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Km 2024-01-04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2길 14
도마 유즈라멘은 서울시 종로구 안국역 인근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2009년 홍대에서 소고기전문점으로 시작한 도마는 네 번째 걸음으로 도마 유즈라멘 안국점을 개업하였다. 이곳은 일반적인 라멘뿐만 아니라 라멘에 유자액이 첨가된 특색 있는 라멘을 판매한다. 특별히 라멘 면과 육수는 무한으로 제공된다.
1.2Km 2025-01-13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순라길 75
여유로운 돌담길과 따듯한 햇살 아래 커피와 차를 마실 수 있는 카페 헤리티지클럽이다 .이 카페만의 매력은 해가 저물면 운치있는 조명 아래 위스키와 와인을 먹을 수 있는 바로 변신을 한다. 특히 한옥풍의 인테리어가 특징이여서 포토스팟으로도 활용을 많이 한다. 커피, 음료, 위스키 등 마실 것이 다양하며 분위기 좋은 카페이다.
1.2Km 2024-11-26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31 (성북동)
조선 말기 마포강에서 새우젓 장사로 갑부가 된 이종석이 1900년경에 지은 별장으로 1977년 서울특별시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건물을 통해 당시 규모가 큰 상인들의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 특히 가옥 주변의 조경은 한국의 멋이 물씬 풍기는 아름다운 경관을 가지고 있다. 직사형의 집터에 [ㄹ] 자형의 평면으로 구성된 남향집으로 별장으로 지어진 집이라 구조가 일반적인 살림집과 다르다. 바깥마당의 동북쪽에 안채가 위치하고, 북쪽에 행랑채가 있다. 사랑채 비슷한 별채의 안채와 그에 부속된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다. 대청 옆 누마루에 일관정이라고 쓴 편액을 걸고 추녀에는 풍경을 달았으며 회색 벽돌로 영롱담을 쌓아 집터 주위를 둘러막아 놓았다. 특히 안채로 드나드는 대문과 그 바깥마당의 우물가 등은 집터 주위의 수목과 어우러져 예스러운 느낌을 풍긴다.
1.2Km 2024-12-18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10길 79-1 (권농동)
0507-1355-8640
달의 표면에서 영감을 받아, 한옥을 구성하는 목재를 직접 깎아 나이테를 돋보이게 만든 ‘월운’입니다. 내부에는 목재와 함께 삼베, 소나무, 이끼, 돌을 활용하여 한옥 특유의 정제된 편안함을 강조했습니다. 프리미엄 한옥스테이 '월운'은 마당을 포함해서 숙소의 모든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독채 한옥이며 최대 8인까지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Km 2024-11-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10길 85-7 (권농동)
창덕궁과 종로3가역 사이에 위치한 한국색동박물관은 색동연구가 김옥현의 30여년간의 색동에 관한 연구와 그 동안의 유물수집을 바탕으로 2014년 3월 5일 개관하였다. 한국색동박물관은 전통한옥 양식과 현대적인 공간이 어우러지도록 설계하였으며 한국의 음양오행 상생소멸의 철학이 있는 색동의 의미를 담아 [한국색동박물관]이라 지었다. 박물관은 혼례복과 돌복을 비롯한 색동관련 유물을 1,000여점 소장하고 있으며 박물관이 주체하는 다양한 색동유물전시를 기획, 연구, 교육하고 있다. 지하 1층에 위치한 제1전시실은 색동유물관련 전시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지상 1층에는 제2전시실이 있고 색동패션디자인과 현대화한 색동디자인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그 옆으로 뮤지엄샵이 자리하고 있다. 지상 2층에는 제3전시실과 색동 자료실과 사무실이 있다. 전시실에는 다양한 장신구와 한복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작은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박물관에서는 4명 이하의 소규모 그룹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2Km 2025-01-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20-21
070-4259-0033
이채는 차분한 북촌의 분위기가 담긴 한옥과 스페셜티 커피의 조화를 느낄 수 있는 고즈넉한 카페이다. 안국역 인근 작은 골목길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00년 역사의 한옥집을 새로이 리모델링하였다. 카페 사이즈는 아담하지만, 내부에 중정이 있어 사계절 내내 자연을 즐길 수 있다. 최상등급의 커피 원두(스페셜티 등급)만을 취급하며, 다양한 종류의 수제차와 디저트도 맛볼 수 있다.
