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중국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옛날중국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옛날중국집

옛날중국집

10.1 Km    2600     2023-05-30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8길 8
02-764-0094

※ 영업시간 11:00 ~ 21:00 건물의 외관이 역사를 말해주는 듯한 음식점이다. 40년 이상 한자리에서 운영된 중국집으로 오랜 세월만큼 옛 모습과 맛을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 매월 동네 어르신들을 모시고 무료 식사를 제공하는 주인의 넉넉함이 느껴지는 곳이다. 한성대역 6번출구에서 도보로 이용 가능하다.

올리브영 휘경동

올리브영 휘경동

10.1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망우로 78

-

카페252

카페252

10.1 Km    0     2024-02-16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252 SC제일은행

아침 9시, 아침이 시작되는 시간에 카페252도 함께 시작이 된다. 굿모닝 세트메뉴를 시작으로 유기농 커피, 스테이크, 파스타, 피자, 프리미엄 짱북이유식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다양한 콘셉트의 좌석과 아기와 함께 방문한 엄마들의 편의를 위한 이유식 메뉴, 유아의자, 기저귀 교환대 등을 구비했다. 신선한 재료와 정직한 조리로 건강함 음식을 만들기 때문에 아이와 엄마 모두 믿고 먹을 수 있다.

청량사(서울)

청량사(서울)

10.1 Km    25927     2024-05-1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로31길 10-3 청량사

청량사는 천장산 남쪽 기슭에 자리한 비구니 도량이다. 예로부터 4대 비구니 도량으로 유명한 돌꽂이 승방이 바로 이곳이다. 원래 청량사와 돌꽂이 승방은 별개의 절이었으나, 1895년 일제의 조선 강점 흉계에 의해 명성황후가 시해된 이후 황후의 능인 홍릉이 조성되자 홍릉 자리에 있던 청량사를 현재의 위치로 옮기게 되었고, 때마침 돌꽂이 승방도 사세가 기울어 두 절이 병합되었다고 한다. 청량사는 조선 말기에는 도성 사람들이 자주 몰려와 쉬던 휴양지였고, 일제강점기에 나라가 어려웠을 때는 많은 애국지사, 고승들의 발길이 잦았던 곳이기도 하다. 특히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불교 운동에 앞장선 만해 한용운 선생이 한때 청량사에 머물렀다고 하며, 1939년 7월 12일에 한용운 선생의 회갑연이 이곳에서 조촐하게 열렸다고 한다. 같은 시기에 불교계 학자인 박한영도 이 절에서 기거했으며 대방에 걸린 청량사 현판 글씨는 박한영의 글씨로 전해진다. 사찰 대문으로 들어서면 바로 나타나는 관음전 뒤로는 고층 아파트가 보인다. 주택가에 자리 잡고 있어서인지 청량사에서는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으며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도 있다. 청량사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극락보전은 지붕 위 중앙에 소탑 같은 보주가 박혀있다. 비탈에 세워진 사찰의 지세 때문인지 건물이 오밀조밀하게 복층구조처럼 지어져 있다. 작지만 관음전, 무량수전, 대웅전, 대방채, 설선당, 적묵당 등 사찰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리홀뮤직갤러리

10.1 Km    2     2023-10-27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31길 9 (성북동)

리홀뮤직갤러리에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방문한다면,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로 나와 초록버스 1111, 2112번을 타고 종점 [서울다원학교]에서 하차 후 성북동 누룽지백숙건물 3층으로 올라오면 된다. 이곳은 12만여 장의 레코드판과 진공관시스템 그리고 1930년도에 제작된 빈티지스피커를 통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음악감상 전용공간이다. 리홀뮤직갤러리에서 다루는 장르는, 클래식, 팝 그리고 재즈이다. 원하는 음악을 신청곡 종이에 적어 DJ에게 전달하면 장르에 따라 스피커를 바꿔가며 음악을 맞춤 제공해 준다. 양쪽의 벽면을 가득 채운 음반들이 주는 향수와 최초의 진공관 사운드가 주는 편안함 속에서 일상의 부산스러움을 잊고 오롯이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다. 비정기적으로 음악회나 인문학 강연도 진행하니 전화 문의 혹은 인스타그램을 참고해 방문하는 것도 감성을 채우는 또하나의 즐거움이다.

성북동누룽지백숙

성북동누룽지백숙

10.1 Km    2558     2023-08-08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31길 9
02-754-0707

성북동누룽지백숙은 성북동에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백숙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누룽지백숙과 메밀들깨수제비, 메밀전이다. 누룽지백숙은 누룽지죽이 담긴 뚝배기 위에 백숙이 접시에 담아져 나오는데 백숙을 먹고 찹쌀누룽지죽으로 마무리한다. 들깨 국물의 메밀수제비는 메밀들깨수제비는 들깨 국물로 만들어 웰빙음식으로 배를 든든하게 채울 수 있다. 몸보신을 원한다면 이곳을 추천한다.

초록뜰

초록뜰

10.1 Km    4061     2023-10-11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망우로18길 6

초록뜰은 채식 전문점으로 건강한 채식 메뉴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조미료 및 액젓 등 화학 첨가제를 일절 사용하지 않으며, 천연의 조미료만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불순물과 유해 성분이 제거된 구운 천일염으로 배추를 절여서 사용한다. 오신채 (파, 마늘, 부추, 달래, 흥거, 흥거가 없는 한국에서는 양파를 포함한다.)를 사용하는 대신에 울금 등 다른 채소를 넣어 맛을 더하고, 국수도 통밀, 현미, 흑미, 찰현미, 백태, 오트밀, 아마씨, 도토리가루, 울금 등을 배합하여 직접 제조하기 때문에 소화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고른햇살

고른햇살

10.1 Km    0     2024-02-15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길 14

고른햇살은 6호선 안암역 2번 출구 고려대학교 인근에 있는 분식점이다. 실내는 테이블마다 태블릿으로 주문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고 물, 단무지, 김치, 장국은 셀프로 가져다 먹게 되어 있다. 가장 인기 있는 주메뉴는 흑미를 넣어 지은 밥으로 만든 참치김밥과 치즈 라볶이다. 학생들이 많이 가는 곳이라 다른 곳에 비해 양이 많다. 찹쌀, 토종 순대와 라면도 많이 나가는 메뉴이다. 쌀, 김치, 고기 등 국내산을 사용한다는 원산지 표시가 되어 있다. 인근에 고려대학교 캠퍼스가 있다.

북악산 숙정문

북악산 숙정문

10.1 Km    47065     2023-11-22

서울특별시 성북구 대사관로 1

숙정문은 북한산 동쪽 끝자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서울 성곽의 북대문으로 ‘엄숙하게 다스린다’는 뜻으로 이름이 지어졌다. 태조 5년(1396)에 완공되었는데 처음에는 지금 위치보다 약간 서쪽에 있었으나 연산군 10년(1504)에 성곽을 보수하면서 옮겨졌다고 한다. 숙정문은 본래 사람들의 출입을 위해 지은 것이 아니라 서울성곽 동서남북에 4대 문의 격식을 갖추기 위하여, 그리고 비상시 사용할 목적으로 평소에는 닫아두었기 때문에 숙정문을 통과하는 큰길은 나있지 않다. 1976년 북안산 일대의 성곽을 복원하면서 문루를 짓고 ‘숙정문’이란 편액을 달았다.

올리브영 상봉역

올리브영 상봉역

10.1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 3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