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Km 2024-05-17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184번길 9-10
광주의 전통시장의 변화는 바로 매주 토요일 저녁 발 디딜 틈 없이 붐비는 대인시장의 성공적인 변화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충장로와 금남로가 번화가로서 중심을 이루고 있는 광주의 상업구도에서 대인시장은 유일하게 시내에 자리 잡고 있어 그 인기와 효용가치는 매우 컸다. 어물과 채소류 도매시장으로, 생선과 건어물은 물론 수산물 거래량이 많고, 더불어 양품점과 포목 비단점, 양은그릇과 미곡상이 있어 과거부터 시민들은 시내에 볼일을 보고 나서 함께 대인시장을 들려 장을 보았다. 대인시장도 1990년대 중반 이후 침체기를 겪었다. 대형마트의 등장과 비위생적이고 도태되어 보이는 전통시장의 모습은 사람들의 발길이 뜸하게 만든 원인들이었고, 악성적자를 이유로 하나 둘 점포들이 비기 시작했다. 하지만 2008년 광주비엔날레의 ‘복덕방프로젝트’로 비어 있던 점포에 예술 작품이 전시되고, 그를 기화로 ‘예술이 동거하는 시장’으로써 대인시장은 거듭나기 시작했다. 연이은 호재로 대인시장이 2013년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선정되면서 대인시장에 있어 예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현재 광주 대인시장은 예술가와 상인들이 함께 거주하는 공간이 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예술 활성화 거점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8년까지 토요예술야시장 연장이 확정되었다.
18.6Km 2025-03-16
전라남도 장성군 물뫼길 25 동학농민혁명 황룡전적비
1894년 1월 고부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시달리던 전봉준을 비롯한 동학농민군은 봉건의 압제와 외세의 핍박을 깨치고자 들고 일어섰다. 마침내 4월 초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이 이끈 수천의 농민군은 백산에 모여 반봉건의 제폭구민과 반외세의 척양척왜의 기치를 내걸고 관군과의 전쟁에 나섰다. 4월 6일 밤 농민군은 황토현에서 전라도 감영군과 치열한 싸움을 벌인 끝에 승리했다. 이 싸움은 농민군이 관군과 접전을 벌여 거둔 최초의 승리였다. 이어서 4월 22일 장성의 황룡강 유역으로 진군한 전봉준의 주력부대는 전주에 주둔하던 홍계훈의 경군을 황룡 지역으로 유인하여 또다시 대승을 거두었다.
이 황룡전투는 전봉준의 동학농민군이 전주를 점령하기 위하여 이곳에서 경군과 한 차례 접전을 벌였던 전투로써, 동학농민군이 서울의 정예부대를 격파한 의미있는 전투였다. 그 여세를 몰아 곧바로 전주성을 점령하게 되면서 동학농민군의 요구를 수용한 전주화약이 맺어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까치능선이라고 불리던 이곳 동학격전지가 바로 황룡전적지이다. 동학혁명 100주년 기념으로 동학사상을 일깨우고, 후세에 역사 교육의 장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전국에서 헌수운동을 통해 이곳에 동학기념공원을 조성했다.
