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모두의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모두의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모두의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판소리,모두의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

14.8Km    2024-06-25

광주광역시 북구 비엔날레로 111
062-608-4114

제15회 광주비엔날레가 《판소리, 모두의 울림》(PANSORI, a soundscape of the 21st century)을 주제로 2024년 9월 7일부터 12월 1일까지 86일간 열린다. 이번 전시 주제인 《판소리, 모두의 울림》은 한국 전통 음악 형식인 판소리의 동시대적 함의와 달라진 해석을 쫓아가며, 전시 공간의 서사를 구성하는 전시이다. 개인 거주지부터 인류가 뿌리내린 행성 지구까지 모두를 아우르는,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에 대한 오페라와 같은 전시로 분쟁적 국경, 반-이주 장벽, 감금, 사회적 거리 두기, 분리 정책… 언뜻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는 이 화두들이 ‘공간(판)’ 그 자체로 정치적 구조이자 공유지가 되는 것에 주목한다. 이번 제15회 광주비엔날레는 세계 각국 73명의 작가가 주위 살아 있는 형상들과의 대화를 통해 동시대 공간을 탐구한 작품들을 소개하며 판소리 본연의 정신을 재현한다.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를 포함해 쿠랄라이 압두칼리코바(Kuralay Abdukhalikova, 프랑스), 바바라 라지에(Barbara Lagié, 프랑스), 소피아 박(Sophia Park, 미국) 큐레이터 3인과 보조 큐레이터 이은아(한국)로 이루어진 30대 다국적 큐레이터 팀은 동시대 인류가 직면한 중요한 주제들을 예술이자 담론으로 풀어내고자 한다.

광주폴리

광주폴리

14.8Km    2025-03-21

광주광역시 북구 비엔날레로 111

‘폴리(Folly)’의 건축학적 의미는 본래의 기능을 잃고 장식적 역할을 하는 건축물을 뜻한다. 하지만 광주폴리는 공공공간 속에서 장식적인 역할뿐 아니라, 기능적인 역할까지 아우르며 도시재생에 기여할 수 있는 건축물을 의미한다. 광주폴리는 도시 안에서 단위개체로 작동하기보다는 군집되어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며 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도시 안에 위치하게 될 폴리들은 지난 40년간 빠른 성장을 거듭하며 도심공동화를 경험하고 있는 광주광역시 구도심지역에 강력한 문화적 힘을 전달하여 도심재생을 이끌어 내고자 한다. 광주비엔날레와 더불어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총감독 승효상, 아이 웨이웨이)의 일환으로 시작된 ‘광주폴리 프로젝트’는 2013년 독립적인 프로젝트로 추진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광주라는 도시 공간 속에서 새로운 일련의 폴리들을 선보이고 있다. (출처 : 광주폴리 홈페이지)

광주비엔날레전시관

광주비엔날레전시관

14.8Km    2025-03-21

광주광역시 북구 비엔날레로 111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은 1994년 창설된 이래 수많은 전시회를 통해 대한민국을 비롯한 세계 미술 문화에 큰 기여를 해오고 있는 곳이다. 비엔날레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과 삶의 의욕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한국 작가들이 세계로 진출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비엔날레 전시회는 일회성 행사로 끝나지 않고 비엔날레의 터전인 광주의 지역적 가치를 높이며 지속 가능한 플랫폼이 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코로나 시대를 맞아 온라인 서비스도 진행해 현장 방문이 어려운 시민들에게 전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전시 기간에는 본 전시, 특별전, 국제 학술 행사 등 다양한 행사와 전시 관람, 체험도 가능하다.

신쭈꾸미 상무본점

14.8Km    2024-12-18

광주광역시 서구 시청서편로4번길 16

신쭈꾸미 상무 본점은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에 자리 잡고 있다. 2008년 개업했으며, 광주에서 매운 주꾸미 요리를 처음 시작한 원조 음식점이다. 점심 장사 없이 4시부터 자정까지 운영한다. 대표 메뉴는 주꾸미 삼겹살이고 이 밖에 신 주꾸미, 주꾸미 대하가 있다. 음식을 주문하면 구운 달걀, 콘 샐러드, 부침개, 콩나물, 묵사발이 기본으로 제공되는데 도토리 묵사발은 별도 메뉴로 주문도 가능하다. 추가 반찬은 셀프 바를 이용할 수 있고 볶음밥은 꼭 먹어야 할 만큼 인기가 좋다. 대기 공간이 따로 있을 만큼 유명한 맛집인데 저녁시간엔 테이블 만석에 대기 공간까지 만석인 경우가 있다. 음식점 주변에는 상무 조각공원이 위치해 있다.

