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아짬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진아짬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진아짬뽕

진아짬뽕

14.5 Km    0     2024-02-14

경기도 안성시 덕봉서원로 312

진아짬뽕은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에 있는 중화요리 집이다. 명성만큼이나 오래된 정통 중화요리를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짬뽕이다. 짬뽕에 다진 생파가 올라간다. 짬뽕 고유의 매운맛과 향을 잡아주는 것이 진아짬뽕의 특징이기도 하다. 탱글탱글한 식감이 좋은 면은 다른 중화요리 집의 면보다 얇다. 진아짬뽕은 공도에서 양성으로 넘어가는 덕봉서원로에 있다.

당골낚시터

당골낚시터

14.5 Km    0     2024-05-14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 물골길 193-39

당골낚시터는 경기도 남부 남양호 지류를 따라 조성된 수심 2.5m의 민물낚시터이다. 6,600㎡의 면적에 1급 계곡수의 수질로 수면에 살짝 깔린 마름과 수초는 아담한 크기의 낚시터에서 집어 효과가 잘 나타나며 붕어, 송어, 잉어가 많이 잡힌다. 개인 간의 자리가 3m로 주변 방해없이 낚시를 즐기기에 쾌적하며, 에어컨과 전기장판을 설치한 신형 좌대와 방갈로가 갖춰져 있다. 떡밥, 지렁이, 생미끼를 주로 사용하며 가뭄에도 수위 변화 없이 운영되고, 매주 월요일마다 소독을 하여 청결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처음 낚시를 체험하는 사람들을 위한 낚시 도구 대여 서비스가 운영 중이다. 이 외에는 낚시터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휴게실, 샤워실, 매점, 식당이 있다.

은산어울림생태박물관

은산어울림생태박물관

14.6 Km    2     2023-03-30

경기도 오산시 서동로19번길 19

양서류, 파충류, 조류, 절지류가 있는 박물관이다. 양서류, 파충류를 중심으로 1시간 30분 해설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도마뱀, 뱀, 거북이, 개구리 등 양서‧파충류를 직접 경험하며 이들에 대해 배우게 된다. 해설이 끝나면 현미경으로 생물 관찰하기, 적청 안경체험, 두뇌발달 퍼즐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다.

항만회가든

항만회가든

14.6 Km    2     2021-04-01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서동대로 497
031-682-7080

다섯 가지 과일 소스로 만든 물회를 먹을 수 있는 곳이다. 평택항 근처에 위치한 25년 전통의 일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꽃게장이다.

화합공원

화합공원

14.6 Km    0     2023-11-07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상신리 1213

화합공원은 경기 화성시 향남 2 지구 최대 체육공원이다. 드넓은 축구장과 인라인스케이트장, 게이트볼, 배드민턴장을 갖추고 있다. 생활체육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남녀노소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여러 체육시설이 모여있다. 사전 예약 후 이용가능한 체육 시설들이 있어 문의 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만정낚시터

만정낚시터

14.7 Km    0     2023-10-06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만수동길 53-8

만정 낚시터는 약 265,000㎡의 안성 만정지에 위치하고 있다. 수상 좌대, 펜션형 수상 좌대, 방갈로, 식당을 함께 운영하고 있어 동호회는 물론이고 가족단위의 방문도 많은 편이다. 화장실과 샤워실을 갖췄으며 수상 좌대에서의 취사는 금지가 기본 원칙이다. 붕어, 잉어, 가물치, 향어가 많이 잡히는 곳이다.

남사화훼집하장

남사화훼집하장

14.7 Km    0     2023-10-04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천덕산로 304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에 있으며 1993년 설립되었고 2010년 2월 증설되면서 8,000㎡ 규모 하우스만 12동에 달하는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서울, 경기를 비롯해 전국으로 식물을 유통하는 식물 도.소매 전문 화훼유통센터지만, 일반 소비자에게도 개방해 화훼 소비 촉진에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식물을 좋아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그렇지 않은 사람도 식물을 쉽게 접하며 자연과 함께 하는 곳이다. 반려동물은 입장할 수 있으나 거주하는 고양이 안전을 위해 목줄은 필수이다.

