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Km 2025-03-25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봉선사’는 크낙새와 수목원으로 널리 알려진 광릉에서 아주 가깝다. 광릉 매표소에서 광릉의 자랑거리 중 하나인 전나무 숲길 따라 남동쪽으로 1.5㎞쯤 내려가면 수십 채의 식당이 영업 중인 동네가 나타난다. 여기서 오른쪽 길로 300m 가량 들어간 곳에 봉선사가 있다. 봉선사의 역사는 고려 시대부터 시작된다. 원래 봉선사 자리에는 고려 광종 20년(969년) 법인 국사가 창건한 운악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여러 차례 난리를 겪으며 폐허가 된 것을 1469년(조선왕조 8대 임금 예종 원년) 정희왕후 윤 씨(7대 세조의 왕비)가 세조의 영혼을 봉안코자 다시 일으켜 세운 뒤 봉선사라 개칭했다. 이후 ‘봉선사’는 임진왜란, 병자호란,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소실과 중건을 7차례 했다. 절에서 100m 떨어진 곳에 큰 비석 여러 개가 눈길을 끈다. 그중 하나가 춘원 이광수 선생 기념비다. 그는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에 패하기 전 4년 동안 남양주 사능 부근 작은 집에서 산 적이 있는데 그때 한 해 겨울을 봉선사에서 지낸 인연이 있다. 당시 주지 스님이 운허라 그런 인연을 맺은 것이다. 비석에는 그가 남긴 글 중 일부를 빼곡히 새겨 놓았는데 글은 주요한이 짓고 글씨는 서예가 원곡 김기승이 써서 1975년 가을에 세웠다. ‘봉선사’에 가면 가장 먼저 찾아볼 것이 대웅전 처마 밑에 걸린 현판이다. 대웅전이라 하지 않고 큰 법당이라고 한글로 쓴 것이 이채롭다. 1970년 운허 선사(춘원 이광수 팔촌 동생)가 대웅전을 세우면서 써서 달았다. 또한, 경내에 봉선사 대종(보물)이 있는데 임진왜란 이전에 만든 동종 중에서 몇 개 남지 않은 것으로 예종 원년(1469)에 왕실의 명령에 따라 만들었다. 조선왕조 전기 동종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19.5Km 2024-09-19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010-3155-1011
반려견과 함께하는 건강한 마음챙김 방안을 제시하는 반려견 동반 문화예술축제이다. 힐링 펫타로부터 마음챙김 걷기명상까지 반려견과 함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또한 초청강연까지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참여와 관심 바란다.
19.5Km 2025-07-30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 624 (신도림동)
신도림역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접근성이 우수하며, 도심 속에서 자연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약 6,000평 규모로, 해바라기 광장, 야생화 계곡, 장미터널, 770석 규모의 야외극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밤에는 화려한 조명과 분수가 어우러져 가족, 친구, 연인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
19.6Km 2025-06-05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서울시 양천구 목3동에 위치한 전통시장이다. 시장 입구에는 귀여운 도깨비 캐릭터 포토존이 있고, 가게마다 도깨비 모양 조명이 달려 있어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신선한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등 다양한 식재료는 물론, 맛있는 먹거리까지 가득하다. 지하철 9호선 등촌역과 가까워 접근성이 좋으며, 주차시설도 갖추고 있어 자차를 가지고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다. 볼거리, 먹거리, 살거리가 풍성한 목동깨비시장에 꼭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19.6Km 2025-03-19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길37번길 66-11
031-743-3155
두메산골집은 주인이 직접 무공해 채소를 재배하고, 닭과 오리도 직접 사육하여 믿을 수 있는 음식만을 제공한다. 대표 요리는 닭과 오리를 이용한 백숙 음식이다. 겨울 보양식으로 든든한 식사를 할 수 있다. 얼음처럼 차가운 지하수가 흐르는 인공 개울이 있는 야외 좌석도 마련되어 있다.
19.6Km 2021-03-12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림로31길 4
02-844-8836
중국식 육수를 사용하여 냉면을 만드는 곳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냉면이다.
19.6Km 2021-03-09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인로61길 21
02-2296-0325
30년 전통을 가지고 있다. 대표메뉴는 곱창이다.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있는 한식당이다.
19.6Km 2025-05-20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320 (하대원동)
둔촌 이집 묘역은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이집의 묘역으로, 부인 정화택주 영주 황 씨와의 원형 합장묘이다. 이집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충목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해박한 지식과 고상한 지절로 이름이 높았다. 1368년 신돈의 비행을 비판한 후 화가 미칠 것을 예견해 아버지를 업고 도망하여 영천에서 은거하였다. 이후 신돈이 역모로 주살된 후 수양산 아래 현화리에 돌아왔다. 이어 판전교시사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독서와 농경으로 세월을 보냈다. 용미와 활개를 갖춘 봉분의 높이는 1.8m이고 지름은 6.6m이다. 석물로는 봉분 중앙에 혼유석, 상돌, 사각 향로석, 장명등이 있고, 상돌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 한 쌍 외에 차양석 네 개와 2단의 계체석 및 봉분 좌우측에 신구 묘표가 각 1기씩 서향하고 있다. 이중 봉분 중앙에 위치하는 장명등은 화창공과 사모 지붕에 연봉 장식이 있다.