상무시민공원

상무시민공원

14.9Km    2025-03-21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공원로 101

서구 치평동 상무 신도심 아파트 단지 내에 자리한 아름다운 공원이다. 각종 운동시설과 아름다운 수경관 연출이 가능한 호수 및 열린 광장, 조각공원 등 각종 조경, 편의시설 등을 갖추었다. 조각공원은 상무시민공원 내 호숫가를 중심으로 펼쳐져 있다. 작품마다 경관 조명시설을 설치해 야간에도 환상적이고 아름다운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누구나 만지고 체험하면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는 즐거움’과 ‘체험의 즐거움’을 동시에 안겨준다. 축구장과 테니스장도 있어서 광주 시민들이 여가생활을 즐기기 좋은 공원이다.

금강한우전문식육식당

금강한우전문식육식당

14.9Km    2025-03-24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우하로 373
062-514-9111

금강한우전문식육식당은 광주 서구에 위치한 한우 전문점이다. 이곳은 신선한 한우를 직접 선별하여 제공하며, 고기의 품질과 맛에 대한 자부심이 남다르다. 금강한우는 풍부한 육즙과 부드러운 식감으로 손님들에게 특별한 미식을 선사한다. 이곳은 편안한 식사 환경을 제공하며, 가족 모임이나 특별한 날에 적합한 장소이다. 금강한우전문식육식당은 한우의 진정한 맛을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미식가들에게 추천할 만한 명소이다.

서플라이

서플라이

14.9Km    2024-12-26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자유로 32

광주 상무지구의 핫플레이스로 통하는 유니크한 2층 건물의 카페다. 전면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 한 편이 1층과 2층을 통으로 연결한 유리창으로 꾸며져 있어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실내에는 SUPPLY GARDEN이라는 실내 정원도 마련되어 있다. 야외에도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어, 날씨 좋은 날은 야외에서 즐기는 차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도 있다. 커피나 차 종류뿐만 아니라 티라미수, 크로플 등의 디저트 메뉴도 판매한다. 5.18기념공원, 상무시민공원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목줄 착용, 배설물 처리를 위한 비닐봉지 구비한 이용객에 한하여 반려동물도 동반도 가능하다

화순동복남덕원비

14.9Km    2024-06-03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독상리

남덕원은 고려, 조선 시대에 출장 중인 관리들의 숙박 장소로 이용하고, 공문 송달이나 물류 수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설치한 기관이다. 동복 현감 심지헌이 주도하여 현종 9년(1668)에 건립하였다. 남덕원은 독상리의 금계산 기슭에 있었던 역원으로 인근 한천리에 검부역이 생기면서 폐지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검부역이 언제 설치되었는지 확인되지 않고 있어 남덕원의 폐지연대도 추정할 수 없다. 비석은 거친 사암질 자연석이고 비문은 8행으로 새겨져 있다. 비문 내용 중 심지헌 이란 인물이 있어 확인 결과 그는 동복현감을 지냈는데 1666년 9월에 부임하여 1668년 7월에 이임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비석의 건립연대 또한 무신년 3월인데 이임하기 전 심지헌이 세운 것으로 보인다. 남덕원비의 문화재적 가치는 조선시대 교통시설이자 공공기관이었던 역원에 대한 유일한 비이며 동복현의 역사와 관련시켜 살펴보면 충분한 역사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17세기에 걸친 자연석에 새겨진 행서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화추어린이공원

화추어린이공원

14.9Km    2024-12-26

광주광역시 서구 유림로98번길 4 (동천동)

화추어린이공원은 광주광역시 서구 동천동에 위치한 어린이 놀이공원으로, 다양한 놀이 시설과 농구대, 산책로가 마련되어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적합한 공간이다.

한천농악전수회관

한천농악전수회관

14.9Km    2025-03-19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김삿갓로 720

한천농악전수회관은 한천 농악의 전수교육과 공연 등을 통해 무형 유산인 한천 농악을 보존, 전승하는 공간이다. 1996년 준공된 지상 2층의 1동 건물로, 숙소와 연습실을 갖추고 있다. 20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천농악은 일반적인 마을의 농악의 경우처럼 마을 내에서 당산굿을 하고, 마당밟이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역대 상쇠(꽹과리를 치면서 전체를 지휘하는 사람)들의 활동상을 점검해 보면, 1950~60년대에 농악을 매개로 주변 마을과 경쟁하고, 유명 상쇠의 영향을 받아 체계를 갖춰간 사실이 확인된다. 당시 독상리에 살던 이선일 씨가 가장 뛰어난 상쇠로 이름을 날렸고, 그가 한천마을로 이주해 오면서 비로소 한천 농악이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1950년대 농악계를 조직하여 활동하고, 1960~70년대 왕성한 공연 활동을 하면서 외부에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1964년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뒤 널리 알려졌으며, 이후 1979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