고성산

14.7 Km    25981     2023-11-20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높이 298m인 고성산은 만세고개에서 운수암에 이르는 등산코스가 제법 운치 있다. 안성시 양성면 방신리 쪽에서 오르면 운수암을 먼저 만날 수 있다. 방신리 입구에서 서북쪽을 향해 가면 낙엽송과 송림사이로 운수암의 정취가 눈에 잡힌다. 청아한 목탁 소리가 숲길에 먼저 배웅 나오는 운수암은 경기도 문화재자료 2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고려시대 조성한 비로자나 불상이 있다. 운수암은 조선 영조 26년에 창건된 사찰이다. 전설에 따르면, 한 보살이 평생 부처님을 모시고 살아갈 것을 결심하고 처음에는 무산성 아래에 터를 닦고 있는데, 하루는 꿈에 성안에 절을 지으라는 부처님의 계시를 받고 성안으로 들어가 꿈에 나타난 곳을 찾아가 옛날 절터를 발견하고 그 자리에 절을 세웠다고 한다. 훗날 이 보살이 죽자 잡초가 무성한 이 절을 대원군이 중건하고 국태민안을 기원하면서 친필로 운수암이라고 쓴 친필현판을 내려 유명해진 절이다. 그러나 돌보는 사람이 없어 무너지기 직전인 것을 현암스님이 보수하고 대웅전을 불사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찬찬히 운수암을 둘러봤다면, 잘 닦아진 등산로를 함주어 조금 걸으면 약수터가 나온다. 여기서 잠깐 땀을 식히고 발걸음을 옮기면 고성산 정상이 나온다. 고성산 정상에 오르면 안성 양성지역의 드넓은 들판과 평택으로 뻗은 평야가 눈에 들어온다. 정상에서 주변 경치를 감상했다면, 216 고지를 향해 걸어보자. 정상에서 내려오면 비법사 쪽으로 내려가는 작은 등산로가 나오는데, 이 길 말고 216 고지를 넘어 산장휴게소 뒤편으로도 하산할 수 있다. 특히 산장휴게소 맞은편에 3.1 운동 기념관이 새로 조성돼 역사의 현장을 둘러볼 수도 있다.

경앙사

14.7 Km    18314     2024-01-31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경앙사는 오진영 선생의 문인들이 조선 후기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노주 오희상을 비롯해 간재 전우, 석농 오진영 선생의 학덕과 절개를 기리기 위해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을 올리는 사당이다. 매년 음력 3월 10일 제사를 지내고 있다. 건물의 총 26㎡(8평)로 겹처마 맞배지붕의 한옥이며 홍살문, 삼문, 사당 등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현판 액자는 석농의 제자인 월헌 이보림 선생이 썼다고 전해지는데 여기서 경앙은 高山仰止 景行行止 즉, 산은 사람을 우러러보고 길은 사람이 많이 다니므로 천하만인에게 존경받는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오희상 선생은 일찍부터 학문에 힘써 성리학의 일가를 이루었고, 정조 24년(1800) 세자익위사 세마가 된 후 여러 차례 벼슬을 하다가 사직하고 광주 징악산에 은거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힘썼으며 사망 후엔 헌종 7년(1841)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전우 선생은 경전을 깊이 연구해 당대 최고의 학자라는 평을 들었으며 을사늑약 때 을사오적의 참형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이를 전하지도 못하자, 다음을 기약하며 후진 양성에 힘을 썼다. 의병운동과 3·1운동 등 항일운동이 거셌던 시기라 이를 비난하는 사람들도 있었으나 개의치 않고 계화도에서 수많은 제자를 가르치고 60여 권의 저서를 남겼다. 오진영 선생은 전우 선생의 제자로 을사늑약에 분개하여 각국의 공관과 정부에 부당함을 알리는 글을 보냈으며, 이수홍과 파리 만국회의에 보낼 공문을 작성하였으나 전달에 실패했다. 1938년 화양동 만동묘 철거를 반대하고 추담별집을 간행, 배포했다. 흰옷과 검은 갓으로 끝까지 항일의 뜻을 굽히지 않았고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썼다.

에코리움

에코리움

14.8 Km    1     2024-06-18

경기도 오산시 오산천로 52

하수종말처리장 부지 내 건립된 전망타워시설로, 2009년 건립한 단순 전망탑을 오산천과 연계하여 자연과 생태를 체험 및 학습할 수 있는 공간으로 리모델링하여 2011년 6월 개장한 생태학습체험관이다. 에코리움은 1층 물 속을 거닐다, 2층 땅 위에 서다, 3층 숲 속에 살다, 4층 하늘을 떠다니다로 구성되어있어 층별로 테마가 정해져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