리다 보면 특유의 쌍화탕 향기가 발길을 잡는다. 이곳의 쌍화차는 넉넉한 한약재에 밤, 생강, 대추, 숙지황, 견과류 등 총 20여 가지의 재료를 넣어 만든 제대로 된 전통 한방탕이다. 쌍화차 거리의 가게들은 인심도 넉넉하여 차 한 잔으로는 왠지 서운해서 구운 가래떡이나 제철 과일을 함께 내고, 입가심으로 식혜나 오미자차를 내기도 한다.
394.6M 2025-03-12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28-13
이 사당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영령을 봉안하기 위하여 창건한 사당이다. 이순신 장군은 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국가와 민족이 위태로울 때, 거북선을 만들어 수많은 해전에서 왜군을 무찔러 나라를 구하는 큰 공을 세운 한국의 가장 위대한 해군 영웅이다. 정읍시를 한눈에 내려다보는 구미산 중턱에 위치하며, 이순신 장군이 1589년 정읍현감으로 있다가 1591년 전라좌수사로 이임했는데, 그가 이곳 현감으로 있을 때의 덕을 추모하고 그의 영령을 기리기 위해 공의 탄신일인 4월 28일에 매년 제사를 지낸다.
416.6M 2025-03-06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28-13
충무공원은 정읍시청 바로 동쪽 성황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원 내에는 충렬사가 있다. 충렬사는 조선시대 정읍현감을 지낸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배향하기 위해 세운 사우로 범국민적 발의로 1949년 사우건립을 시작하여 1963년 4월 완공했다. 이때부터 공의 탄신일인 1월 28일 탄신제전을 봉행하고 있다. 공은 선조 22년(1589년) 정읍현감으로 부임하여 선조 24년(1591년)까지 재임하였고, 동년 2월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영전하였다. 이러한 공의 유덕과 애국충정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일제강점기 신사가 있었던 곳인 이곳에 국민의 정성 어린 성금으로 사우를 건립 영정을 봉안하였다.
471.7M 2024-10-04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동
전라북도 정읍시의 주산으로, 정읍시가지 북쪽을 감싸고 있다. 고당산에서 뻗어 내린 산줄기가 칠보산을 거쳐 성황산으로 이어지고, 성황산에서 다시 두락봉로 이어진다. 예전의 산기슭에 성황사(성황당)가 있어 성황산이라고 불렀는데 동국여지승람과 1888년 고종 25년 간행된 정읍 지에는 등산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매산 또는 매봉이라고도 하였다. 서쪽 기슭에 충무공 이순신의 사당인 충렬사와 독립운동가 박준승의 묘, 한국전쟁 때 희생된 영령들을 기리는 충혼탑 등으로 구성된 충무공원이 있다. 성황산에는 3가지의 등산코스가 있으며 등산하기 편하도록 나무 데크로 되어 있으며 정상에서는 정읍 시내가 한눈에 들어오며 산아래 쪽에 용호 약수터가 있다. 성황산은 정읍 시내에 위치하고 있어 정읍 전통의 음식 맛을 느낄 수 있는 곳이 주변에 다양하다.
501.8M 2024-12-26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중앙로 162 고향집 식당
솜씨만두 정읍점은 전라북도 정읍시 시기동에 있는 만두 달인 맛집이다. 백종원의 3대천왕과 생활의달인 등 TV프로그램에 여러 차례 소개된 만두 맛집으로 정읍 쌍화차 거리에 있다. 대표 메뉴는 찐만두와 군만두이고 수제비 만둣국과 비빔국수도 있다. 직접 만든 만두피는 쫄깃하고 무말랭이와 돼지고기, 부추가 넉넉하게 들어간 만두소는 식감이 좋고 맛있다. 매장 손님만큼 포장 손님이 많은 것도 현지인들에게 잘 알려진 만두 맛 때문이다. 만두피는 최대한 얇게 춘권과 비슷한 모양으로 주문 즉시 빚어주어 만두의 참 맛을 오롯이 즐길 수 있다. 정읍사문화공원, 정읍천고수부지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645.4M 2025-03-17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충정로 249 (수성동)
분더퓨얼은 전북 정읍시에 위치한 카페이다. 오래된 주유소를 개조해 만든 이색적인 곳으로 비비드 한 색상의 외관과 빈티지한 감성의 내부 인테리어를 볼 수 있다. 대표 메뉴는 우유베이스에 땅콩을 넣고 샷을 내려 만든 음료 너티 콤비네이션과 초코 크로와상에 바닐라 아이스크림이 올라간 초코버터푸딩이다. 외에도 진한 커피 위에 부드러운 크림이 올라간 퓨얼크림라테가 있다. 원두와 에코백, 텀블러, 머그컵 등 카페의 굿즈도 함께 판매하고 있다. 내부 공간뿐만 아니라 야외 테라스 좌석과 포토존도 구비되어 있다. 이색적인 공간에서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기며 사진을 남기기 좋은 곳이다.
722.8M 2025-03-11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평6길 22-2
063-534-6661
1910년대에 개시된 전통 깊은 시장으로 5일장과 상설시장의 형태로 열리고 있으며 정읍시 일원은 물론이고, 고창, 부안, 순창군과 전남의 일부까지도 정읍 시장에서 장을 볼 만큼 인근 지역의 상권을 확보하고 영향을 끼치는 큰 시장이다. 1978년 시장 현대화 사업을 마무리하여, 오늘의 시장 형태를 갖추게 되었고 2011년 7월 1일 정읍 제1시장 명칭이 정읍 샘고을 시장으로 변경되었다. 농축수산물을 비롯 의복, 신발 등 각종 공산품이 거래되고 있으며, 소규모 가축시장이 장날마다 열리고 비단전, 옹기 전, 지방 무형문화재 서남규 씨가 제작한 장고 등 유기점을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