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Km 2024-10-1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2길 62 (문래동5가)
02-706-0168
문화도시 영등포는 여가와 치유의 수변 공간을 창조적인 문화 활동이 가능한 공유지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도시수변문화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번 ‘언더브릿지 상상게더링’에서는 그간 사업의 성과를 모아, 수변 시민기획단 ‘예술정원크루’, ‘영등포 마을정원사’, ‘해커톤 우수팀’ 등 다양한 시민 주체들과 함께 축제 형태로 선보일 예정이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디자인으로 만나는 수변 디자인 파크’라는 콘셉트 아래 디자인파크&체험존, 수변러닝데이, 선셋 DJ×JAZZ 공연, 자전거 플랫폼 등 문화·예술과 융복합 콘텐츠가 결합된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축제는 19일(토) 오후 1시부터 9시까지 운영되며, 일부 체험 프로그램의 경우 소정의 체험비가 발생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문화도시 영등포 누리집과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6.3Km 2024-07-29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천로171번길 20
아파트 단지와 일반 주택이 있는 주거지역에 있는 석수시장은 석수지역에 생활의 근거지를 두고 있는 안양 시민들의 중심 시장으로 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135개의 점포로 시작한 석수시장은 현재는 현대식 설비를 갖춘 우리 슈퍼가 1층에 들어섰다. 슈퍼 밖으로는 식당과 가구, 완구, 철물, 과일 등의 점포가 있다. 특히, 음식점과 가벼운 분식을 파는 상점들이 많은데 깨끗한 외관으로 단장한 곳이 많다. 석수시장이 일반 전통시장과 구별되는 또 하나의 특징은 시장 내부로 소방도로가 형성되어 있어 차량 출입로가 확보되어 있다는 점이다.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상가와 골목 시장은 단일 상가에 가깝다. 생활권 중심에 위치한 시장이다 보니 유동인구는 많지 않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다른 시장들보다 동네의 중심 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집과 가깝고, 늘 다니던 곳이며, 눈에 익은 곳, 그리고 나를 알아주는 단골 가게가 있는 시장, 이것이 바로 석수시장의 모습이다.
출처: 안양시 홈페이지
6.3Km 2024-07-24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135 (신정동)
숲 속의 공간과 어울리는 아주 멋진 건물인 양천공원 책쉼터는 2021년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대상을 받은 경력이 있다. 또, 책쉼터 공간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둥근 곡선을 이용하여 나무와 건축물이 하나로 융합되어 있다. 아이와 함께 가족 단위로 방문하여 힐링과 독서의 미를 두루 갖출 수 있는 곳이다.
6.3Km 2024-12-18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1780번길 9
기브닝커피는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 있는 브런치 카페다. 총 2층 건물로 야외 테라스와 루프탑이 있다. 내부는 넓고 쾌적하며 곳곳에 다양한 소품이 장식되어 있다. 다양한 좌석이 있으며 좌식 룸도 있다. 대표 메뉴는 드라이 카푸치노이다. 이외에도 커피, 차, 라테, 에이드 등의 음료를 판매한다. 또한, 크로플, 조각 케이크 같은 디저트와 베이커리가 있다. 샐러드, 파스타 같은 브런치 메뉴도 있다. 단, 브런치 메뉴는 평일에는 16:30분, 주말에는 18:30분까지만 주문할 수 있다. 카페 앞에 전용 주차장이 있어 자동차로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반려동물은 야외 자리에서만 동반할 수 있다. 경기 둘레길 시흥 54코스, 소래산 삼림욕장과 가까워 함께 둘러보기 좋다.
6.3Km 2024-01-03
경기도 부천시 지봉로34번길 (38)
학교가는길은 부천 역곡 가톨릭대 근방에 위치한 떡볶이 집이다. 떡볶이, 라면사리, 계란, 만두튀김이 어우러진 치즈 라볶이 스페셜은 1인분으로도 3명이서 푸짐하게 먹을 수 있다. 아주 맵지도 아주 달지도 않아 자꾸만 생각나는 맛이다. 라볶이, 쫄볶이, 김밥 등의 메뉴가 준비되어 있으며 다 먹고 난 후 남은 떡볶이 소스에 김가루 양념밥을 비벼 먹는 것을 추천한다.
