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8.3M 2024-12-18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1길 40-59 (사간동)
0507-1308-1192
110년 만에 시민에게 돌아온 송현 녹지광장은 마치 서울 도심 속의 오아시스가 되어줍니다. 송현 광장에서 북촌 방향으로 바라본 조그만 길목에 바로 자리 잡은 ‘사사로이’는 가운에 4인이 즐길 수 있는 넓은 실내 욕조에 앉아 마당의 조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근처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한 여러 북촌의 문화를 경험해보고, 밤에는 송현 광장으로 나가 서울 하늘에 밝게 떠오른 달빛을 받으며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공간입니다.
822.0M 2024-10-15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4길 27
02-730-9311,9301
한정식 전문점 뉘조는 일 년 내내 먹을 수 있는 야생초와 계절별 야생초 등 수백 가지의 야생초를 이용하여 만든 코스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음식점의 이름인 뉘조는 누에의 신을 말하는데, 누에가 자기 몸을 인간에게 모두 내주듯 야생초 역시 버릴 것 없이 모두 먹을 수 있다는 뜻으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시작은 호박죽으로 야생초를 버무린 무침과 뿌리 범벅, 홍보쌈과 편육이 차례로 나오며, 연잎으로 싸서 찐 연잎밥과 찌개 각종 찬으로 식사를 마치면 식혜로 마무리한다. 점심 메뉴로는 우슬초가 있고, 익모초, 구절초 등의 코스요리와 해물파전, 신선로, 모둠전의 메뉴가 있다.
822.0M 2022-05-18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4길 27
02-730-9301
인사동 한정식 맛집 정갈한 한정식집 "뉘조" 모두가 극찬한 "뉘조" 합리적인 가격의 한정식 맛집이다. 돌잔치, 가족모임 장소로 좋다. 향긋한 나물의 향과 깔끔한 코스요리를 분위기 좋은 한옥 "뉘조"에서 느낄 수 있다.
821.0M 2024-01-10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30길 31 (익선동)
골동품과 아트 갤러리가 있는 고궁으로 둘러싸인 인사동에 있는 호텔이다. 363개의 객실, 뷔페 레스토랑, 바, 피트니스 센터, 사우나, 비즈니스 코너, 세탁실, 회의실, 기계식 주차타워를 갖추고 있다. 객실에서는 익선동 한옥과 남산 전망이 보이며, 휠체어를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장애인룸도 운영된다. 1층의 레스토랑에서는 조식과 중식을 이용할 수 있고 호텔 멤버 고객을 위한 전용라운지바도 운영한다. 호텔의 옥상에서는 남산 N타워를 감상할 수 있다. 수도권 지하철 종로3가역 4번 출구에서 250m에 거리에 있너 접근성도 좋다. 인근에는 북촌 한옥마을, 종묘, 창덕궁, 청계천, 명동, 시청이 있다.
822.9M 2021-03-15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4길 24-1
02-722-5051
야외 테라스에서 식사를 할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스테이크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양식전문점이다.
826.9M 2024-11-26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66
02-744-6844
호스텔 토미는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해 있다. 익선동 1분, 인사동 5분, 창덕궁 3분 도보로 이동이 가능하다. 1층에 24시간 편의점과 세탁시설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전 객실에서 와이파이 사용이 가능하며 간이 주방이 있어 조리가 가능하다. 매일 아침 조식을 제공하고 있다.
826.7M 2025-01-16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1길 40-37
푸드떼는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에 위치한 카페이다. 푸드떼 (fou de thé)는 프랑스아 fou와 차를 뜻하는 thé 를 합성한 문장으로 '차에 미친', '차에 열광하는'이라는 다소 강렬하면서도 차 전반에 대한 열정을 표현하는 의미를 가졌다. 메뉴는 파르페와 차 종류가 있는데 시즌별로 변경되는 시즈널 파르페가 인기 메뉴이다. 차 종류는 6대 차류를 위시한 프리미엄 티를 취급하며, 차과자는 시즌별로 달라지는 차와 어울리는 차과자를 제공한다. 인근에 안국역과 가까워 방문하기 편한 곳이다.
831.9M 2025-01-10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학박물관은 1994년 개설되어, 2001년 12월 28일에 개관한 우리나라 최초의 치의학박물관이다. 과거 소공동 치과대학 시절부터 사용된 유물과 치의학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가진 동문 및 후원자들의 정성 어린 기증과 기부를 통해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치의학 발전의 궤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풍부한 자료와 유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교육과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산이 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등록 제25호 박물관으로서, 치의학과 그 교육의 역사를 조명하고, 미래의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833.8M 2024-11-25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50 학고재
1988년 서울 인사동에서 첫걸음을 내딘 학고재는 개관 20주년이 된 2008년, 북촌에 전통과 현대의 공존을 꾀하는 새로운 보금자리를 증축하면서 전시 기획에서도 [뿌리가 있는 현대성]을 강조하고 있다. 학고재가 기획해 온 <무낙관 회화>, <구한말의 그림>, <조선 중기의 서예>, <만남과 헤어짐의 미학>, <유희삼매>, <조선 후기 그림의 기와 세> 등의 전시는 전통미술의 새로운 가치를 돌아보게 했다. 또 현대가전은 다양한 스펙트럼을 펼쳤다. 강경구, 강미선, 강요배, 강익중, 김호득, 문봉선, 민정기, 박성실, 석철주, 송필용, 송현숙, 신학철, 심현희, 안규철, 오윤, 윤석남, 이영배, 이종구, 이효성, 정상화, 한기창 등 국내외에서 치열하게 조형을 탐구하는 이들 작가의 전시는 현대성의 흐름을 살피는 기회가 됐다. 이와 더불어 해외 작가들의 진취적인 작품을 국내에 적극 소개했다. 미국의 주요 미니멀니즘 작가들로 구성한 전시인 풍경으로서의 미니멀니즘을 통해 프랭크 스텔라, 도널드 저드, 로버트 만골드, 리처드 터틀, 아그네스 마틴과 로버트 라이먼의 작품을 선보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