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m 45165 2023-03-17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지하 200
02-535-8182
지하철 3·7·9호선이 지나는 곳에 위치한 강남터미널 지하도상가는 사람들에게 '고터 지하상가'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린다. 11자 모양의 통로 양쪽으로 여성의류를 시작으로 악세사리, 인테리어소품, 꽃 등 600개가 넘는 점포가 자리하고 있다.
10.0 Km 24664 2022-05-23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박물관은 국내 대학박물관의 효시로서 역사, 고고, 민속, 미술에 이르는 다양한 소장품 약 10만 점을 소장하고 있는 종합박물관이다.
100년사 전시실 및 제1전시실(역사/민속 전시실), 제 2전시실(고미술 전시실), 그리고 제 3전시실(현대미술전시실)이 있으며 이 밖에 기증자기념전시실, 기획전시실로 구성되어있다.
* 혼천의 및 혼천시계 *
조선 현종 10년(1669) 천문학 교수였던 송이영이 만든 천문(天文)시계로, 홍문관에 설치하여 시간 측정과 천문학 교습용으로 쓰였던 것이라 한다. 시계의 지름은 40㎝이고, 그 중심에 위치한 지구의(地球儀)의 지름은 약 8.9㎝이다. 2개의 추운동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하나는 시각을 위한 바퀴와 톱니바퀴들을 회전시키고, 다른 하나는 종을 치는 장치를 위한 것으로, 여러 개의 쇠구슬이 홈통 안을 굴러 내려감으로써 종을 치는 망치가 걸려 곧 종이 울리고, 회전바퀴 살에 붙은 주걱들에 의하여 쇠구슬이 들리면서 이 작동이 반복된다. 즉, 2개의 축을 동력으로 하여 여러가지 톱니바퀴를 움직이는 시계장치와 지구의가 설치된 혼천의 두 부분이 연결되어 있어 시간과 천체의 위치를 동시에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 만든 천문시계 중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유물로,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모델이었던 물레바퀴의 원리를 동력으로 삼은 시계장치와 서양식기계 시계인 자명종의 원리를 조화시켜 전혀 새로운 천문시계 모델을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세계 시계 제작기술의 역사상 독창적인 천문시계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10.0 Km 23590 2022-05-24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이 건물은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가 개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세운 중앙도서관이다. 본관과 마찬가지로 한국인 건축가 박동진(1899~1982)이 설계하였고, 건축의 양식과 구조는 당시 교수로 있던 오천석의 모교인 미국의 듀크대학 도서관을 참고하였다고 한다. 시공자는 미상이다. 중앙 도서관을 준공할 당시 국내외적으로 많은 관심과 성원을 보여 당시 금액으로 22만원의 공사비를 들여 차질없이 마쳤다고 한다. 본관 건축 다음해인 1935년 6월에 착공하여 1937년 9월에 본관의 왼쪽 언덕에 화강암 석조 고딕양식의 5층 건물로 완공하였다. 평면은 ㄴ자형으로 모서리 부분의 중앙탑부를 중심으로 본채가 양쪽에 있는데, 하나는 탑과 나란히 남쪽 정면을 바라보고 있지만, 다른 하나는 탑에서 북쪽으로 꺽여 동쪽을 바라보고 있다. 본채는 3층이고, 남서 모서리의 탑부는 고딕 성관풍 (城館風)의 5층탑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돌을 덧붙였다.
도서관 준공 당시 1층에는 교수연구실 32개, 2층에는 250석의 대열람실을 배치하고, 각 책상마다 스탠드와 가죽의자를 비치하였다. 3층에는 20만권의 장서를 보관하고, 3층 이상은 민속자료,미술품을 진열할 수 있도록 꾸몄다. 그러나 개교 70주년을 맞아 중앙 도서관 신관이 준공되면서 여유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지금은 당시의 기능을 대부분 신관으로 넘기고 대학원생들의 열람실과 교수 연구실로 사용되고있다. 고대 보유 장서 17여만권 중 40여만권이 있는 서고에는 서유견문 등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각종 귀중서가 주류를 이룬다.