6.4Km 2024-05-20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유유산업 안양공장을 리모델링한 건물로, 우리나라 근대 건축계의 거장인 故 김중업 선생이 설계했다. 김중업 선생은 프랑스 대사관, 삼일로 빌딩, 평화의 문 등을 설계한 우리나라 1세대 건축가로서 유유산업 공장은 그의 초기 작품이며 공장 건물에 조각 작품을 접목하는 등 독특한 형태를 갖고 있다. 그가 설계한 건물 중 김중업관과 문화 누리관 등 4개 동이 현존하고 있으며 이를 리모델링하여 전시관 및 사무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6.4Km 2024-12-13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프레딧샵은 hy(옛 한국야쿠르트)의 온라인몰 프레딧에서 취급하는 1,400여 개 품목 중 유제품, 밀키트, 샐러드 등 인기가 높은 300여 개 제품을 엄선하여 판매하는 프리미엄 편집샵이다. 24시간 무인매장으로 운영되어 입장 전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또는 체크카드)를 스캔해야 입장할 수 있다. 식료품 뿐만 아니라 대표 캐릭터 ‘야쿠’를 모델로한 실용성 높은 다양한 굿즈도 판매하고 있다.
6.4Km 2024-01-08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9길 10 문래 SK V1 center
훈카츠는 문래동에 위치한 일식당이다. 당일생산 당일판매를 원칙으로 하며, 프리미엄 1등급 한돈 생고기를 훈카츠만의 숙성방법으로 숙성고에서 숙성하여 요리한 숙성 카츠를 맛볼 수 있다.
6.4Km 2024-11-19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로 190
이탈리아의무부대 6.25전쟁참전기념비는 6.25 전쟁(한국전쟁) 당시 이탈리아의 헌신적인 의료봉사 활동을 높이 기리고 기념하기 위해 설치된 기념비이다. 이탈리아는 UN의 비회원국이었지만, 국제적십자사연맹의 도움 호소로 1951년 10월 16일에 의무장교 6명, 행정관 2명, 약제사 1명, 군목 1명, 간호사 6명, 하사관 6명, 사병 45명 등 67명을 우리나라에 파견하여 서울우신초등학교에 의무부대를 주둔시켰다. 이탈리아 의무부대는 1955년 1월 30일까지 약 3년 3개월 동안 23만명을 치료하였으며, 1952년 9월 17일 영등포 열차 사고 때에는 신속한 치료 활동으로 대통령 부대 표창까지 받았다. 1989년 6월 2일 주한 이탈리아 대사 그라치엘라 심볼로띠가 이탈리아 의무부대의 6.25 전쟁 참전을 기념하기 위해 당시 주둔지였던 서울우신초등학교 서관 벽면에 기념표석을 설치하였으나, 1999년 7월말 건물이 철거되자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지원으로 1999년 8월 구령대 옆 화단으로 이전, 2013년 5월 현 위치로 재이전 설치하였다.
6.4Km 2024-06-03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31번길 103
삼성산 기슭에 위치한 안양사는 안양시의 지명이 유래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태고종에 소속된 사찰로 경기도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다. 900년(신라 효공왕 4년) 왕건이 금주(지금의 시흥)와 과주(지금의 과천) 등의 지역을 정벌하러 삼성산을 지나게 되었는데, 난데없이 산꼭대기에 오색구름이 피어올라 사람을 시켜 살피게 하니 홀연히 능정이라는 스님이 나타나 ‘오색구름이 사방에서 지켜주니 필시 새로운 나라가 들어선다’ , ‘이곳에 절을 짓고 안양사라 칭하면 후대까지 태평성대를 이룬다’고 말했다. 이에 안양사를 세우니 오늘날 안양시의 명칭이 이 절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이 건국되며 절은 쇠락을 거듭하다가 세종과 문종이 이 절을 중수하고자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16세기쯤에는 폐사되어 터만 남았다. 본래 안양사는 현재 안양박물관과 김중업건축박물관이 있는 중초사터로 알려진 곳에 자리하고 있었는데, 안양사지 절터는 2023년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금의 안양사는 6∙25 전쟁 이후 비구니 승려 대인이 삼성산 안쪽 새로운 터에 옛 안양사를 계승해 창건한 것으로 경내에는 대웅전, 명무전, 미륵전, 나한전, 산신각, 범종각, 신검당, 안심당 등이 있고 대웅전 앞에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귀부와 부도가 자리 잡고 있다. 석수IC에서 공영주차장까지 차량으로 약 10분, 1호선 관악역에서 약 6분 소요된다. 안양사 주차장은 협소하고 스님과 불자를 위한 곳이므로 산 아래 안양예술공원 공영주차장을 이용하기 권한다. 안양사로 오르는 길은 삼성산 산림욕장이 있는 등산로로 맑은 공기를 마시며 가볍게 트레킹 하기 좋다. 안양예술공원, 안양박물관, 김중업건축박물관, 안양유원지가 가까이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