* 면적 - 20,338㎡
18.6Km 2024-10-14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로96번길 15
광산구에 있는 국제 규모의 인라인·롤러스케이트 경기장 및 연습장이다. 건립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인라인·롤러스케이트 경기장이었다. 전국체육대회 인라인·롤러스케이트 종목 경기장으로 사용하거나 전국소년체육대회, 전국인라인스케이팅대회가 열린다. 대회가 없거나 지역 인라인·롤러스케이트 대표 선수들이 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한 체육시설로 시민에게 개방되어 있다. 2019년에 대한체육회의 공공 스포츠클럽 공개 모집에 선정되어 광주광역시 광산구 지역 롤러스케이트 종목의 스포츠클럽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상 2층으로 이루어진 경기장으로 경기 운영실, 선수 대기실, VIP룸, 샤워실, 전광판, 방송실과 야간 경기를 위한 타워 조명탑을 갖추고 있다. 사무실은 별도로 있다. 1층은 경기장으로 주 트랙과 보조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피드 스케이트와 피겨 스케이트 종목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길이 200m, 너비 6m의 국제 규격 트랙과 25×50m의 피겨 경기장으로 이루어졌다. 경기장을 둘러싼 보조 트랙은 연습 공간으로 동호인과 인근 주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였다. 2층은 관람석으로 되어 있으며, 수용 인원은 620명 정도이다. 저렴한 이용 비용과 무료 장비 대여로 시민들의 생활체육 공간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강습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18.6Km 2025-03-24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2-16
발산마을은 광주의 대표적인 마을 중 하나였다. 비탈진 언덕에 다닥다닥 붙어 있는 집, 슬레이트 지붕과 초가지붕, 좁디좁은 골목, 띄엄띄엄 눈에 띄는 밭. 손에 돈 몇 푼이라도 쥐고 있다면 절대로 찾아들고 싶지 않은 곳이었으나 지금은 문화적 가치를 지닌 마을로 성장했다. 6·25 전쟁 후 피란민이 모여들면서 마을이 형성됐고, 1970년대에는 전국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청춘들로 인해 전성기를 누려 형성되었다. 7~80년대 방직여공들이 모여 살던 마을이 산업구조가 바뀌면서 빈집이 늘어갔다. 젊은 예술가들은 시간이 멈춘 발산마을에 컬러아트프로젝트와 공공디자인을 통해 색채감이 넘치는 곳으로 탈바꿈시켰다. 철재로 만든 뽕뽕 브리지, 곳곳의 조형물, 벽화 등 활기가 가득하다.
18.6Km 2025-03-20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천로95번길 18-15 (동명동)
꿈브루어리는 광주 지역 특산주 ‘꿈의 대화’를 양조하는 양조장으로 전통적인 양조 기법에 현대적인 감각을 더한 광주광역시 지역 특산 전통주를 생산하고 있다. 전통주 문화 복합 관광 공간으로서 방문객에게 특별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우리 술의 가치를 알리고 전통문화를 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 지역 특산주인 ‘꿈의 대화’는 2024 대한민국 막걸리 품평회 8-10도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제25회 한중일 지방정부 교류회의에 환영·환송 만찬주로 제공되었던 상품이다.
18.6Km 2024-12-17
광주광역시 북구 금남로131번길 18
062-512-5574
‘유명회관’은 순수 국내산 한우 암소만을 고집하는 음식점이다. 쌀, 김치도 순수 국내산만을 취급한다. 대표메뉴인 소 생고기는 잘 숙성되어 부드럽게 즐길 수 있다. 그 외에 꽃등심, 갈빗살이 맛이 있으며 생고기비빔밥, 육회비빔밥, 사골탕 등 다양한 식사메뉴도 준비되어 있어 취향껏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식당 내부에는 좌석이 많아 회사 및 단체 손님이 많은 회갑, 결혼 피로연, 단체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18.6Km 2025-03-20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184번길 9-10 (대인동)
광주 동구 대인예술시장 내 개설된 한평갤러리는 조금 특별함이 있다. 바로 상인회와 야시장 운영사무국이 직접 공간을 구성하고, 매월 다양한 전시회를 개최하여 관광콘텐츠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인데, ‘예술형 전통시장’ 이란 대표상징성과 함께 지역 아마추어 작가들의 데뷔무대로도 활용되고 있다. 더불어 매년 10여 명의 작가를 선발하여 레지던시 공간을 제공하고, 이들의 창의성을 기반한 작품들이 꾸준히 전시되고 있어 여러 콜렉터들과 전시기획자들이 아마추어 작가 발굴을 하는 통로로도 활용되고 있다. "시장 내 볼거리가 없다."라는 편견을 이겨내고, 유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문화시설로써 전국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특별한 전통시장 관광코스로 소개하고자 한다.
18.6Km 2024-05-23
전라남도 장성군 남창로 351
주식회사 별내리마을은 주민 공동체에서 출발하여 10여년의 체험 휴양마을 운영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지역 청년 중심의 경영체제로 전환하면서 결성되었다. 기존 천문체험, 도예체험, 숲체험 등 다양한 경험이 있으며 주식회사 설립을 통해 농촌에서 만드는 나만의 수제맥주 컨셉으로 양조전문가를 양성하고 새롭게 체험장을 조성하게 되었다. 아울러 기존 숙박의 퀄리티를 높이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어메니티 고급화, 친절 교육 등을 수료하고 전문 경영컨설팅을 높여 자립하는 청년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