* 면적 - 4,089㎡
10.0 Km 0 2022-08-18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324 약수목욕탕
원조할아버지손두부집은 지하철 5호선 아차산역 1번 출구 부근에 있다. 매장이 좁은 골목길에 있고 주차장은 따로 없다. 이곳은 지역주민들도 많이 찾지만, 아차산 등산객들이 특히 많이 찾는다. 부재료인 배추, 콩, 젓갈, 고춧가루 모두 국내산만 사용한다. 대표 메뉴는 콩국수, 순두부, 모 두부다. 대부분 손님이 저녁 겸 술손님이다. 그래서 매장 한쪽엔 막걸리 전용 냉장고가 있다. 순두부는 간장소스에 비벼서 먹고, 모 두부는 숟가락으로 한 모 떠서 그 위에 젓갈을 얹어 먹으면 된다. 식사 메뉴로는 콩국수가 있고, 순두부에 무생채를 비벼 비빔밥처럼 먹을 수 있다. 공깃밥값은 별도다. 부근에 서울어린이 대공원과 아차산 생태공원이 있어 연계 관광하기 좋다.
10.0 Km 0 2022-08-25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46길 26-1 신화빌딩
얼터너티브는 9호선 송파나루역 4번 출구 가락골어린이공원 인근에 있다. 심플한 간판과 원목 마감으로 고급 커피집을 연상시키는 얼터너티브는 매장 안도 외부와 같이 우드로 인테리어 되어 있어 통일감을 주어 깔끔하다. 원두를 따로 판매하며 샘플의 향을 맡아 보고, 구매할 수 있다. 커피와 디저트를 전문으로 하는 곳으로 대표 메뉴로는 커피에 생크림이 가득 올려진 아인슈패너 4종류와 아인슈패너, 바스크 치즈케이크다. 이외에 쑥 아인슈패너, 딸기바스크케이크, 말차 바스크케이크, 흑임자바스크케이크, 휘낭시애, 스콘 등이 있다. 카페 인근에 석촌호수와 대형 테마파크 놀이동산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10.0 Km 0 2022-04-21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로23안길 23
연남동 끝자락에 위치한 아담한 카페이다. 작은 공간이 두 층으로 이어져있다. 1층은 바, 2층은 카페이며 3층 공간까지 있다. 빈티지한 인테리어로 마치 외국에 와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각 좌석에는 햇빛이 많이 들어 아무렇게나 찍어도 감성샷을 건지기 쉽다. 또한 가게 내 사용하고 있는 모든 일회용품은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어 자연도 지키는 소비를 할 수 있다. 메뉴는 아인슈페너와 같은 커피류와 에이드 등이 있다.
10.0 Km 0 2022-05-16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3길 132-3
성북동에 위치한 마을로서 오래된 골목길의 정취를 즐길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젊은 예술가들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이다. 한양도성 백악구간 코스에 포함되어 만해 한용운의 유택인 심우장과 연계하여 관광을 할 수 있다.
10.0 Km 28038 2023-01-09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고려대학교 아이스링크장은 1998년 개장하여 사계절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최고의 실내빙상장으로서 어린이들의 건강 증진과 직장인들의 여가선용, 빙상스포츠 발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다. 타 링크장 전문가들도 인정한 최고의 시설과 빙질을 자랑하고 고려대학교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훈련장으로 제공하고 있다.
10.0 Km 0 2022-12-19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 49-1
프레젠트모먼트는 빈티지 소품과 인형을 판매하고 있다. 가게에 들어서면 마치 오랜시간 우리의 일상 속에 숨어 비밀스럽게 존재해왔던 산타의 비밀창고에 들어선 듯 해 동심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곳은 박물관에 전시될만큼 오래된 물건들이 공간을 채우고 있다.그리고 선물에 필요한 엽서나 포장용품도 준비되어 있어 선물을 준비하기에 제격이다.
10.0 Km 0 2022-09-22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동
1688-0750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손을 흔들며 서로의 안부를 전해요!"
작년, 1회로 진행되었던 승가원 기부하이킹이 2022년 가을, 더욱 새롭게 돌아왔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손을 흔들며 서로의 안부를 전하는, 하이킹도 하고 장애가족을 위해 기부도 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동시에 진행되는 이번 "제 2회 승가원 기부하이킹"은 오프라인 100명, 온라인 400명 총 500명의 참가자를 모집한다. 다양한 이벤트는 물론, 모든 참가자에게 다채롭고 풍족한 패키지 기념품을 제공하는 본 행사는 '포쉬프로젝트', '닥터브로너스', '더랩바이블랑두', '미마', '오티스타'와 함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