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림아트센터(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호림아트센터(호림박물관 신사분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호림아트센터(호림박물관 신사분관)

호림아트센터(호림박물관 신사분관)

10.0 Km    25833     2023-12-04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317

성보문화재단 호림박물관은 호림 윤장섭 선생이 출연한 문화유산과 기금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1982년 대치동에 호림박물관을 개관하였으며 그 후 1999년 관악구 신림동에 박물관을 확장 신축하여 재개관하였다. 이어서 2009년 6월 문화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는 강남구 신사동 호림아트센터 내에 신사 분관을 개관하였다.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은 우리나라 고미술품 전시를 위한 2, 3, 4층의 전시실과 뮤지엄 숍, 휴게 공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박물관은 도자, 금속, 서화, 전적 등 1만 9천여 점의 문화유산을 소장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국보 8점, 보물 54점,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11점을 보존하고 있다. 이곳의 소장품은 높은 평가를 받는 한국미술사의 중요한 자료이며 개관 이후 수준 높은 소장품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열고 있다. 도자기와 빗살무늬 토기를 모티프로 한 박물관 건축 역시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되고 있다.

다운타우너 청담

10.0 Km    0     2024-04-29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53길 14
0507-1422-9399

Downtown(도시 혹은 시내)에서 유래한 ‘Downtowner’는 이름에서 느낄 수 있듯 바쁜 도시인들이 빠르고 편하게 즐겨 먹을 수 있는 고품질의 Fast&Premium 수제 버거를 판매하고 있다. 또한 수제 맥주와 함께 준비되어 있는 프라이즈 및 치킨 메뉴는 간단한 식사 및 맥주 안주로 즐길 수 있다.

성수다락

성수다락

10.0 Km    4     2024-02-21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9길 20

성수다락은 지하철 2호선 성수역 3번 출구 성수 2가 1동 행정복지센터 부근 경수중학교 사이에 있다. 주택가 골목길에 매장이 있어 별도 주차장은 없다. 웨이팅이 길다. 다락은 3층 단독주택을 개조해서 만들었다. 1층 테라스는 제주도 콘셉트로 출입구는 액자 문이다. 안으로 들어서면 아기자기한 테이블과 의자가 잘 세팅되어 있다. 대표 메뉴는 다락오므라이스, 다락로제, 찹목살스테이크, 매콤크림파스타 등이 있다. 추가 메뉴로 리소토, 가츠산도, 크림어니언, 감자튀김 등이 있다. 주변에 뚝섬, 서울어린이대공원, 서울숲이 있어 식사 전후에 둘러보기 좋다.

10꼬르소꼬모 청담점

10꼬르소꼬모 청담점

10.0 Km    2     2023-02-08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16

서울 강남구 압구정에 위치한 10꼬르소꼬모 청담점은 카페와 의류 및 생필품을 판매하는 편집숍을 겸하고 있는 곳이다.
건물 지하 1층에 있는 카페는 브런치 및 디저트 메뉴도 인기 있지만 멋진 인테리어로도 유명하다.
1층은 잡지, 캔들, 디퓨저, 주방용품 등 인테리어 소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2층은 의류, 3층은 잡화를 판매하고 있어 분위기 좋은 곳에서 식사와 더불어 쇼핑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기 있다. 압구정로데오역 3번 출구에서 약 120M 거리에 있다.

중랑장미공원

중랑장미공원

10.0 Km    2     2023-12-04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중랑장미공원은 중랑천 길을 따라 다양한 품종의 장미가 구획별로 식재된 공원이다. 그래서 장미가 개화하는 5월이 되면 이곳을 따라 매년 200만 명 이상이 찾는 장미축제가 열린다. 중랑천 제방을 따라 조성된 5.4km의 국내 최대 규모의 장미 터널을 포함해 축제장 전역에서 장미를 감상할 수 있다. 안젤라, 핑크 퍼퓸, 골드파사데 등 다양한 품종의 장미들이 봄의 생동감을 전한다. 이 밖에도 중랑천을 바라보며 전경을 즐길 수 있는 전망데크, 포토존, 야간 조명 등이 마련되어 있어 도심 속에서 아름다운 장미와 함께 완연한 봄을 만끽할 수 있다.