1.2Km 2024-11-13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5
어니언 안국은 서울 종로구 안국역 사거리 인근에 있는 한옥 카페다. 이곳은 100년 된 한옥을 개조한 대형카페로 내부에는 대청마루에 상을 놓고 방석에 앉는 좌식형으로 되어 있다. 대청마루에 앉아 차 한잔을 하며 마당을 보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은 어니언 안국의 매력 중 하나로 많은 내외국인이 찾고 있으며 야외에도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와 바닐라빈 라떼이며 이외에 밀크티, 유자허니블랙티 등이 있다. 디저트로는 팡도르, 크림치즈갈릭바게트, 블루베리바라기, 산딸기바라기, 앙셀슈슈, 초콜릿스콘, 소금빵 등이 있다. 카페 인근에는 경복궁, 미술관, 박물관, 청와대, 덕수궁 등 여러 관광지가 있어 연계 관광이 가능하다. 주차 공간은 별도로 없으나 안국역 등이 가까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1.2Km 2025-03-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23길 16 (충신동)
동대문에서 대학로로 들어가는 율곡로 대로변에 자그마한 사찰이 있다. 그 이름도 특이하게 목마른 중생에게 구제의 감로를 준다는 ‘감로암’이다. 도심 속 삭막한 빌딩 숲 사이에 아직 개발되지 않은 주택가에 정말 도심에서 보기 힘든 자그마한 암자가 있다. 감로암의 역사는 벌써 100여 년이 흘렀다. 대로변에서 주택가로 나 있는 골목길을 따라 들어서면 보이는 곳에 여느 주택과 별반 차이 없이 건물을 지어 불상을 봉안하고 예배하고 있다. 하지만 여법하게 산문을 만들고 단청을 하며, 기와를 엮어 고풍스러운 가람의 멋을 느끼게 한다. 예부터 관음영험도량으로 알려진 감로암은 동네 어르신들, 특히 할머니들의 다담방, 기도처로 알려져 있다. 감로암은 사찰의 이름처럼 누군가 구제받을 수 있고,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감로가 있는 곳이다. 지금은 마시지 못하지만 보타전 아래에는 여전히 그 옛날 감로의 맛을 느끼게 했던 감로가 흐르고 있다.
1.2Km 2025-04-03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9길 24 (성북동)
이 집은 3.1 운동 대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이자 <님의 침묵>의 시인인 만해 한용운 선생이 1933년부터 1944년까지 살았던 곳이다. 한용운은 조선의 불교를 개혁하려고 했던 승려이자 조국의 독립에 힘쓴 독립운동가이며, 근대 문학에 큰 업적을 남긴 시인이었다. 심우장은 전체 규모가 5칸에 불과한 작은 집으로, 이곳에는 가운데 대칭을 중심으로 왼쪽에 온돌방, 오른쪽에 부엌이 있다. 부엌 뒤로는 식사 준비는 하는 공간인 천마루방이 있다. 동쪽으로 난 대문을 들어가면 북쪽으로 향한 기와집인 심우장과 양옥의 관리사 그리고 만해가 직접 심었다는 향나무 등이 있다. 한용운의 서재였던 온돌방에는 심우장이라는 현관이 걸려있는데, 이는 근대의 대표적인 서화가인 위창 오세창이 쓴 것이다. 이 이름은 깨우침을 찾아 수행하는 과정을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한 불교 설화에서 따온 것이다. 심우장이 있는 성북동 일대는 1930년대 서울이 확장되면서 주거지로 개발되었는데, 이 집은 당시의 여느 집과는 다르게 검소하고 소박한 구성을 보여준다. 한용운이 만년을 보낸 심우장은 그의 이 같은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1.2Km 2023-08-08
여기 마을과 집과 그 집에 살던 예술가들이 있다. 1970~80년대 서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북정마을이 있다. 3.1운동 민족대표 33인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 상허 이태준의 수연산방이 있고, 이종석의 별정이 있는 성북동의 고택을 둘러볼 수 있는 기회다. 문인가 화가들의 정취가 숨쉬는 성북동을 여유 있게 돌아보자.
출처:이야기를 따라 한양 도성을 걷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