옥천암(서울)

옥천암(서울)

1.0 Km    27869     2023-09-2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지문길 1-38

옥천암는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2동 8번지 북한산 끝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사찰이다. 관세음보살은 광세음보살(光世音菩薩) 또는 관세음자재보살(觀世音自在菩薩)이라고도 하며 보통 줄여서 관음보살이라고 부른다.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서원으로 하는 관음보살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화엄경』, 『법화경』, 『아미타경』, 『능엄경』을 중심으로 그 신앙이 전개된다. 각 경전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마음속에 간직하고 염불하면 모든 고통의 속박에서 벗어나고 어떠한 고난이나 재액에서도 반드시 해탈을 얻게 된다고 한다. 옥천암(玉泉庵)은 동해의 낙산 홍련암(紅蓮庵), 서해의 강화도 보문사(普門寺), 남해의 보리암(菩提庵)과 함께 4대 관음기도 도량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옥천암에 있는 관음보살상 때문인데, ‘보도각 백불(普渡閣 白佛)’로 불리는 이 관음보살은 많은 영험담을 가지고 있다.일찍이 조선 태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할 때도 이 석불에 기도한 일이 있고, 또 흥선대원군의 부인 민씨(閔氏)도 아들인 고종을 위해서 자주 찾아와 기도하였다고 한다. 삼각산의 맥이 비봉과 향로봉을 거쳐 인왕산으로 이어지기 직전 삼각산이 끝나는 지점에 자리한 옥천암은 서울이 대규모로 도시화되기 전만 해도 옥같이 맑은 물이 흘렀다. 그러한 까닭으로 절 이름 또한 옥천암이라 불리었던 것이다.

[옥천암 마애좌상(보도각 백불)]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1973.06.07 지정)
보도각 백불의 정확한 명칭은 '홍은동 보도각 마애보살좌상(弘恩洞 普渡閣 磨崖菩薩坐像)'이다. 흰색의 호분이 전체적으로 두껍게 칠해져 있기 때문에 백불(白佛) 또는 해수관음(海水觀音)이라고도 한다. 마애불상은 근래에 세워진 정면 1칸, 측면 2칸의 보도각이란 전각 안에 보존되어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조선 태조 이성계가 서울로 도읍을 정할 때 이 석불에 기원을 했으며, 조선후기에는 고종의 어머니 흥선대원군의 부대부인 민씨도 아들의 천복을 빌었는데 이때부터 하얗게 칠을 하였다고 한다. 머리에는 꽃무늬가 장식된 화려한 관(冠)을 쓰고 있으며, 머리카락은 어깨를 따라 팔꿈치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비교적 둥근 얼굴은 눈이 가늘고 입이 작게 표현되어 고려시대 불상의 일반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옷은 양쪽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신체는 전체적으로 단정한 모습이다. 옷주름은 선이 깊지는 않지만 신체 전반에 부드럽게 흘러내리고 있다. 손은 오른손을 들어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놓은 아미타불의 손모양을 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마애불로서 북한산 구기리 마애석가여래좌상(보물)과 같은 계열의 작품으로 보인다.

취만루

취만루

10.1 Km    1     2021-03-1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신로 187
02-844-8899

다양한 중국식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탕수육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방아골

방아골

10.1 Km    1     2024-02-26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도로 197-55

방아골은 고양시 도내동에 있는 옻닭 맛집이다. 간판이 달린 본관 건물과 옆쪽으로 별관 건물이 있는데 옻닭 주문 손님은 한옥 분위기의 별관 건물로 안내받는다. 건물 옆에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이 집의 메뉴는 닭백숙과 닭볶음탕, 한방오리, 매운탕 등인데 요리에 사용되는 닭은 토종닭만 취급한다. 예약 후 방문하면 황토방에서 버너에 백숙을 끓이면서 다 먹을 때까지 따뜻하게 먹을 수 있다. 참고로 인원수에 따라 닭 한 마리 반을 주문할 수도 있다. 닭을 다 먹고 나면 영양밥도 죽처럼 끓이면서 먹는다.

한강수병원

10.1 Km    2     2024-03-2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83 한강수병원

-

코스 청담점

10.1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